-

대전광역시 -

미세먼지 -

초 미세먼지 -

물정보 통합검색

검색창 닫기
모바일메뉴 열기 전체메뉴
1장 물은 정말 소중해

아래 대체텍스트 참고

물은 정말 특별해

물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만큼 지구의 표면의 70%가 물로 덮여있습니다. 한 가지 형태가 아닌 고체, 액체, 기체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강과 바다는 액체 상태인 물로 존재하며, 푸른 하늘을 채우는 물은 기체 상태인 수증기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고체의 형태인 빙하로 존재합니다. 물은 이 모든 형태나 위치가 고정되어있지 않고 계속해서 순환합니다.

목말라, 물 줘! 빙하야, 불로 좀 녹이자! 라고 아이가 빙하에게 말하고있는 그림

먹을 수 있는 물, 먹을 수 없는 물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 8천 5백만km3정도입니다. 이 중 대부분이 마실 수 없는 바닷물입니다. 우리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전체 물 중 0.0075%에 불과합니다. 이는 지구촌의 60억 인구가 사용하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또한, 산업 활동이 늘어나면서 물 오염도 심각해지고 있어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세계 수자원 현황 그래프를 보고있는 선생님과 아이 - 선생님:그러니까 아껴 쓰라고! / 아이:겨우 이게 다야?

부지런한 물

물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씻지도 못하고 옷도 빨지 못하고 음식도 만들어 먹을 수 없습니다. 물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에요. 사람은 하루에 약 2.5L의 물을 마시고, 생활용수까지 합하면 하루에 177L물이 필요합니다. 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 때나 식물을 재배하는 데도 물이 필요합니다. 거의 모든 인간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물이에요.

음식이나 농산품, 공산품 생산 등에 필요한 물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요? - 감자튀김 1인분(23L), 복숭아 1캔(34L), 사이다 1리터(3L), 우유 1잔(246L), 햄버거 1개(4,930L), 새 자동차(147,631L), 청바지 1벌(6,814L)

물은 생명

물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에요. 우리 몸의 60~85%는 물로 되어 있어요. 물은 끊임없이 우리 몸속에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영양소를 몸 곳곳에 운반해주고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중요한 일을 합니다. 우리 몸의 물이 1~2%만 빠져나가도 심한 갈증을 느끼고, 만약 5%가 빠져나가면 혼수상태에 이르고, 12%를 잃으면 죽게 됩니다. 물이 하는 일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에요.

각종 물질에 들어있는 물의 양 - 혈액 82%, 바나나 88%, 수박 92%, 뇌 75%, 뼈 25% (자료:Water:Every Drop Counts, Product WET, 2004)
2장 물의 여행

지구상의 물의 순환을 나타내는 그림

물의 순환

햇빛이 비춰 기온이 오르면 액체 상태의 물은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가 모이면 액체나 고체 상태인 구름이 됩니다. 수증기가 갑자기 얼면 ‘빙정’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녹으면 비가 되고 녹지 않은 상태로 내리면 눈이 됩니다. 이렇게 물은 수증기나 물, 얼음과 같이 그 모습을 달리하며 땅과 바다, 하늘을 계속해서 옮겨 다니죠. 이것을 ‘물의 순환’이라고 합니다.

1.증발:태양열에 의해 따뜻해진 물(수증기)이 위로 올라갑니다. 2.응결:기온이 내려가면 수증기는 작은 물방울이 됩니다. 작은 물방울이 모여 구름이 만들어집니다. 3.비:구름이 무거워져 비나 눈이되어 땅으로 내려옵니다. 4.강:내린 비는 강으로 흘러들고, 동물과 식물에게 물을 공급해줍니다. 5.지하수:빗물의 일부는 땅 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됩니다. 6.지표면의 물:빗물은 다시 증발되어 새로운 구름을 만듭니다.

생명의 순환

땅은 햇빛을 받으면 열을 흡수해 뜨거워지는데요, 물은 뜨거워진 땅을 식혀줍니다. 바닷물은 공기 중으로 증발되어 빗물이 되고, 강물이 되면 마실 수 있는 물이 되죠. 비와 강물은 땅위의 영양분을 씻어낸 뒤 그것을 바다로 옮깁니다. 이것들은 바다 속 생물들의 훌륭한 먹이가 되는데 이것을 옮겨주는 것도 물입니다. 지구상의 물질들은 물에 의해 순환되고 있고 물에 의해 살아가고 있어요.

물은 끊임없이 순환하며 많은 일을 해요.
3장 물은 정말 바빠

아이1:바로 목욕했는데 뭘 또 씻어~ / 아이2:비를 맞으면 몸에 안 좋다고 하던데.. / 아이1:수돗물이나 빗물이나 다 똑같은 물 아니야? / 엄마:빗물과 수돗물은 다르단다. 수돗물은 강물이나 저수지 물을 깨끗하게 만든 물인데, 강물이나 저수지는 빗물이 흘러서 모인 것이지.

우리나라엔 물이 얼마나 있을까?

우리나라의 연평균 수자원량 1,323억m3 중에서 42%는 하늘로 증발해 버리고, 나머지 58%는 하천으로 흘러갑니다. 그 중에서 32%는 바다로 흘러가고, 남은 26%만을 이용할 수 있지요.

물 양동이를 뒤짚어쓰는 아이:버려지는 물이 너무많아~

우리는 물을 어디에 사용할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용수, 물건을 만드는 데 필요한 공업용수, 농사에 이용하는 농업용수 등 그 밖에도 물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어요. 무역이나 수송 분야에서 중요한 운송 수단으로도 이용하고 있지요. 또한, 강이나 바다의 생명체는 깨끗한 물이 적당량 이상 유지되어야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어요.

먹는 물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그림

수돗물은 어디서 왔을까?

지금은 가정에서 수도꼭지만 틀면 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예전에는 먹을 물을 얻기 위해서 깨끗한 물이 흐르는 곳을 찾아가거나 땅 속 깊숙이 우물을 파야했습니다. 그러다가 수도시설이 갖추어지면서 편리하게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요. 수도시설은 자연 상태의 물을 깨끗하게 정화해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해줍니다.

수돗물이 되려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구나!

버려진 물은 어디로 갈까?

하수처리장은 우리가 사용한 물이 마지막으로 가는 곳이에요. 세계적으로 모든 질병의 80%가 오염된 물 때문에 생긴다고 하니, 깨끗한 물을 마시기 위해선 버리는 물에도 신경을 써야겠지요. 하수처리장은 모든 오염물질을 깨끗하게 걸러낼 수는 없어요. 물이 심각하게 오염되면 정화 과정을 오염물질들이 남을 수 있어요. 그래서 물이 많이 오염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해요.

하수처리장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그림
4장 물은 아주 무서워

선생님:비가 많이 와서 홍수가 나면 집이나 농지가 잠겨 큰 피해를 입게 되고, 물이 빠른 속도로 바다로 흘러가버려, 물이 더 부족해져요. / 아이1:흘러가 버리지 못하게 하면, 물 부족을 줄일 수 있겠네요. / 선생님:그렇겠죠? / 아이2:이렇게 말이죠? 멈춰! / 우리나라의 월병 강수량:연평균 강수 1,277mm

무서운 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 중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홍수이고 그 다음이 폭풍을 동반한 호우, 즉 태풍이에요. 모두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입니다. 물을 통한 에너지의 순환은 강수로 나타나는데 강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적은 경우 재해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물로 인한 자연재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비가 쏟아져내려 홍수가 나는 그림

집중 호우

집중 호우란 짧은 시간 동안 좁은 지역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1시간에 30mm이상이거나 하루에 80mm이상, 연 강수량의 10% 이상의 비가 하루 동안에 내릴 경우, 집중 호우라고 합니다. 갑작스럽게 내린 비는 홍수로 이어지고, 하천이 범람하거나 도시에선 갑자기 불어난 빗물이 미처 강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도로나 집이 잠겨 많은 피해를 줍니다.

우리나라의 월병 강수량:연평균 강수 1,277mm

지구온난화와 가뭄

우리나라에서는 벼농사 기간인 6월에서 8월 사이에 연평균 강수량의 55%의 비가 내립니다. 강수량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면 그 해의 벼농사는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입게 돼요. 지구의 기온이 높아지면서 수증기로 증발하는 물의 양도 많아지죠. 대기 중으로 증발한 물은 한꺼번에 폭우로 쏟아져 홍수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답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1:나무 심으러 가자. / 아이2:오늘이 식목일도 아닌데 나무를 왜 심어? / 선생님:나무가 울창한 숲은 뿌리나 잎에 많은 물을 저장해 두어 주변공기에 적당한 수분을 보내주고, 지하수를 공급해주기도 하죠.


물과 더불어 살기

인간은 물로 인한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해 제방을 쌓거나 하구둑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해왔어요. 하지만 인간의 예측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제방도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외에도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해야해요. 자연을 보호하고 보전하는 것으로도 홍수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친환경 도시를 만들어요!
5장 깨끗한 물이 좋아

물이 오염되는 원인:축산 폐수, 농약, 산업폐수, 생활 하수, 쓰레기, 세차로 인한 오염

물은 왜 오염될까?

물이 오염되는 것은 우리가 물을 사용할 때 세제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사용하거나 더러운 물을 마구 버리기 때문이에요.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오염 물질의 종류도 다양해졌죠. 가정에서 버려지는 물과 공장에서 버려진 폐수는 하천으로 흘러들었고, 물은 오염되기 시작했어요.

수돗가에서 물을 양동이에 뜨는 옛날사람:요즘 우물은 왜 이렇게 생겼나 신기하네!

물은 어떻게 오염될까?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에는 우리가 쓰고 버린 생활하수, 축사에서 흘러나오는 축산폐수, 그리고 갖가지 공장에서 버린 산업폐수 등이 있어요. 이러한 폐수들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이나 토양오염으로도 물이 오염될 수 있어요. 또한, 해양 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오염된 하천이에요. 오염된 하천이 바다로 흘러들면 바다가 오염되지요. 따라서 하천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해요.

빗물의 오염 경로:공장, 가정, 자동차, 발전소 등에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배출→구름 속에서 태양빛에 의한 산화→구름의 물방울에 의해 황산,질산 형성→빗물을 타고 산성비가 내림 / 지하수 오염경로:정화조 지하저장탱크, 비료, 살충제, 비위생매립지, 공장, 주유소, 하수관 송유관 저장탱크

오염된 물은 어떤 피해를 줄까?

아프리카의 물 부족 국가에 사는 아이들은 오염된 물을 마시고 무서운 병에 걸리는 일이 많습니다. 오염된 물은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염된 물에 살던 물고기를 인간이 먹으면 오염물질이 인간의 몸속으로 들어와 병에 걸리게 합니다. 그러므로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오염된 바다의 모습
6장 맑은 물은 지구의 미래

아이1:전기를 많이 쓰면 쓸수록 지구가 더 더워진대. / 아이2:선풍기는 시원한 바람을 만드는건데, 어떻게 더워질 수가 있어! / 선생님:전기는 주로 석유나 석탄같은 화석연료를 태워서 만들어지는데.. 선생님:화석 연료를 많이 태울수록 지구를 덥게 하는 기체가 많이 나와요. / 아이2: 아, 그래서 전기를 많이 쓰게 되면, 지구가 더워지는거군요! 선생님:지구가 더워지면 기후가 바뀌게 되고 주거 및 생물 서식환경이 변해서 점점 살기가 어려워진단다.

지구온난화와 물

지구가 점점 따뜻해지는 현상을 지구온난화라고 합니다. 지구온난화로 많은 문제가 발생했어요. 지구가 따뜻해져서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에스키모와 동물들은 살 곳을 잃게 된답니다. 땅위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면 인구의 약 1/3이 물에 잠겨 피해를 입게 돼요. 이렇게 지구온난화는 기후를 변화시켜 인간과 생태계에 많은 피해를 줍니다.

더워하는 지구의 모습
물의 미래를 위해 지금 실천해요!

화장실이나 욕실에선 변기 수조에 벽돌을 넣어두면 물을 절약할 수 있어요. 절수기를 설치하면 30% 정도의 물을 절약할 수 있어! 세수할 땐 세면대나 대야에 물을 받아 두었다가 사용하세요.욕조 목욕보단 물을 적게 써요. 비누칠 할 때는 샤워기를 잠그고. 부엌에선 설거지를 할땐 물을 받아 두었다가 사용하세요. 수도꼭지에 물 조리개를 부착하여 샤워 수로 설거지하세요. 세척시간이 짧아져 물을 아낄 수 있어요. 음식물 쓰레기는 하수구에 버리지 말고 반드시 따로 버리세요. 빨래할땐 빨랫감은 한 번에 모아서 세탁하세요. 세제는 조금만 쓰고, 친환경 세제를 이용하세요! 빨래 헹군 물은 재활용 하세요.
[ 출처 : K-water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 ★★★★★
지역선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