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 ( ) / 출처 ( )
0~300
300~600
600~900
900~1200
1200~1500
1500~1800
1800~2100
2100~2400
2400~2700
2700~3000
강수량 : 지표면에 낙하하여 증발되거나 유출되지 않고 그 자리에 고인 연간 물의 깊이입니다.
이용가능수자원 : 강수량, 지표수, 지하수로 보충되는 이용 가능한 담수량입니다.
담수취수량 : 수원에서 증발을 제외한 취수량으로 해수담수가 주요수원인 국가는 해수 담수량도 포함합니다.
급수보급률 : 상수도 이용 또는 수질을 개선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추정된 인구비율
물스트레스(보통) : 보통 시나리오에서의 ’20년, ’30년, ’40년의 미래 국가의 물스트레스를 전망
상수요금 : 15m³/월을 기준으로 고정비용, 가변비용, 판매세로 구성하여 산출
하수시설 보급률 : 정화조, 하수도, 구덩이형 화장실 등의 위생시설을 사용하는 인구비율
하수요금 : 15m³/월을 기준으로 고정비용, 가변비용, 판매세로 구성하여 산출
강수량 : 지표면에 낙하하여 증발되거나 유출되지 않고 그 자리에 고인 연간 물의 깊이입니다.
이용가능수자원 : 강수량, 지표수, 지하수로 보충되는 이용 가능한 담수량입니다.
담수취수량 : 수원에서 증발을 제외한 취수량으로 해수담수가 주요수원인 국가는 해수 담수량도 포함합니다.
급수보급률 : 상수도 이용 또는 수질을 개선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추정된 인구비율
물스트레스(보통) : 보통 시나리오에서의 ’20년, ’30년, ’40년의 미래 국가의 물스트레스를 전망
상수요금 : 15m³/월을 기준으로 고정비용, 가변비용, 판매세로 구성하여 산출
하수시설 보급률 : 정화조, 하수도, 구덩이형 화장실 등의 위생시설을 사용하는 인구비율
하수요금 : 15m³/월을 기준으로 고정비용, 가변비용, 판매세로 구성하여 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