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쿠웨이트국(State of Kuwait)
○ 위 치 : 아라비아 반도 동쪽
○ 건국(독립)일 : 1961년 6월 19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441,839㎢(한반도의 2배)
○ 인 구 : 약 36,575,000명
○ 기 후 : 열대성 사막기후
○ 수 도 : 쿠웨이트 시
○ 주요도시 : 아흐마디, 화왈리, 자흐라
○ 국 기
○ 국가문장
□ 정치
○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 실 권 자 : 에미르 - 사바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총 리 : 자베르 알무바라크 알하마드 알사바
○ 정부구조
- 쿠웨이트의 정부 구조
1) 쿠웨이트의 국왕
2) 쿠웨이트의 내각
3) 쿠웨이트의 의회
4) 쿠웨이트의 사법부
5) 쿠웨이트의 감사원
- 쿠웨이트의 최근 정세
1) 쿠웨이트의 석유 수입(收入)을 바탕으로 한 국왕의 온정주의 정책 지속
2) 정부와 국회 간의 대립
3) 알 사바 왕가의 경제 참여에 대한 재계 가문과의 알력
4) 아랍 민주화 영향
- 쿠웨이트의 주요 인사
1) 사바 알아마드 알자비르 알사바
2) 나와프 알아마드 알자비르 알사바
3) 자베르 알무바라크 알하마드 알사바
4) 사바 알칼리드 알하마드 알사바
○ 행정구역
|
- 쿠웨이트는 6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 알아마디 주(Al Ahmadi)
· 알파르와니야 주(Al Farwaniyah)
· 알아시마 주(Al Asimah)
· 알자라 주(Al Jahra)
· 하왈리 주(Hawalli)
· 무바라크알카비르 주(Mubarak Al-Kabeer)
○ 외 교
- 쿠웨이트는 비동맹 중립 외교를 표방하고는 있다. 그러나 1990년 8월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점령하는 사태가 발생한 후 입장의 변화가 일어났다. 1991년 걸프전 당시 미국의 지원으로 이라크의 점령에서 벗어나게 된 이래 이라크는 미국 중심의 친서방 실리 정책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쿠웨이트 외교 정책은 지역 강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장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다.
- 쿠웨이트는 걸프전 당시 이라크를 지원했던 예멘과 요르단과도 관계를 정상화하고, 팔레스타인 독립을 지지하는 등 지역 내의 현안과 관련 여타 아랍 국가들과 공동 보조를 맞추고 있다.
- 최근에는 아시아 지역이 새로운 세계 경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한·중·일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협 확대를 추구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쿠웨이트 디나르(Kuwait Dinar, KD)
○ 외환보유고 : 34,350 (USD - 백만) (2014)
○ 교역규모
- 수입 : 2304 (KWD - 백만) (2016)
- 수출 : 2714 (KWD - 백만) (2016)
○ GDP : 1,062억$ (2016)
○ 1인당 GDP : 25,142$ (2016)
○ 경제성장
| 2010 | 2012 | 2014 |
GDP growth (annual %) | -2.4 | 6.6 | -1.6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쿠웨이트 중동의 산유국으로 제조업 기반의 산업은 매우 취약하다. 쿠웨이트 전체 산업에서 생산 활동과 관련된 분야는 원유 생산, 정유 및 석유화학 중간원료를 생산하는 석유화학 산업이다. 이러한 원유 및 석유화학 분야는 쿠웨이트 전체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호텔, 요식업, 통신, 부동산, 금융 등 서비스 산업은 원유 및 석유화학 분야를 제외한 산업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쿠웨이트 국내총생산에 이러한 서비스 분야의 비중은 약 51.8%이다. 이러한 서비스 산업은 대외 경쟁력은 매우 낮고 국내 시장에 한정되어 있다. 기타 산업분야는 농업 및 어업 등으로 국내총생산의 0.3%를 차지하고 있다. 농업은 정부의 정책보조금을 받아 최소한의 산업기반을 유지하고 있다.
○ 주요자원
- 원유 자원 보유 현황
· 쿠웨이트의 원유 매장량은 2010년 기준으로 1015억 배럴이고 전 세계 원유 자원 매장량의 7.3%를 차지
· 중동 지역의 주요 산유국 중 쿠웨이트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다음으로 많은 원유 매장량을 보유
· 쿠웨이트의 원유 매장량은 현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향후 90년간 지속 채굴이 가능함.
- 가스 자원 보유 현황
· 쿠웨이트는 2005년 북부 유전 지역에서 원유 생산과 연계가 없는 34조 입방피트 규모의 천연가스 전을 발굴
· 2008년부터 하루 1억3000만 입방피트의 천연 가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하루 10억 입방피트 수준으로 천연 가스 생산을 확대하여 국내 수요를 충당할 계획
· 현재 쿠웨이트는 원유에 비해 가스 자원 개발은 제한되어 발전소 및 석유화학 공장에서 필요한 천연 가스를 카타르 등에서 해외 수입으로 충당
· 최근 쿠웨이트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3국이 인접한 도라(Dorra) 해저 천연가스 전의 공동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란의 자국 소유권 주장으로 개발 추진이 난항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공용어)
- 외국인 간에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영어는 쿠웨이트 인구의 30% 정도 사용한다.
○ 민 족 : 쿠웨이트 아랍인이 45%, 기타 아랍인 35%, 남아시아인 9%, 이란인이 4%, 타 민족 7%(외국인 등)
○ 종 교
-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쿠웨이트 국민의 85%
- (수니파 70%, 시아파 30%)를 차지
- 나머지 15%는 성공회 등의 기독교, 힌두교 등이 차지
○ 교 육
1) 유치원 : 쿠웨이트인은 2년 과정의 국공립 유치원에서 무료로 수업을 받을 수 있으나 외국인은 쿠웨이트 내 도처에 소재하는 사립유치원을 이용해야한다. 다수의 유치원에서 영어로 수업을 하며 초등학교 5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3년으로 구성된 학제에 따라 쿠웨이트 교육부가 정한 커리큘럼에 의해 무상으로 수업하며 쿠웨이트인만 입학이 가능하다.
2) 아랍계 사립학교 : 쿠웨이트 교육부가 정한 학제 및 커리큘럼에 의해 유상으로 수업하며 쿠웨이트인 및 외국인 모두 입학이 가능하다.
3) 인터내셔널스쿨 : 국제학교는 통상 설립 국가의 학제 및 커리큘럼을 따르며 설립국가의 국민이 우선적으로 입학하되 결원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설립국가 이외 외국인도 입학이 가능하다. 통상 서류전형, 인터뷰, 간단한 테스트 등을 거쳐서 입학 여부가 결정되며 구비서류로는 직전 학교 재학증명서, 성적증명서, 예방접종증명, 건강진단카드 등이 있다.
○ 복 지
- 쿠웨이트는 무상 교육과 무료 의료제도, 각종 정부 보조금 지급 등의 시책을 통해 복지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한 재정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일부를 유료화하였고, 외국인에 대한 의료보험 제도를 실시하고 의료보험에 가입하게 하여 재정 부담을 지우고자 하나,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이에 대해 부정적이다.
○ 축제 / 명절
- 이드 알 아드하(Eid al-Adha) : 이슬람력 제12월 10일에 지내는 이슬람의 축제.
- 라마단(Ramadan) : 이슬람교에서 행하는, 약 한 달가량의 금식기간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 이슬람 문화권에서 금식 기간인 라마단(Ramadan)이 끝나는 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대한 음식을 장만해 축하하는 축제
출처 : KOTRA, 외교부, Trading Economics
□ 일반
○ 쿠웨이트는 국토 대부분이 해발고도가 수십 미터에 불과한 평탄한 사막으로 아라비아 반도에서도 여름이 가장 덥고 겨울이 가장 추운 날씨이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기온
○ 연평균 기온은 25℃로, 여름에는 60℃까지 상승하여 옥상 물탱크의 물로 샤워를 하지 못할 정도로 뜨거워지며, 겨울에는 10~15℃까지 하강한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강수량
○ 비는 겨울철에 집중되고 연 강수량이 30~260㎟밖에 되지 않아 물은 이라크로부터 끌어오거나 바닷물을 끓여 정제한 물을 사용하고 있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자연재해
○ 겨울철(11월∼3월)에는 타우즈라는 극렬한 모래폭풍이 가끔 불어 닥치지만, 이때를 제외하면 선선하고 쾌적하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지표수·지하수
○ 쿠웨이트는 열대성 사막기후로 인해 강수량이 풍부하지 않다. 이로 인해 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강이나 호수가 존재하지 않으나, 와디가 발달되어있다. 얕은 와디는 우기에 비가 많이 오면 범람할 때도 있으나, 금방 날씨 탓에 금방 증발한다. 쿠웨이트는 주변국인 이라크의 샤트알아랍 강에서 물을 끌어오거나, 바닷물을 증류시켜 이용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AQUASTAT - FAO
□ 수처리, 폐수
오염 | BOD? | TSS | NH₄ | PO₄ | TSS |
해양 방류 | 30 | 10 | 3 | 8.8 | 10 |
관개 | 20 | 15 | 15 | 130 | 15 |
출처 : Assessment of Wastewater Reuse in Kuwait and Its Impact on Amounts of Pollutants Discharged into the Sea, Bader Al-Anzi 외 2명, 2012
□ 음용수
2000년 쿠웨이트의 식수 질 | |||
주요 매개변수 | 용량 (ppm) | 요소 및 화합물을 추적 | 용량 (ppm) |
PH | 7.86 | 납 (Pb) | 0.25 |
전도도 (uS/cm) | 508.47 | 카드뮴 (Cd) | 0.15 |
총 용해성 물질 | 334.32 | 니켈 (Ni) | 5.97 |
총 알칼리성 | 51.15 | 구리 (Cu) | 36.61 |
총 경도 | 145.56 | 바륨 (Ba) | 10.99 |
탄산염 (CO₃) | 0.56 | 망간 (Mn) | 1.56 |
중탄산염 (HCO₃) | 61.30 | 안티몬 (Sb) | 1.39 |
염화물 (C1) | 71.81 | 아연 (Zn) | 17.09 |
황산염 (SO₄) | 83.81 | 주석 (Sn) | 0.18 |
칼슘 (Ca) | 43.05 | 셀렌 (Se) | <5.0 |
마그네슘 (Mg) | 9.29 | 붕소 (B) | 5.28 |
나트륨 (Na) | 43.16 | 크롬 (Cr) | 4.25 |
칼륨 (K) | 1.95 | 수은 (Hg) | 0.21 |
이산화규소 (SiO₂) | 1.53 | 몰리브덴 (Mo) | 5.98 |
시안화물 (CN) | <0.1 | 비소 (As) | 0.85 |
불소 (F) | 0.15 | 알루미늄 (Al) | 13.41 |
질산염 (NO₃) | 1.85 | 바나듐 (V) | 1.85 |
아질산염 (NO₂) | 0.05 | 코발트 (Co) | <1.0 |
암모니아 (NH₃) | 0.71 | 스트론튬 (Sr) | 796.75 |
| 철 (Fe) | 23.66 |
유기 화합물 (?g/l) | |||
총 유기탄소 (mg/l) | 0.224 | 2,4,6-트리클로로페놀 | <2.0 |
기름 & 그리스 (mg/l) | <0.01 | 톨루엔 | <2.0 |
클로로포름 (CHCL₃) | 0.16 | 크실렌 | 2.88 |
CHCl₂Br | 0.01 | 모노클로로벤젠 | <2.0 |
CHBr₂Cl | 4.32 | 에틸벤젠 | 2.10 |
브로모포름 (CHBr₃) | 16.61 | 1,2-디클로로벤젠 | <2.0 |
트리할로메탄 (THM) 지표 | 0.210 | 1,4-디클로로벤젠 | <2.0 |
2-클로로페놀 | <2.0 | 1,2,4-트리클로로벤젠 | <2.0 |
2,4-디클로로페놀 | <2.0 |
| |
세균분석 | |||
평판계수 | Nill | 대장균 | Nill |
총 대장균 | Nill | 잔류염소 (mg/l) | 0.2-0.5 |
출처 : Monitoring the quality of potable water in kuwait, Mr.Khalefa Al Fraij, 2000
□ 물시장 현황
분야별 자본 지출($m) | 2013 | 2014 | 2015 |
물사업 자본 지출 | 324.5 | 377.6 | 276.4 |
상수도 관망 | 67.4 | 72.2 | 77.0 |
수처리 시설 | 4.1 | 4.4 | 4.9 |
수자원(담수화 제외) | 36.5 | 40.0 | 44.1 |
염수 담수화 | 216.5 | 260.9 | 150.4 |
하수 사업 자본지출 | 94.9 | 67.0 | 103.8 |
하수 관망 | 62.6 | 44..9 | 70.8 |
하수처리시설 | 23.7 | 16.5 | 25.6 |
슬러지 관리 | 8.6 | 5.6 | 7.4 |
산업 자본 지출 | 56.0 | 73.3 | 55.7 |
총 자본 지출 | 475.4 | 517.8 | 435.9 |
기술 분류에 따른 자본지출($m) | 2013 | 2014 | 2015 |
물-기름 분리 | 28.4 | 38.2 | 27.9 |
부유 물질 제거 | 50.3 | 58.0 | 41.6 |
용존 고형물 제거 | 69.4 | 82.1 | 47.6 |
생물학적 처리 | 8.6 | 6.7 | 9.3 |
소독 | 5.1 | 6.3 | 4. |
슬러지 관리 | 8.5 | 6.3 | 7.7 |
총 기술 | 170.2 | 197.7 | 138.4 |
취수 / 배출 | 55.3 | 65.3 | 40.7 |
일반 건설 / 기타 | 83.3 | 97.6 | 64.8 |
네트워크 및 자원 | 166.6 | 157.2 | 191.9 |
총 자본 지출 | 475.4 | 517.8 | 435.9 |
분야에 따른 운영비용($m) | 2013 | 2014 | 2015 |
상수도 사업 | 595.1 | 637.6 | 703.4 |
하수도 사업 | 49.8 | 556 | 62.0 |
산업 | 106.8 | 108.8 | 112.6 |
총 운영 비용 | 751.7 | 802.1 | 878.0 |
부분에 따른 운영비용($m) | 2013 | 2014 | 2015 |
인건비(자체 서비스) | 289.4 | 306.9 | 334.0 |
에너지 | 113.2 | 121.8 | 134.5 |
부품 및 소모품 | 40.9 | 43.4 | 47.1 |
화학 | 35.6 | 37.3 | 40.0 |
타사 서비스 | 37.9 | 40.4 | 43.9 |
석유 및 가스, 물 서비스 | 0.0 | 0.0 | 0.0 |
기타 | 234.7 | 252.3 | 278.5 |
총 운영비용 | 751.7 | 802.1 | 878.0 |
□ 수자원
○ 쿠웨이트는 지속적으로 물이 흐르는 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쿠웨이트의 강은 몇몇의 와디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쿠웨이트와 이라크 국경에 있는 al Batin이라는 지역에 위치한다. 쿠웨이트는 음용수와 가정용수의 주요 수원을 담수화에 의존하고 있다. 쿠웨이트에는 현재 6개가 넘는 담수화 플랜트들이 있다. 쿠웨이트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담수화 기술을 사용하여 거대한 규모의 가정용수를 공급하는 나라이다.
○ 1965년, 쿠웨이트 정부는 스웨덴의 기업 VBB의 공학 계열에 쿠웨이트 물 공급 시스템의 현대화 계획의 개발과 실행을 위탁했다. 이 회사는 전체 31개,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Water Tower들을 만들었으며, 이는 그들의 chief archtect인 Sune Lindstorm에 의해 설계되었고, 흔히 "the mashroom tower"라고 불렸다. 6개의 지역에 쿠웨이트의 Emir인 Sheikh Jaber Al-Ahmed는 더 좋은 디자인을 원했다. Kuwait Towers로 알려진 마지막 그룹은 3개의 타워로 구성이 되었으며, 이 중 2개는 water tower의 역할도 하고 있다. 담수화 시설에서부터 온 물은 이 타워들에 공급된다. 32개의 타워들은 표준 용량 102,000m³를 가지고 있다. "The Water Towers" (Kuwait Tower and the Kuwait Water Towers)는 건축부문에서 Aga Khan Award를 입상한 적도 있다.
○ 쿠웨이트의 신선한 수자원은 지하수와 해수 담수, 그리고 처리된 하수로 제한되어 있다. 쿠웨이트에는 3개의 주요 지방 하수 처리 플랜트들이 있다. 대부분의 물 수요는 현재 해수 담수화 플랜트들로 충족하고 있다. 하수 처리는 국가 하수 네트워크를 통해서 국가 시설의 약 98%를 다루고 있다.
출처 : Kuwait - Wikipedia
□ 상수도현황
○ 급수구역 인구수 : 3,753,121 (2014, 100%)
○ 관망 연결수 : 168,400 (2010)
○ 상수도 시설 수용 능력 : 658,700,000 m³/yr (2014)
○ 계량기 보급률 : 90.9% (2010)
○ 누수율 : 3.0% (2014)
□ 하수도현황
○ 하수도 인구수 : 3,753,121 (2014, 100%)
○ 하수도 연결수 : 1,500,000 (2010)
○ 하수량 : 292,100,006 m³/yr (2010)
○ 하수 수집율 : 88.7% (2014)
○ 2차 단계로 처리되는 하수 : 8.0% (2014)
○ 3차 단계로 처리되는 하수 : 92.0% (2014)
○ 하수처리장 수 : 7 (2013)
○ 하수처리장 설계상 총 수용능력 : 909,000m³/d (2013)
○ 하수처리장 실제 총 수용능력 : 819,000m³/d (2013)
□ 물관련 정책현황
○ Desalinated Water : 쿠웨이트는 총 용량이 2,432백만m³이 되는 7개의 담수화 플랜트를 가지고 있다. 담수화 기술 하나로는 쿠웨이트에서 점점 늘어나는 인구의 물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 쿠웨이트는 매우 다각화 된 경제없이 담수화에 들어가는 비용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 진정한 위협에 직면했다. 비록, 단기 및 중기적으로는 담수화 생산이 실현 가능하지만, 비용이나 에너지 대비 효율성이 장기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쿠웨이트는 하루에 389MW를 생산할 수 있다고 추정되는 거대한 태양광 퍼텐셜을 가졌다. 화석 연료 발전 담수화 과정은 이후 지속가능 태양광 기술로 대체될 수 있다. 쿠웨이트에서 주요 태양광 담수 플랜트의 건설은 대략 $ 2.5십억으로 비용이 추정되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한은 8~10년으로 예상된다. 태양관 발전 담수화는 비용 효율성과 불안한 석유가격과 탄화수소 저장량 감소의 리스크를 우회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만듦과 동시에, 쿠웨이트 내 0.36백만 톤의 매연을 줄일 수 있으며, 연간 0.963백만 배럴의 석유를 아낄 수 있다.
○ Wastewater Treatment : 2005년과 2014년 사이 쿠웨이트에서 물에 투자한 주요 투자는 $ 3.4백만으로, 이 금액은 물 처리 플랜트 건설에 사용되었다. 연간 재활용 폐수 생산 추정량은 206~254백만 m³이다. 약 폐수의 30%가 현재 바다에 배출되고 있다. 쿠웨이트는 이 수자원은 100% 활용하여 농업용 관개용수, 조경용수, 숲 지역 개발에서 사용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이 계획은 신선한 물의 보존과 수자원 결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처리된 하수는 또한 신선한 물을 생산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으며, 소비자들도 구매에 있어 더 싸게 구입할 수 있다.
- 쿠웨이트 정부는 현재 최초 하루 처리 용량 500,000m³의 하수 시스템과 하수 송수 및 하수 네트워크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현존하는 수집율과 배분 네트워크의 확장과 증진, 하수 예상 증가량에 대비한 적절한 저장 시설 공급을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다.
○ Artificial Aquifer Recharge and Strategic Water Storage : 처리된 하수는 또한, 쿠웨이트의 대수층에 농업용 관개 수요가 적인 겨울동안 인공적으로 신선하고 염분이 있는 water lenses를 충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전략은 지방의 하수 증가로 인한 미래 물 보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대수층에 저장된 이 물은 전략적 물 보존량으로 높은 수요가 있는 동안에 관개용수로 사용된 수 있다.
- 1976년, 쿠웨이트의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는 33개의 타워들을 건설하였으며, 이들은 100,000m³ 이상의 저장 능력을 가졌다. 이는 전략적 물 저장 규모를 증가시켜 물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상당한 잠재력을 가졌다. 쿠웨이트의 정부는 그것들의 전략적 물 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반시설에 투자를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
출처 : “Kuwait : Food and Water Security”, FutureDirections International, 2015.1
□ 상하수도 요금체계
○ 2012년 기준 주에 속한 시설이나 기업들에게는 0.8 Fils/Gal이며 일반 기업들은 0.25 Fils/Gal이다. 하지만 2016년 저유가 대비책으로 보조금이 감소하고 수도세가 2배로 오를 예정이다.
출처 : Kuwait Water Tariff, Dynamic Energy & Water Solutions, 2012
□ 상하수도 예산현황
○ 쿠웨이트의 Ministry of Public Works는 지난 달, 국가 전역에 많은 하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 281백만의 계획을 소개하였다.
- 첫 계획은, 위생시설 부문의 차관인 Khalid al Kahzi에 따르면 Al Aridiya 하수 처리 플랜트에 통제 및 감시센터 건설과 관련이 있다. 이 센터를 위한 비용은 약 $ 57.5백만이 될 것이다. 다른 프로젝트들로는 $ 131백만이 필요한 Al Aqila 하수 처리 플랜트의 하수 파이프라인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초당 4200L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계획, $ 50.5백만이 필요한 Sabhan, Subah al Salem, al Qosour, Mubarak al Kabir, Abu Fatira, al Zahr, Hadiya, al Raqqa, al Fontas and al Mahboula지역에 처리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의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계획, Amghara와 al Jahraa지역에 하수 처리 플랜트와 펌프장 건설 계획, 그리고 $ 42백만이 필요한 AL Rai, al Rapai 그리고 al Salibiya 산업 구역에 상수 및 하수 파이프라인 업그레이드를 위한 계획 등이 있다.
- 쿠웨이트의 2013~2016년 지방의 상하수도 자본 소비 예산을 합친 금액은 $ 4.4십억이다. 하지만, 하수 부문에서 다른 걸프 만의 나라들에 비해 뒤떨어진 편이다. 최근 하나의 연구는 쿠웨이트가 자국 폐수의 10%만을 처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부는 물과 위생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출처 : 'Kuwait rolls out $ 281m wasterwater projects plan',
constructionweekonline, 2013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 (MEW) : 쿠웨이트의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는 전기와 물 관련해서 생산, 발전, 송전 및 송수, 배분을 담당하는 쿠웨이트 내 단 하나의 기관이다.
○ The Environment Public Authority (EPA) : The EPA는 환경법의 강화, 관련 프로젝트들의 감시 및 감독, 프로그램 시공, 계획 평가 등을 담당하고 있다.
(https://www.epa.org.kw/index.php?&language=e)
출처 : Kuwait Utilities Sector, Capital Standards, 2013.7
출처 : The 2015 Global Climate Legislation Study, Michal
Nachmany 외 11명
□ 병물사업
○ Umm Al-Hayman WWTP : Riqqa에서 Umm Al-Hayman 지역에 이르는 지역에서 모인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500,000m³/d 용량의 WWTP(최종 목표 수용량은 700,000m³/d)에 대한 재무, 건설, 운영 계획. 현재 계획은 끝났으며 사전 RFP 단계이다. 계약 형태는 25년의 WWTP 운영주기를 동반한 BOT계약이다.
○ Az-Zour North stage 2 : Az-Zour North complex의 수용능력 확장으로 최소 1,500MW의 전기와 102MIGD(463,692m³/d)의 담수화 능력을 추가할 예정이다. 현재 사전 RFP 단계이며, 계약 형태는 25년 주기의 운영기간을 동반한 IWPP이다.
○ Khirran IWPP : 독립적 발전과 물 계획을 결합한
계획으로, 적어도 1,800MW의 석유발전과 125MIGD(568,250m³/d)의 담수화 능력을 갖추고, MSF, MED
혹은 RO 기술의 조합을 이용하려 한다. 현재 계획은 끝난 상황이며 사전 RFP 단계이면서 계약 형태는 25년 운영주기의
IWPP이다.
□ 외국인 투자
○ 미 수처리기업 Xylem 사는 8천만 달러 규모의 쿠웨이트 폐수처리사업 수주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Xylem 사는 쿠웨이트 술라이비야(Sulaibiya) 지역에 폐수 처리 및 재생 시설 전용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게 된다. 해당 시설은 완공 시 세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시설 용량이 60% 증가해 일일 60만㎥에 이를 예정으로, 이를 통해 쿠웨이트 남부와 서부 지역에 증대되고 있는 관개 수요가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Xylem 중동 및 아프리카 담당자 Vincent Chirouze는 “이번 사업 도급 업체 Kharafi National 사와 협력할 예정인 본사는 최적화된 2차 처리 솔루션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을 조달하여 수자원 부족을 겪고 있는 건조 지역 술라이비야에 재사용 가능한 청정수를 공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Xylem 사는 중동과 북아메리카 지역의 18억 달러 규모 시장을 타진하고자 술라이비야 지역의 물 재사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해당사는 올해 제벨 알리 자유무역지구(Jebel Ali Free Zone)에 생산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며, 이에 일차적으로 2,500~3,500만 달러를 투자하게 된다.
출처 : ‘미 Xylem사, 쿠웨이트 폐수처리사업 수주’,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