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캄보디아 왕국(Kingdom of Cambodia)
○ 위 치 : 인도차이나 반도 동남부(베트남·라오스·태국과 접경)
○ 건국(독립)일 : 1953년 11월 9일(독립기념일)
○ 면 적 : 181,035㎢(남한의 약 1.8배, 한반도 전체의 약 80%)
- 남북 450㎞, 동서 580㎞, 해안선 340㎞
○ 인 구 : 14,676,591명(2013년 기준, 남 7,121,508명 / 여 7,555,083명)
- 인구밀도 : 82.6명/㎢
- 인구증가율 : 1.7%
- 성비 : 여성 100명당 남성 96명
○ 기 후 : 열대몬순, 고온다습(계절 및 지역에 따라 상이)
- 3∼5월 : 북서풍, 고온 건조(최고기온 35∼40℃)
- 6∼8월 : 남서풍, 고온 다습
- 9∼11월 : 다습 (우기)
- 12∼2월 : 건조 (최저 20℃∼최고 30℃)
○ 수 도 : 프놈펜(Phnom Penh : 인구 약 220만 명, 면적 375㎢)
○ 주요도시 : Phnom Penh(230만명), Sihanouk Ville(20만명), Battambang(25만명) (2013)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수련(Nympaea tetragona)
○ 국 조 : 큰따오기(Giant Ibis)
□ 정치
○ 정부형태 : 입헌군주국으로 국가원수는 국왕이나, 정부 수반인 총리가 실질적으로 국정 운영
○ 실 권 자 : 노로돔 시하모니
○ 총 리 : 훈 센(1998년 11월 30일 ~ )
○ 정부구조 : 의원내각제
○ 행정구역 : 전국을 24개 주 및 1개 수도(프놈펜)로 나누고 그 아래에 시·군·구가 있으며, 다 시 면과 동으로 구분
- 수도 및 각 주 이하 행정구역 단위
· 프놈펜 : 구(khan) - 동(sangkat) - 촌(village/phum)
· 주(Province) : 군(district/srok) - 면(commune/khum) - 촌(village/phum) - 시(municipalities) - 동(sangkat) - 촌(village/phum)
- 새로운 주 : Tboung Khmum (뜨봉 크몸) (2014년 1월 깜뽕참주에서 분리, 6곳의 군 및 1곳의 시 있음. 주지사 : H.E Mr. Prach Chan)
○ 외 교
- 캄보디아는 역사상 잦은 외침과 내란을 경험하였다. 그래서 캄보디아 헌법은 영구중립?비동맹 정책과 세계 모든 국가와의 평화공존을 대외정책의 기조로 다음과 같이 천명하였다.
- 캄보디아의 중립성을 없애는 군사 동맹이나 군사 협정에 가입하지 않는다.
- 캄보디아 영토 내에서 다른 국가의 군사기지 불허 및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의 틀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는 자국 군대의 해외파병을 금지한다. 단, 방위 및 안보를 위한 군대훈련 및 장비지원 형태의 외국원조는 수용한다.
- 핵무기, 화학무기, 생물무기의 제조와 사용 및 저장을 금지한다.
- 캄보디아는 1999년 4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이하 아세안) 가입을 통해 양자외교에 대한 지나친 편중과 높은 의존도에서 탈피하고 지역 및 국제사회 편입을 지속적으로 추구하였다.
- 캄보디아는 1955년에는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에, 1999년에는 아세안에, 2004년에는 세계국제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와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Asia-Europe Meeting)에 가입하였다. 또한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ssociation) 체결을 비롯하여 주요 국제기구 및 지역협력기구에 가입하였다.
- 캄보디아는 전통적 우방국인 중국 등과 실질 협력을 강화하고 타이, 베트남, 라오스 등 인접국가와의 국경문제 해결을 통해 지역 안정을 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재원확보를 위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 주요 원조공여국과의 관계도 강화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리엘, 1미불 = 4,049 리엘(2015. 12. National bank of Cambodia 평균환율), 미화달 러통용
○ 외환보유고 : 23억 달러(2012년) / 외채 50.3억 달러(2012년)
○ 교역규모
- 수출 : 69억 달러
- 수입 : 90억 달러(무역수지 적자 21억 달러) (2013년)
○ GDP : 195억$ (2016)
○ 1인당 GDP : 1,235$ (2016)
○ 경제성장 : 캄보디아의 지난 연간 GDP 성장률은 2010년 6.0%, 2011년 7.1%, 2012년 7.3%, 2013 7.4%, 2014년 7.0%를 기록했으며, ADB는 향후 2015년에는 7.3%, 2016년에는 7.5%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함.
○ 주요산업
- 농업 : 농림 수산업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이며 전체 노동 인구의 7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비교적 넓은 국토와 적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농업 발전에 대단히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메콩강과 그 지류들, 톤레샵(Tonle Sap)호수의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강 주변의 퇴적 지대에 양호한 농지들이 분포해 있다.
- 봉제 산업 : 봉제 산업은 캄보디아에서 거의 유일한 2차 산업으로서 2013년 현재 캄보디아 섬유 제조업체 협회(GMAC: Gar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of Cambodia)에 등록 되어 있는 업체는 총 500여 곳에 이른다.
- 건설업 : 건설업은 제조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최근 2~3년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봉제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 발달하면서 여성 노동력이 수도권으로 밀려들고 있으나 이를 수용할 주거 시설이 부족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단순한 주거 시설이 대거 들어서고 있다.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면서 상업용 건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소규모의 상업용 건물이 신축되고 있는 단계이다.
- 관광업 : 관광업은 캄보디아가 육성하고자 하는 중요한 부문 중의 하나이다. 앙코르 문화유적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객은 연간 350여만 명에 달하고 있다.
- CDM 시장 동향 : 캄보디아 정부는 CDM사업을 국가발전 및 빈곤퇴치를 위한 기회, 또한 온실가스 배출을 축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적극 장려하고 있다.
□ 사회·문화
○ 언 어 : 크메르어, 불어(50대 이상), 영어(청·장년층)
○ 민 족 : 크메르족 90%, 소수민족(베트남, 중국, 참족, 고산족)
○ 종 교 : 불교(95%), 기타(5%)
○ 교 육
- 캄보디아의 교육 인프라는 기본적으로 열악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메르루즈(Khmer Rouge)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1979년 크메르루즈가 붕괴한 후로 다시 재건되고 있다. 캄보디아는 교육시설, 교사, 교육매체가 모두 부족하다. 프놈펜(Phnom Phen)은 그나마 기본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방은 매우 열악하다. 교육은 초등교육이 중심이지만, 점차 중·고등교육으로 확산되고 있다.
- 캄보디아의 교육제도는 1996년부터 한국과 같은 6-3-3제를 유지하고 있다. 캄보 디아 헌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9년을 의무 교육으로 규정하고 있다. 2009학년도~2010학년도 기준으로 초등학교가 94.8%, 중학교가 31.9%, 고등학교 19.4%였다. 대부분이 공립학교였으나 2011년을 기준으로 사립학교가 증가하고 있다. 학교와 교사가 부족하기 때문에 학교는 오전·오후반 2부제로 운영된다.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IMF, Google
□ 일반
○ 캄보디아의 기후는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이며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
□ 기온
○ 캄보디아의 기후는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이며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 3월~5월에는 서풍이 불고 고온 건조하며 최고 기온이 35℃~40℃이다. 6월~8월에는 남서풍이 불고 고온 다습하다. 9월~11월은 우기로 다습하고, 12월~2월은 건조하며 최저 기온이 20℃이고 최고 기온이 30℃이다.
□ 강수량
○ 강수량은 주변 산지에 많고 몬순의 영향이 미미한 중앙평원에서는 적다. 연평균강수 량은 1,000∼1,500mm이나 남서부 산지의 바다쪽 경사면은 5,000mm 이상이다.
□ 자연재해
○ 캄보디아는 태풍피해가 거의 없지만 2009년 태풍 케사나(KETSANA)로 북동부 지역과 시엠레아프(Siem Reap)시가 태풍피해를 입었다. 우기에는 메콩 강 수위가 높아지기 때문에 지대가 낮은 곳은 홍수 위험이 있다. 또한 수도인 프놈펜은 배수 시설이 열악하고 지표면이 낮아서 우기에 소나기가 집중적으로 1시간~2시간만 내려도 도로 곳곳이 침수되어 교통정체가 심하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메콩강과 톤레샵호로 풍부하고 질 좋은 음용수를 제공하며, WHO 기준에 따르면 침전, 소독을 포함한 간단한 정수처리만으로 이들 수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됨
- 메콩강 유역면적은 전체 캄보디아 면적의 86%에 해당하며, 우기 범람으로 아시아 최대의 호수인 톤레샵호로 유입되며, 톤레샵 호수의 넓이는 홍수 시에는 15,000㎢까지 증가되어 인근 주민들에게 질 좋은 농경지와 어류의 서식지를 제공함
○ 수자원 양은 동아시아에서 3번째로 풍부하여 1인당 연간 평균 물 유효량은 5,000㎥으로 매우 높은 편이며, 주요 강은 Upper Mekong, Tonle Sap, Bassac과 Lower Mekong으로 인간의 간섭에 대해 큰 영향을 아직 받지 않은 상태임
○ 연간 8억㎥의 용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큰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농업용수로 전체 사용량의 61%, 약4.5억㎥/년을 차지
□ 지하수
○ 지하수의 총량은 1,760억㎥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하수는 연중 풍부하게 제공되며, 소독 후 공공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되나 일부 지역에서는 미세 침전물이 문제를 일으켜 지하수의 사용이 환경적으로 민감한 실정임
○ 지하수는 농촌지역과 일부 소도지역에서 매우 폭넓게 이용
- 인구의 80%가 거주하는 농촌지역 인구의 60%이상은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수도인 프놈펜지역은 단지 15%정도가 우물물을 사용
출처 : KEITI. 캄보디아환경개선마스터플랜수립사업. 2009
□ 지표수
○ MOWRAM(이전 MAFF에서 역할 수행)은 메콩위원회의 협조로1993년 수질관리 모니터링을 9개 지점에 대하여 매월1회씩 정기적으로 실시하였으며, 1995년에는 11개 지점 2004년 21개 지점으로 확대됨
- 측정항목은 총 부유물질(TSS), 전기전도도(EC), 수소이온농도(pH), 용존 산소(DO), 총인(T-P), 총 질소 (T-N)로 6개 항목임
- 측정 개시(1987) 이후 하류 메콩강 유역 중 도시중앙지역 및 농경지는 질소와 인은 약간 증가했으나 Mekong delta는 영양염류 농도가 감소했음
- 메콩강 본류의 영양염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이며, DO는 7.4mg/L로 WHO 수질기준의 “좋은 수산용수”에 해당
○ 환경부는 캄보디아 4대강의 7개지점에서 매달 모니터링 실시
- 측정 10개(pH, 전기전도도, DO, TSS, BOD5, COD, NO2, NO3, PO4, 대장균군수) 항목이며, 공 공수역에 대한 수질분석수는 1998년 72개에서 2003년 108개로 확대됨
- 수질측정결과, Water Pollution Control법령에서 정의한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위한 국가수질기준을 만족했으나 대장균군수의 경우 5,000 MPN/100mL의 기준을 초과한 200,000MPN/100mL로 조사됨
출처 : 해외환경산업정보 전문리포트 - 캄보디아 물 산업 시장 진출 전략
□ 하수,배출수
○ 하수도 보급률은 평균 16%를 보이며, 도시지역의 경우 68.8%에 달하지만 농촌의 경우 9.21%로 매우 낮으며, 소규모 오수처리시설 약 10여개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나 1970년대 이전에 건설된 것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노후화 등으로 우기에 종종 범람을 일으킴
○ 각 가정의 대부분은 수도 시설이 연결되지 않은 재래식 화장실을 이용하고 있으며, 발생된 오수의 고형물은 침전시키고, 상등수(Superatant)는 집 근처에 있는 웅덩이에 방류되어 주민들에게 악취 및 피부병을 유발하는 주요인임
○ 프놈펜의 경우, 일부 지역에 합류식하수관거시스템이 보급되어 있으나 발생한 생활하수의 약10%는 직접적으로 Tonle Sap, Tonle Bassac 또는 작은 다른 지류에 무단 방류되거나 약 90%는 합류식하수관거를 통해 Boeng로 알려진 저류지에 무단 덤핑하여 자연산화 처리되고 있는 실정임
출처 : 해외환경산업정보
□ 음용수
○ 가난한 캄보디아, 물에 대한 인식 부족
- 캄보디아의 물은 지역적 특성상 석회질, 철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장기간 음용시 석회질체내 축척축적 등 식수로는 부적합. 1인당 GDP $600 내외의 캄보디아 국민들은 돈 주고 식수를 사먹을 만한 형편이 못돼 이를 알고도 음용하는 경우가 많음.
- 정수된 수돗물 또한 낡은 수도관으로 전달되면서 녹물질이 포함돼 식수로 부적합.
- 수돗물을 끓여서 음용하거나 우기 때 모은 빗물을 음용하는 방법으로 물을 사용.
- 특히 농촌지역의 잘못된 음용 습관은 설사, 콜레라 등의 질병을 야기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캄보디아의 물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원하는 사회적 목소리가 다방면에서 나타남.
출처 : 비나한인 - 캄보디아(http://www.vinahanin.com/)
□ 상수도현황
○ 국민의 약 76%가 우물이나 하천, 개울 등을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도시인구의 경우 안전한 식수원에서 공급 받는 비율은 66.5%이며, 인구의 80%가 거주하는 농촌인구의 50% 이상은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식수를 음용하고 있음
<공급방식에 따른 수자원 이용현황> |
|
1. 그 외
2. 연못, 강, 하천
3. 보호되지 않은 우물
4. 유조선, 트럭이나 구입한 것
5. 빗물
6. 보호된 우물
7. 튜브 / 파이프 우물 또는 시추공
8. 공공 수도
9. 주거 파이프
출처: MOWRAM(Ministry of Water Resource & Meteorology, 캄보디아수자원기상부)
○ 수도보급률은 공공 및 민간업체를 통한 공급을 포함하면 전국 평균24%이며, 1993년 이후 깨끗한 용수공급을 위해 정수 및 급수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놈펜을 비롯한 18개의 주요도시에서만 제한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실정임
○ 주요도시(프놈펜, 시엠림, 씨에뉴크빌)의 정수처리 시설용량은 316,000㎥이며, 지하수를 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철의 농도가 높아 약품을 다량 사용하고 있으며, 상수도 시설은 50%년 이상된 시설이 많고 관정 부식 등이 발생하여 교체가 시급한 실정임
<주요도시의정수처리시설현황> | ||||
도시명 | 수처리장명 | 시설용량 (㎥/일) | 수원 | 비고 |
프놈펜 | Phum Prek Treatment plant | 150,000 | Sap River | 운영중 |
Chroy Chang War Treatment Plant | 130,000 | Mekong River | 운영중 | |
Chamkar Morn Treatment Plant | 20,000 | Bassac River | 운영중 | |
시엠립 | Siem Reap Water Treatment Plant(JICA) | 8,000 | Ground water | JICA원조로 2006년완공 |
씨에누크빌 | Sihanoukville Water Treatment Plant | 8,000 | Boeng Prek Tup Lake, Groundwater | 지하수는 건기이용 |
출처: 해외환경산업정보 전문리포트 - 캄보디아 물 산업 시장 진출 전략
□ 하수도현황
○ 지하수 사용 관정 수는 농촌지역에서 관개용수 및 가정용수 사용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약 2,000개 이상의 소형 트레들펌스 및 20,000개 이상의 수동조작 우물, 동력을 이용한 대형우물 약 5,000개 정도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됨
출처: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 상하수도 법령현황
○ 환경부가 설립된 1996년1월이후 본격적으로 수자원 및 수질에 대한 관리가 시작되었으며, 그해12월에 환경보호 및 자연자원관리에 관한법이 공포되었으며, 물오염관리에 관한법령이 1999년4월에 제정, 공포됨
- 물오염관리 법령
· 물 오염 규제의 목적은 공공수역 오염방지와 사람의 건강 및 생물 다양성 보전
· 유해오염물질의 종류를 유기할로겐화합물과 그 화합물을 만드는 물질 등 15개 항목 제시
· 보호수역, 공공수역과 하수구에 방류하는 폐수배출 허용기준에 대해 온도 등 52개 항목 제시
· 폐수배출 오염도에 따라 산업시설을 폐수배출량이 10㎥/일 초과시 환경부로부터 사전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형과 무조건 환경부 승인을 받아야 하는 유형으로 구분
· 하천과 호소 및 연안에서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공공수역 수질기준 제시
· 사람의 건강 보호를 위한 사염화탄소 등 25개 항목의 공공수역 수질기준 제시
- 수자원관리법에는 수자원을 정부가 관리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처리/보관은 폐수처리방류허 가를 받도록 하는 등의 중요한 정책을 정의하고 있음
출처 : KEITI. 캄보디아환경개선마스터플랜수립사업. 2009
□ 상하수도 정책현황
○ 캄보디아정부는 밀레니엄개발계획(CMDGs, 2003)에서 2015년까지도시지역(80%), 농촌지역(62%)에 안전한 식수원 공급계획을 수립하여 관련프로젝트들을 추진중에 있음
<밀레니엄개발계획에따른용수공급량과계획> |
|
자료원: 캄보디아환경개선마스터플랜수립사업 |
<물관리 주요정책> | |
문서명 | 발표기관 |
Irrigated Agriculture Sector Policy Guideline (관개농업분야정책가이드라인) | RGC(캄보디아정부, 2000년) |
Rural Water Supply Sector Policy Guideline (농촌급수분야정책가이드라인) | MRD(농촌개발부) |
Urban Water Supply Sector Policy Guideline (도시급수분야정책가이드라인) | MIME(산업자원부) |
Water User Community Policy(물이용자커뮤니티정책) | MOWRAM(수자원관리부) |
National Water Resources Policy for Cambodia(draft) 2002 (캄보디아수자원정책초안2002) | MOWRAM(수자원관리부) |
National Water Supply Policy (국가물공급정책) | MOWRAM(수자원관리부) |
출처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캄보디아환경개선마스터플랜수립사업
□ 물관련 조직현황
○ 수자원관리 분야는 MoE(환경부)와 MOWRAM(수자원관리부)의 설립으로 제도적으로 큰 변화가 발생했으며, 역량강화와 제도적 개선은 상당부분 국제기구의 도움으로 이루어짐
<물공급관리부서의역할과책임> | |
관리부서 | 역할과책임 |
PPWSA | -프놈펜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캄보디아에서 가장 큰 공급자 -독립적인 공공기업으로 운영되며, 공급능력은 235,000㎥/일 -수처리수질관리, 일반적인 수질분석, 분산된 수질관리망을 포함한 여러 수질 모니터링 활동의 권한을 가짐 |
MIMIE | -MIME 산하의 이동급수와 프놈펜외의 도시급수시스템의 개발책임 -수도관로개선, 수질모니터링, 수도요금, 공공및개인음용수의기술적지원 -효과적인수질모니터링을위해먹는물기준과중앙및지역실험실이있음 -MIME 산하의산업기술표준원은제조허가를위한병입수질을분석 |
MRD | -MRD 산하의농촌급수와는농촌지역의공동급수책임 -물공급자에대한새로운설비의안전한사용과유지관리교육 -농촌지역급수과에대해수질측정을위한기계사용방법과유지관리교육 |
MOWRAM(www.mowram.gov.kh) | -국가수자원관리의총괄책임 -관개용수중심의지하수및지표수를포함하며, 주요활동은하류메콩강유역 -다른물관련부서와ADB로부터받은국가물정책의설계완성 |
-MoH 산하음식약품과는물관련질병을연구하는책임 -국가건강증진센터는위생홍보와교육활동에종사 | |
MoE | -국가생물다양성과인간의건강보호와관련한수질오염의환경적인관점에서보전에대한책무 |
○ MOWRAM(수자원관리부)가 설립되기 전까지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효과적인 수자원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분산된 관리체제는 수자원정책이나 법을 추진하는데 효율성을 저해하였음
- 캄보디아 수자원 정책자료에 따르면 MIME, MRD, MAFF는 수자원 개발과 서비스 공급을 담당하고, MOWRAM(수자원관리부)는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국가 수자원관리를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MoE(환경부)는 수자원을 보호하는 역할, 메콩위원회는 상호 이해관계 부문의 효율적인 조정을 담당하고 있음
- 음용수의 공급은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주요 책임하에 있으며, 주요관리부서는 MIME, MRD, PPWSA이며, 캄보디아는 WHO를 포함한 국제기구 및 UN의 일원이므로 국제기구와 NGO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음
출처 :KOTRA - 해외 물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국가정보(캄보디아)
□ 사업
○ 캄보디아정부는 밀레니엄개발계획(CMDGs, 2003)에서 2015년까지 도시지역(80%), 농촌지역(62%)에 안전한식수원공급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프로젝트들을 추진중에 있음
<밀레니엄개발계획에따른용수공급량과계획>
출처 : 해외환경산업정보 전문리포트 - 캄보디아 물 산업 시장 진출 전략
□ 해외원조
○ 유상원조(EDCF)
- 2005 크랑폰리강 수자원개발사업 26.7백만불
- 2008 시엠립 하수처리 및 하천정비사업 30.0백만불
- 2010 몽콜보레이댐 개발사업 18.7백만불
- 2012 살라타온댐 개발사업 36.6백만불
- 2013 다운트리댐 개발사업 46.7백만불
- 2014 시엠립 하천정비사업 2차 13.3백만불
○ 무상원조(KOICA)
- 타목저수지복구지원사업('02-'04 /137만불)
- 크랑폰리 강 타당성 조사 사업('04-'05/70만불)
- 국가 수자원개발 종합계획 수립사업('06-'08/149만불)
- 바테이 홍수조절사업('07-'08/200만불)
- 관개수로 복구 및 농촌개발을 위한 한일공동사업('09/20만불)
- 바테이 관개수로 건설사업('09-'10/250만불)
- 항만물류기능 활성화를 위한 수로개선타당성 조사사업 ('14-'16/550만불)
○ 2015년 계획
- (EDCF)다운트리댐 개발사업 프로젝트 503억원 2013-2019 10억원
- (EDCF)몽콜보레이댐 개발사업 프로젝트 207억원 2010-2015 34억원
- (EDCF)살라타온댐 개발사업 프로젝트 395억원 2012-2017 69억원
- (KOICA)크랑폰리강 유역 관개시스템 개선 및 농업생산성 향상 사업 (2015-2017/800만불) 프 로젝트 82.4억원 2015-2017 1억원
출처 ODA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