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카타르(State of Qatar)
○ 위 치 : 걸프 만 서안에 돌출한 반도 국가로서, 남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 에미리트, 북서쪽으로 바레인에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
○ 건국(독립)일 : 1971.9.3.
- 영국과의 보호협정폐지 및 완전독립 선언
○ 면 적 : 11,521㎢ (경기도 크기와 유사)
- 총 면적은 11,521㎢로서, 해안선은 563km이며, 남북 168km?동서 80km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접경
○ 인 구 : 2.23백만 명
○ 기 후 : 사막성 기후 : 고온 다습한 여름(최고 기온 50℃ 이상), 온화한 겨울(최저 기온 10℃)
○ 수 도 : 도하(Doha)
○ 주요도시 : 도하(Doha) : 항구 도시이며 카타르의 수도로서 정치·경제·사회·문화 생활의 중심지
○ 기타 도시 : 석유화학 산업 도시 메사이드(Messaieed), 유전지역 두칸(Dukhan), 가스 생산지 라스 라판(Ras Laffan), 도하 인근 해안 도시 알-와크라(Al-Wakrah), 알-코르(Al-Khor) 등
○ 국 기
○ 국가문장
○ 국 조 : 매
□ 정치
○ 정부형태 :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토후국(세습군주제)
○ 실 권 자
- 총리 : 압둘라 빈 하마드 알-아티야 (H.E. Abdullah bin Hamad Al-Attiyah)
○ 정부구조
- 국가원수 : 쉐이크 타밈 빈 하마드 빈 칼리파 알 싸니 국왕 (Sheikh Tamim bin Hamad bin Khalifa Al Thani)
- 입 법 부 : 자문위원회(Advisory Council, 45석(직접선거 30명, 임명 15명), 임기 4년)
※ 정당 활동 금지, ’05년 실시 예정이던 자문위원회(30석) 선거 계속 연기중
- 사 법 부 : 3심제 실시, ’07년 행정 법원과 헌법 법원의 특수 법원 설치
- 최고사법평의회의 천거를 받아 국왕이 판사 임명
- 총리(내무부 장관 겸직) 포함, 20개 부처 장관 (총 20명)으로 각료회의 구성(2013.6.26)
○ 행정구역
- 카타르는 2004년에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7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 구역 개편 이전에는 10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1. 아시샤말 (Madinat ash Shamal)
2. 알코르 (Al Khawr)
3. 움살랄 (Umm Salal)
4. 알다옌 (Al Daayen)
5. 알라이얀 (Al Rayyan)
6. 도하 (Ad Dawhah)
7. 알와크라 (Al Wakrah)
<그림 1> 카타르의 행정구역
○ 외 교
-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 GCC) 회원국 및 아랍권 국가와의 전통적인 협력관계 유지
- 균형적 외교 노선 유지
· 미국과의 안보 협력 및 영국?프랑스 등 EU 국가와의 정치·경제적 협력에 중점을 두는 親서방 노선을 취하는 동시에 이란, 무슬림형제단 등 역내 반미 진영들과도 적절한 우호관계 유지
· 러시아, 남미 및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확대
□ 경제
○ 화폐단위 : 카타르 리얄(QR)=100디르함 / 1$=3.64QR(고정 환율, 2014)
○ 외환보유고 : 43,325(백만불, 금 제외)
○ 교역규모
- 수출 : 118,506 백만불
- 수입 : 38,228 백만불
· 한국은 카타르의 제2위 수출국(제1위 수출국-일본, 제1위 수입국-미국)
- GDP : 2,120억불(2014, IMF)
- 1인당 GDP : 94,743불(2014, IMF)
- 경제성장 : 2011년까지 약 20%의 고도성장을 지속하였으나, 2012년 6.2% 성장률을 기록하고 2013년에서 2017년까지 약 5%대의 성장이 전망되고 있음.
- 주요산업 : 석유?천연가스(49.3%), 금융 및 부동산(14%), 제조(10.4%), 서비스(9.1%), 무역 및 관광(7.7%) 등
- 주요자원
· 석유(251억 배럴)와 천연가스(24.7조 입방미터)의 부존량이 많은 에너지 자원 부국
·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3위국. 특히, 북부 노스필드(North Field)는 세계 최대 단일가스전으로 전 세계 가스 매장량의 13.3%가 매장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영어 통용)
○ 민 족 : 베두인(토작민), 비카타르계 아랍인, 아시아계 이주 노동자, 서양인 등으로 구성, 외국인의 비중(약 86%)
○ 종 교 : 이슬람교 95%(대부분이 수니파), 기독교 및 힌두교 5%
○ 교 육
- 학제
· 유치원 / 초등(6년) / 중등(3년) / 고등학교(3년) / 대학교
※ ‘교사 대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1:10), 중학교(1:11), 고등학교(1:9)로 매우 낮은 편
- 카타르인에 대해서는 대학교육까지 무상으로 지원하며, 외국인에 대해 서도 무슬림인 경우에 한하여 동일한 대우
○ 복 지
- 금액과 연수에 따라 제한이 있긴 하지만 국가에서 무이자로 대출을 제공
- 대학 졸업 시 국가에서 무료로 토지 대여, 10년 후 토지 이전
- 전기세 무료
- 병원 진찰비 무료
-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공립 교육 무료
- 소득세 무료
(모든 혜택은 카타르 국민 한정)
○ 축제/명절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라마단 금식종료후, 매년 달라짐)
- 이드알-아드하(Eid Al-Adha, 라마단 금식 종료 70일후, 매년 달라짐)
- 국경일(12.18)
출처 :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2015.3), 카타르 개황.
□ 일반
○ 사막성 해양기후, 여름엔 덥고 습한 기후를 띄며 7월부터 9월까지 45℃, 습도85% 정도이며, 겨울은 시원하고 건조한 날씨이며 12부터 3월까지 전 지역내 10~20℃ 사이 및 습도 50%의 특징을 나타냄
□ 기온
○ 2∼2월 : 10-25℃(겨울은 온화하며 짧음)
○ 5∼10월 : 35-50℃(다습, 혹서)
○ 3∼4월, 11월 : 20-36℃(온화하고 바람이 많이 붐)
□ 강수량
○ 70mm 이하, 주로 겨울철에 집중
□ 자연재해
○ 연중 사막성 기후로서 특히 하절기에는 50도에 이르는 혹서 기후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 자연재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최근에는 강도는 높지 않으나 지진이 발생하고 있음.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카타르는 가용 지표수가 거의 없는 극심한 물 부족 국가
□ 지하수
○ 지하수로 전체 물 소비량의 36%만 충당
- 카타르의 한정적인 지하수 매장량으로 인해 카타르의 지하수 추출은 2011~2018년까지 연간 증가량 3.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카타르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강우량이 적은 나라 중 하나로, 전체 사용되는 물의 36%(연간 2억5000만㎥)를 지하수로 사용하나 강수에 의한 지하수 복원은 연간 5000만㎥에 그침.
- 이에 카타르 수자원 사용의 대부분은 담수를 통해 충당되고 있음.
출처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2015.3), 카타르 개황, KOTRA & globalwindow.org
□ 지표수·하수·배출수
< BOD 방출량으로 보는 수질 오염 정도 >
출처 : Advancing Sustainable Development - Qatar National Vision 2030, GSDP, 2009
□ 음용수
○ Qatar Environment and Energy Research Institute (QEERI)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카타르의 수돗물을 병물 만큼 안전하여 음용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출처 : 'Tap water in Qatar is as good as bottled water', The Gulf Times, 2015
□ 물시장 현황
○ 2013년 카타르 물 시장 규모는 35억 달러
- 2013년 상수 시장 규모는 15억 달러
- 2013년 담수화 시장 규모는 5.6억 달러
- 2013년 하수시장은 9억 달러규모이며, 이 중 5.8억 달러가 하수망 건설 및 정비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
- 2013년 운영시장 규모는 10억 달러
- 2013년 배관 및 펌프 등의 부품?소재 시장규모는 10억 달러
○ 카타르 부품·소재시장 현황
- 파이프 부품 시장이 연평균 18.1% 성장률
○ 6년 내 카타르 물 수요는 138% 증가할 전망
- 경제성장, 인구 증가 등의 이유로 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출처 : KEITI
□ 수자원
○ 사막국가로 수자원이 한정돼 있음에도 1인당 수자원 사용량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함.
- 2011년 207ℓ를 기록한 1인당 물 소비량은 2014년 17%가 증가한 241ℓ를 기록
- 전체 물 소비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8년에는 2억2500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인구 증가 이외에 카타르의 산업다각화 정책에 의한 제조업, 농업에 소비되는 수자원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
○ 카타르의 수처리 시장은 상수와 하수, 산업폐수 등 3분야로 구성되었으나, 정부 규제가 일관성이 없고 차별적으로 이루어져 관련 시장 예측이 어려우며, 수자원 환경이 매우 열악한 현황
○ 담수화를 통한 수자원 확보에 주력
- 담수를 통한 수자원 생산량은 2015년 연간 2.3% 성장에서 2018년 0.9% 증가로 그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담수화로 인한 물 생산량도 2014년 3억800만㎥에서 2018년 4억2400만㎥으로 증가하는 인구 대비 수자원 생산량 증가량이 적어 물 부족현상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됨.
- 담수화를 통한 수자원 확보에는 지하수의 8배, 하수 재처리의 3배의 전력을 소모함.
- 실제로 카타르 전체 생산 전력량의 10~25%를 담수화 플랜트 가동을 위해 사용됨.
- 카타르는 천연가스가 풍부해 전력을 100% 천연가스 발전으로 얻고 있고 충분한 발전량을 확보해 담수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
출처 : KOTRA
□ 상수도현황
○ 물 공급 현황
- 2011년 기준 1.8백만 명이 상수 시설에 접근 가능하며, 이는 전체 인구의 97%
- 1년 평균 401,177,684 m3 공급량의 59%가 농업부분에 사용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가정용 상수로 사용
- 2013년 상수 시장 규모는 15억달러이고, 2018년 16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하수 시장 규모는 9억달러로 이 중 약 65%가 건설 및 정비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함
□ 하수도현황
○ 하수시설 현황
- 2011년 기준 1.5백만 명이 하수시설에 접근 가능하며, 이는 전체 인구의 80%, 특히 지방으로 갈수록 하수도 보급률이 저조함
- 2008년 기준 한 해 274,000,000 m3 하수 발생
- 하수 발생량의 48.6%는 두 번째 하수처리를 거치며, 38.9%는 세 번째 하수처리를 거침
출처 : KEITI
□ 상하수도 법령현황
○ 환경법
- 환경법의 정의, 목적 등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련한 부문의 개발사업, 면허, 환경영향 평가 등 관련 프로젝트의 환경영향, 환경재해, 기타 폐기물 및 유해물질에 대해 다룸
· 대기 및 소음, 스프레이 및 농약사용, 고정 및 이동오염, 비산먼지, 방지시설설치, 실내 공기질 등 대기오염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는 조항을 집중적으로 규정
· 지하수 및 지표수, 해양 및 연안, 오일, 난분해성, 토지로부터의 해수수질보전 등 수질오염 전반에 대한 규정을 포함
□ 상하수도 정책현황
○ 주요 환경정책 프로그램
- 카타르 국가 비전 2030
·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지난 2008년 10월, 카타르의 장기목표 규정 및 국가 비전 제시
· 국가비전은 2030년까지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미래 트렌드 설정하여 국가적 목표 전략 및 계획 시행 도모
· 카타르 국가 비전 5개 과제는 현대화와 전통보존, 관리 성장과 자유로운 확장, 환경을 생각한 경제성장과 개발, 노동력 개발 및 노동시장 균형유지, 현 세대와 다음세대 모두의 욕구 충족 등임
· 카타르 국가 비전 4개 분야는 인적자원 개발, 사회개발, 경제개발, 환경개발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도하 지방을 기준으로 보면 고정 요금 $ 0.09/m³, 가변 요금 $ 1.21/m³이며, 하수도 요금 체계는 없고 판매세도 없다.
□ 상하수도 예산현황
<카타르 운영시장 현황 및 전망>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전략”, 2014,
□ 물관련 조직현황
○ 환경부
(http://www.mme.gov.qa/cui/index.dox?siteID=2)
- 대기,토양, 물과 생물다양성 등 환경 분야 총괄부서
- 장관실 직속으로 비서실, 홍보 및 커뮤니케이션, 계획, 국제협력, 내부감사 및 폐기물처리센터를 보유
- 사무총장 산하의 프로젝트, 환경프로세스 관리 및 법무, 인식과 교육을 담당부서를 관리하며, 사회 및 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위해 전략적지속가능한 발전을 포함한 2030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
- 대기, 토양, 물과 생물다양성 을 포함한 환경보호 및 환경 보건과 안전의 품질보장을 위해 정책과 규제를 제안하고, 개발을 도모함
○ 에너지산업부 및 도시관리부
- 상하수도 및 가정·산업폐기물 분야 총괄
- 물과 관련하여서는 에너지산업부 산하 상설수자원위원회에서 총괄하며, 상설수자원위원회는 카타르공공청사, 카타르 수전력회사 및 도시관리부산하의 농업·물연구소를 관할
- 도시관리부는 상하수도 서비스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카타르수전력청은 해수담수화시설 및 상수도네트워크를 추진, 가정 및 산업 폐기물수집 관리를 이행
○ 국영 수전력회사(General Electricity & Water Corp.: Kahramaa)
○ 카타르 수전력회사(Qatar General Electricity and Water Corporation)
: https://www.km.com.qa/Pages/default.aspx
□ 사업
○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
- 카타르 수전력청에서 450백만 달러 지원
- 도하 남부쪽 Ras Abu Fontas에 건설되며, 2015년 6월 완공되어 하루 평균 36백만 갤런의 물을 공급할 계획
- 저수지 개발
- 카타르 내 모든 지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물 펌프장
- 물 상하수도 네트워크 확장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전략”, 2014
□ 외국인 투자
○ 카타르전력수력회사(Qatar Electricity & Water Co.: QEWC)는 자국 시장이 성숙단계에 진입하면서 AES, 마루베니 등 해외 주요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중동을 중심으로 해외사업을 추진
- AES Jordan(요르단 가스복합화력발전소(370MW))의 지분 60%를 보유한 AES Oasis의 지분 38.9%를 인수
- 마루베니상사, 츄뷰전력과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오만 Sur IPP 사업(2GW)을 추진출처 : Public Utilities Board, Singapore
출처 : 세계 전력산업의 주요 Player 분석 (2014), 해외경제연구소
□ 한국과의 협력
○ 두산 중공업이 Ras Laffan B 플랜트를 포함한 카타르 내 담수화 실적들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울트라 건설의 북부 하수도관 공사, 효성 에바라의 메사이드 하수처리장 등의 실적이 있다.
출처 : Advancing Sustainable Development - Qatar National Vision 2030, GSDP,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