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 위 치 : 아시아 대륙 동부와 태평양 서안에 위치(*남북 위도차 약 49도, 동서 경도차 약 62도)
○ 건국(독립)일 : 1949년 10월 1일
○ 면 적 : 약 960만㎢ (*면적: 세계 4위, 한반도의 약 44배)
○ 인 구 : 13억 6,782만 명(2014년 말 기준)(*세계 1위)
○ 기 후 : 광대한 영토(남북 간 거리 약 5,500㎞, 동서 간 거리 약 5,200㎞)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함. 주로 최남단 지역의 열대기후, 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동북 지 역의 한대기후 등으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풍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
○ 수 도 : 베이징(北京: Beijing) (*총 면적 16,411㎢로 서울(605㎢)의 약 27배)
○ 주요도시
- 베이징(北京: Beijing): 2,154만 명
- 톈진(天津: Tianjin): 1,517만 명
- 충칭(重慶: Chongqing): 2,991만 명
- 상하이(上海: Shanghai): 2,426만 명
(*상주 인구수는 2014년 말 기준임)
구분
|
주요 도시명
|
4개 직할시(直轄市)
|
베이징, 톈진, 충칭, 상하이
|
23개 성(省)
|
허베이, 산서 , 랴오닝, 지린, 산둥, 윈난, 간쑤, 후난 등
|
5개 자치구(自治區)
|
네이멍구, 광시장족, 닝샤회족, 신장위구르, 시장티베트
|
2개 특별행정구 (特別行政區)
|
홍콩, 마카오
|
○ 국 기
|
오성홍기(五星紅旗)의 큰 별은 중국 공산당을 뜻하며 네 개의 작은 별은 노동자, 농민, 소자산 계급과 민족 자산 계급을 나타냄. 빨간색은 공산주의와 혁명, 노란색은 광명을 의미함. 네 개의 작은 별은 큰 별의 중심으로 한 곳으로 모여 있는데, 이는 중국 공산당의 영도에 따른 혁명 인민의 대단결을 상징함.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국가문장
|
국장 가운데에는 빨간색 바탕에 베이징 내성의 남문인 톈안먼(천안문)이 그려져 있음. 톈안먼 위에는 5개의 노란색 별이 그려져 있으며 천안문 아래에는 톱니바퀴가 그려져 있음. 국장 안쪽을 벼 이삭이 감싸고 있으며 국장 바깥쪽을 밀 이삭이 감싸고 있음. 5개의 별은 중국 공산당의 영도에 따른 혁명 인민의 대단결을, 밀 이삭과 벼 이삭은 농업을, 톱니바퀴는 공업을 상징함.
|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국 화 : 목단(모란)
□ 정치
○ 정부형태 - 국가체제 : 인민민주독재의 사회주의 국가 (*집권당: 중국 공산당) - 국가기관 최고 입법권을 가진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중심으로 국무원(최고 행정기 관), 최고인민법원(사법재판기관), 최고인민법원(사법검찰기관), 중앙군사위원회로 구성됨. ○ 실 권 자 시진핑(習進平): 現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공중앙군 사위원회 주석(*취임: 2013년 3월) ○ 총 리 :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 중공중앙정치국상무위 위원(*취임: 2013년 3월) ○ 정부구조 - 공산당 일당독재 3권 분립을 특징으로 하는 서구의 정치와 달리 전국인민대표회의가 사법과 행정 을 감독하도록 하는 민주집중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국공산당에 의한 사실상의 일당 독재 체제임(혹은 일당 집권, 다당 협상 체제라 부름). 그 외에 8개의 정당 (‘민주제당파(民主諸黨派)’라 부름)이 존재하지만 중국공산당의 지도를 따르고 있으므로 사실상 정치적인 영향력을 거의 갖지 못함. - 중앙 행정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행정기관은 국무원으로 즉 중앙인민정부임. 국무원은 내 정, 외교, 재정, 경제, 문화, 교육, 위생, 공공사업 등 행정사무를 조직하고 관리 하여 행정결정과 명령을 반포하고, 전국 지방 각급 국가행정기관의 사업을 통일 적으로 지도함. 국무원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 위원회 주임, 각부부장, 심 계서 계장, 비서장으로 구성된다. 현재 28의 부서로 조직되어 있음.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행정구역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22개의 성(省), 5개의 자치구(自治區), 4개의 직할시 (直轄市), 2개의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로 구성됨. 이 중에서 홍콩, 마카오를 제외 한 지역을 중국 대륙(中國大陸; 중국 본토)으로 칭함.
구분
|
주요 도시명
|
4개 직할시(直轄市)
|
베이징, 톈진, 충칭, 상하이
|
23개 성(省)
|
허베이, 산서 , 랴오닝, 지린, 산둥, 윈난, 간쑤, 후난 등
|
5개 자치구(自治區)
|
네이멍구, 광시장족, 닝샤회족, 신장위구르, 시장티베트
|
2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
홍콩, 마카오
|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외 교 중화인민공화국은 세계 거의 대부분의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음. 1950년 5월 9일 스웨덴이 서방 국가로서는 최초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함. 외교에 있어서 특필해야할 것은 분단국가인 중화민국에 대비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스스로를 "중국의 정통한 정부"라고 하고 있는 점임. 중화인민공화국은, 냉전 구조 하에서, 건국 당초에는 완전히 동측 진영에 편입되어 있었음. 그러나 스탈린 사후의 중소 대립을 거쳐, 1964년 1월에 프랑스와 수교한 이후, 1979년 1월 1일부터 미국과 수교하는 등 서방측과의 관계 회복을 이루고, 동시에 중화민국을 대신하여 유엔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 됨. 또한, 냉전 하에 있어서 서방측 여러 나라와 소련과의 대립 관계의 미묘한 밸런스의 중간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정당한 정부는 중화민국이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이다"라는 기정사실을 서방측의 다수 국가로부터 확인받아 하나의 중국 정책도 성공을 거둠. 1989년 소련의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함으로써 소련-중국 간의 오랜 원한이 종지부를 찍음. 1978년부터 시작된 경제개혁 이후부터 경제면에서의 민주주의인 여러 나라와의 관계도 강화하고,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에도 가맹함. 우크라이나는 1992년경에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 한 것으로 보임.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기 때문에 현재 타이완을 실효적으로 통치하는 중화민국 정부를 인정하지 않음. 중화민국을 승인하는 국가와는 외교관계를 수립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UN 회원국 중 23개국(바티칸은 준회원국)은 중화민국을 승인하고 있고, 부탄은 중화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모두와 외교관계가 없음. 폴란드는 1949년 10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고, 양국은 10월 7일 대사급 외교 관계를 맺음.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국제기구가입 : UN, IMF, APEC, IBRD, ADB, ILO, SAARC, WTO 등
○ 국제신인도 : OECD 2등급, S&P AA-, Moody’s Aa3, Fitch A+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4 세계 국가편람
○ 수출품 직접회로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합성수지, 자동차 부품, 석유화학 중간원료, 무선통신기기 부품, 기초유분, 경보신호기, 제트유 및 등유 등
○ 수출국 : 홍콩, 미국, 일본, 한국 등
○ 수입품 : 직접회로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부품, 컴퓨터, 기타 정밀 화학 원료, 평판 디스플레이, 열연강판, 전선 등
○ 수입국 : 한국, 일본, 태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등
출처 : KEITI, 중국환경시장분석보고서
□ 경제
○ 화폐단위 : 위안(元): 인민폐(RMB)라고도 함
○ 외환보유고 : US$ 3조 5,141억 달러 (2015년 9월 기준)
○ 교역규모
구분
|
교역량 (증감률)
|
수출 (증감률)
|
수입 (증감률)
|
무역수지 (증감률)
|
2011년
|
3조 6,419억 (22.5%↑)
|
1조 8,993억 (20.3%↑)
|
1조 7,416억 (24.9%↑)
|
1,577억 (14.46%↓)
|
2012년
|
3조 8,674억 (6.2%↑)
|
2조 501억 (8.0%↑)
|
1조 8,173억 (4.3%↑)
|
2,327억 (47.5%↑)
|
2013년
|
4조 1,600억 (7.6%↑)
|
2조 2,107억 (7.9%↑)
|
1조 9,415억 (6.8%↑)
|
2,613억 (12.3%↑)
|
2014년
|
4조 3,063억 (3.5%↑)
|
2조 3,432억 (6.1%↑)
|
1조 9,631억 (1.1%↑)
|
3,801억 (45.4%↑)
|
2015년 (3분기)
|
2조 8,593억 (9.6%↓)
|
1조 6,684억 (1.7%↓)
|
1조 1,909억 (18.79%↓)
|
4,775억 (107.0%↑)
|
- GDP : 최근 GDP 실적(2011년~2015년 3분기)
2011년
|
48조 4,124억 위안
|
2012년
|
53조 4,123억 위안
|
2013년
|
58조 8,019억 위안
|
2014년
|
63조 6,463억 위안
|
2015년(3분기)
|
48조 7,774억 위안
|
- 1인당 GDP : 최근 1인당 GDP 실적연도별 경제성장률(2011~2014년)
2011년
|
36,018위안 (약 $5,800불)
|
2012년
|
39,544위안 (약 $6,300불)
|
2013년
|
43,320위안 (약 $6,900불)
|
2014년
|
46,652위안 (약 $7,500불)
|
- 경제성장 : 연도별 경제성장률(2011년~2015년 3분기)
2011년
|
9.5%
|
2012년
|
7.7%
|
2013년
|
7.7%
|
2014년
|
7.4%
|
2015년(3분기)
|
6.9%
|
- 주요산업 : 서비스업 48%, 제조업 43%, 농업 9%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4 세계 국가편람
- 주요자원 : 석탄, 석유, 천연가스, 철광석
출처 : KEITI, 2014 중국환경시장분석보고서
□ 사회/문화
○ 언 어 : 한어(Chinese) (*표준어: 보통화( Mandarin))
○ 민 족 : 한족(92%) 및 55개 소수민족(8%)
○ 종 교 : 5대 종교(불교(B.C.2), 도교(2세기경), 천주교, 이슬람교(7세기경), 기독교(19세기경) 등
○ 교 육 국가 전체의 문맹률은 미국 CIA 조사를 따르면 약 9.1%로, 중간 이하임. 도시 지역 에서는 문맹률이 많이 낮아졌으나 티베트 자치구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서부 지방에서는 아직도 문맹률이 높음. 2003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국민들의 의무 교육 기간을 초등학교까지의 6년에서 9년(중학교까지)으로 확대함.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
○ 복 지 현재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했지만, 상위 10%의 소득계층이 중국 전체 자 산의 80%를 차지하고 있고,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격차는 4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 KEITI, 중국환경시장분석보고서
평균수명
|
75세(‘13)
|
1인당 GNI
|
7,380달러(‘14)
|
절대빈곤계층비율
|
13%(‘11)
|
식수접근율
|
92%(‘12)
|
이동통신가입자수 (백명당)
|
92명(‘14)
|
중등교육취학률
|
92%(‘13)
|
인터넷사용자수 (백명당)
|
49명(‘14)
|
1인당에너지소비량 (석유환산)
|
2,143kg(‘12)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4 세계 국가편람
○ 축제 / 명절
2015 중국 법정 공휴일
공휴일
|
휴일수(근무일 기준 휴일수)
|
신정 : 1월 1일
|
1월 1일(목)~3일(토) / 3일 *대체근무일 1월 4일(일)
|
구정 : 2월 18일
|
2월 18일(수)~24일(화) / 7일 *대체근무일 2월 15일(일), 28일(토)
|
청명절 : 4월 5일
|
4월 4일(토)~6일(월)
|
노동절 : 5월 1일
|
5월 1일(금)~3일(일)
|
단오절: 6월 1일
|
6월 20일(토)~22일(월)
|
추석: 9월 26일
|
9월 26일(토)~27일(일)
|
국경절: 10월 1일
|
10월 1일(목)~7일(수) *대체근무일 10월 10일(토)
|
출처 :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www.globalwindow.org), 2015년 12월, KEITI, 2014 중국환경시장분석보고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4 세계 국가편람
□ 일반 ○ 광대한 영토(남북 간 거리 약 5,500㎞, 동서 간 거리 약 5,200㎞)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기 후대가 분포함. 주로 최남단 지역의 열대기후, 서부 지역의 건조기후, 동북 지역의 한대기후 등으로 구분되며 전체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한 계절풍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
출처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www.globalwindow.org), 2015년 12월
□ 기온 ○ 2014년, 평균기온은 10.1℃임. 평년과 비교하여 0.5℃ 높아짐. 연간기온은 2월, 8월, 12월이 평 년 동기와 비교하여 낮아진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달은 높아짐. 전국에 있는 30개 성(자치구, 직할시) 기온은 평년과 비교하여 높아짐. 그중 톈진은 1.4℃, 산둥은 1.3℃, 베이징은 1.2℃, 허베이는 1.1℃ 높아져 1961년 이래 가장 높음.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강수량 ○ 2014년, 전국 강수량은 7.8(신장웨이우얼자치구 야강현(?))~3221.2㎜(광시 팡청강시(市))으로, 평균 강수량은 636.2㎜임. 가까운 평년(629.9㎜)은 2013년(653.5㎜)와 비교하여 3% 감소함. 1월, 7월, 10월, 12월은 평년동기보다 감소하였고, 2월, 5월, 9월, 11월은 증가, 4월, 6월, 8월은 비슷함. - 강수량 20~50% 증가(평년대비): 닝샤 대부분, 간쑤중부, 샨시(섬서)중부, 샨시(산서)서남부, 내 이멍구(내몽골)동북부, 헤이룽장(흑룡강)중서부, 구이저우(귀주)동북부와 칭하이(청해)서북부 등 - 20~50% 감소: 신장동남부, 랴오닝 대부분, 지린(길림)남부, 허베이남부, 샨둥중부, 윈난서부 등 - 기타지역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함
2014년 전국 강수량 평균 백분율 분포 설명도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자연재해 ○ 기상재해 - 폭우 2014년, 전국 총 36차례 폭우 발생(그중 남방(南方)에 31차례 발생), 5~9월에 29차례 발생(남방에 25차례). 푸젠(복건), 광동, 광시, 후난, 구이저우, 윈난, 충칭 등의 지역에서 심각한 폭우홍수와 산의 홍수가 발생하였음. - 홍수 베이징, 톈진, 상하이를 제외한 전국 28개 성(자치구, 직할시)에서 각각 다른 정도의 홍수가 발생하여, 농작물 8878만 묘에 피해를 입고, 4245만 묘에 재해를 조성함. 홍수피해 인구는 7382만 명이고 사망 485명, 실종 92명, 주택 26만 채가 무너져 1574억 위안의 경제적 손실을 입었음. 평년과 비교하여 사망인구 66% 감소, 피해인구 43%감소, 피해면적 47% 감소, 주택피해도 76% 감소함. - 태풍 2014년, 총 23개 태풍(중심부근 최대풍력≥8급)이 생성됨. 개수는 평년(25.5개)보다 2.5개 감소하고, 그중 5개는 중국에 상륙하였는데 그 개수도 평년(5.2개)보다 2.2개 감소함. 태풍으로 113명이 사망/실종되고, 678.3억 위안의 경제손실을 입음. 1990~2013년 평균과 비교하면 사망/실종인구는 감소하고, 경제손실은 증가함. - 고온 2014년, 화남지구 평균 고온일수는 25.6일에 달하여 평년보다 8.3일 많았음. 1961년 이래로, 2003년 다음으로 많았음(2번째). - 가뭄 2014년, 전국 농작물 가뭄피해 면적은 3.4억 묘이고, 1.8억 묘에 가뭄피해를, 8516만 묘*에 재해를 조성하여, 2227만 묘에서 농작물 수확이 전혀 없었음. 2006만 톤의 식량손실을, 910억 위안의 경제손실을 입었음. 인구 1783만 명과 883만 마리 가축이 가뭄으로 인해 식수빈곤을 겪었음. 평년과 비교하여 피해면적은 43% 감소, 식량손실은 33% 감소, 식수빈곤인구는 28% 감소하였음. * 묘(?): 토지 면적 단위, 1묘=약 666㎡ - 설해(눈) 2014년, 전국 평균 강설 일수는 14.7일로 평년과 비교하여 11.6일 감소하여 1961년 이후 가장 적었음. - 저온 2014년 연초, 남방의 많은 지역이 저온냉해 피해를 입었으며, 봄에는 북방부분지구에 단계적 저온냉해를 입었음. 여름에는 장강 중하류지구에 저온장마로 일조량부족이 발생하였음. 저온냉해는 부분지구의 농업생산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임. - 황사(흙먼지) 2014년 봄, 북방지구에 총 7회 흙먼지가 발생하여 평년동기(17회)보다 10회 적었음. 2001~2010년 동기평균(12.7회)에 비해서 5.7회 감소하고, 그 중 황사와 강한황사는 총 3회로 2001~2010년 평균보다 5회 감소하였음. 2014년 최초 황사 발생 시기는 3월 19일로, 2000~2013년 평균(2월 11일)보다 36일 늦었고 2013년(2월 24일)보다 1개월 늦었음. ○ 지진재해 2014년, 전국 총 진도 5.0이상의 지진이 30회(본토에 22회, 대만과 중국해역에 8회 발생)발생함. 그중 진도 5.0~5.9의 지진 24회, 6.0~6.9 지진 5회, 9이상 지진 1회 발생함. 2014년 본토에 지진재해사건은 총 10회 발생하였음. 특히 중대한 지진재해는 1회 발생, 비교적 큰 지진재해는 4회, 일반적인 지진재해 5회 발생함. 지진으로 총 624명사망, 112명 실종, 3688명 상해, 358.5억 위안의 경제손실이 발생함. 713.51만 평방미터주택이 심각하게 파괴/훼손되고, 3477.99만 평방미터 주택이 중급이하로 파손되어 총35개 현(시,구), 372.31만 명이 피해를 입었음.
2014년 중국 본토 지진재해사건
(가장 피해가 심각했던 사건)
지점 | 진 도 | 피해(명) | 주택피해(평방미터) | 경제 손실 (만원) | ||||
사망 (실종) | 상해 | 파괴 | 엄중 | 중등 | 경미 | |||
8월3일 16:30 운남성 루덴현 | 6.5 | 617 (112) | 3143 | 4824241 | 327076 | 12771428 | 3500759 | 2014000 |
총 | 624 | 3688 | 6578307 | 556761 | 24975696 | 9804183 | 3585481 |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지표수
유역면적 유역(구역) | 50㎢ 및 이상 | 100㎢ 및 이상 | 1,000㎢ 및 이상 | 10,000㎢ 및 이상 |
헤이룽장 강 | 5,110 | 2,428 | 224 | 36 |
랴오허 강 | 1,457 | 791 | 87 | 13 |
하이허 강 | 2,214 | 892 | 59 | 8 |
Yellowhe 강 | 4,157 | 2,061 | 199 | 17 |
화이허 강 | 2,483 | 1,266 | 86 | 7 |
양쯔 강(창장) | 10,741 | 5,276 | 464 | 45 |
저장, 푸젠 강 | 1,301 | 694 | 53 | 7 |
주장 강 | 3,345 | 1,685 | 169 | 12 |
중국 남서쪽, 북서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강 | 5,150 | 2,467 | 267 | 30 |
바다에 강물유입이 불가능 | 9,245 | 5,349 | 613 | 53 |
합계 | 45,203 | 22,909 | 2,221 | 228 |
강 유역에 의해 호수 수의 요약 통계
호수면적 유역(구역) | 1㎢ 및 이상 | 10㎢ 및 이상 | 100㎢ 및 이상 | 1,000㎢ 및 이상 |
헤이룽장 강 | 496 | 68 | 7 | 2 |
랴오허 강 | 58 | 1 | 0 | 0 |
하이허 강 | 9 | 3 | 1 | 0 |
Yellowhe 강 | 144 | 23 | 3 | 0 |
화이허 강 | 68 | 27 | 8 | 2 |
양쯔 강(창장) | 805 | 142 | 21 | 3 |
저장, 푸젠 강 | 9 | 0 | 0 | 0 |
주장 강 | 18 | 7 | 1 | 0 |
중국 남서쪽, 북서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강 | 206 | 33 | 8 | 0 |
바다에 강물유입이 불가능 | 1,052 | 392 | 80 | 3 |
합계 | 2,865 | 696 | 129 | 10 |
다양한 유형의 지표수 자원 | ||
지표수 자원의 유형 | 숫자 | 비율 ( % ) |
총 | 11,662 | 100 |
강 | 7,107 | 60.9 |
호수 | 169 | 1.5 |
저수지 | 4,386 | 37.6 |
출처 : WATER RESOURCES IN CHINA, 水利部, 第一次全?水利普?公?, 2011, 水利部, ?家??局
□ 지하수
총 취수량과 다양한 유형의 지하수 추출 우물의 요약 통계 | |||||
물 추출 우물의 유형 | 우물 수 | 취수량 <1,000백만㎥ | |||
총 | 9,749 | 1,084 | |||
관우물 | 소계 | 5,383 | 1,040 | ||
관개 | 소계 | 848 | 753 | ||
관우물 내경≥200mm | 407 | 613 | |||
관우물 내경<200mm | 441 | 140 | |||
물공급 | 소계 | 4,535 | 287 | ||
매일 물 추출≥20㎥ | 39 | 217 | |||
매일 물 추출<20㎥ | 4,496 | 70 | |||
수동우물 |
| 4,366 | 44 | ||
다양한 규모의 지하수 원천 | ||
지하수 원천의 규모 | 물 원천 수 | 비율 ( % ) |
총 | 1,847 | 100 |
작은 크기의 물 원천 (5,000㎥ ≤ 매일 물 추출 < 10,000㎥) | 824 | 44.6 |
중간 크기의 물 원천 (10,000㎥ ≤ 매일 물 추출 < 50,000㎥) | 870 | 47.1 |
대형 크기의 물 원천 (50,000㎥ ≤ 매일 물 추출 < 150,000㎥) | 137 | 7.4 |
초대형 크기의 물 원천 (150,000㎥ ≤ 매일 물 추출) | 16 | 0.9 |
출처 : 제1차전국수리일제조사공보, 2011, 수리부, 국가통계청局
□ 지표수
○ 7대 유역과 절민편하류, 서북지역 하천, 서남지역 하천의 전체수질 변화(2001~2014년)검출
○ 2014년 중점 호수(저수지) 수질상황
수질 상황 | 3대 호수 | 중요 호수 | 중요 저수지 |
우수 | - | 부두호, 洪湖(홍호) 梁子湖(양자호), 이해, 무선호, 로구호 | 밀운저수지, 단강구저수지, 송도저수지, 太平湖(태평호), 신풍강저수지, 석문댐, 장담저수지, 천도호, 격하암댐, 황룡탄저수지, 동강저수지, 장하저수지 |
양호 | - | 瓦埠湖(와부호), 南四湖(남서호), 남의호, 동평호, 升金湖(승금호), 武昌湖(우창호), 낙마호, 반공착 | 어교저수지, 노산저수지, 동포저수지, 협산저수지, 부수저수지, 마반산저수지, 대화방저수지, 소랑저저수지, 차얼선저수지, 대광파저수지, 왕요저수지, 백련하저수지 |
경도 오염 | 太湖 (태호), 巢湖 (소호) | 양청호, 소흥개호, 고우호, 흥개호, 동정호, 菜子湖(채자호), 판양호, 양종해, 경박호, 박사등호 | 니얼지저수지, 연화저수지, 松花湖(송화호) |
중(中)도 오염 | - | 홍택호, 淀山湖(정산호), 바이호, 용감호 | - |
중(重)도 오염 | (진지) | 다뢰호, 白洋淀(백양정), 오륜고호, 程海(청해) | - |
○ 2014년 성(省)의 경계 수질 상황
유역 | 단면비율(%) | |
Ⅰ~Ⅲ급 | 5급 이하 | |
창장 | 78.0 | 7.5 |
황허 | 49.3 | 34.2 |
주장(珠江) | 85.5 | 5.5 |
쑹화장(松花江) | 83.0 | 6.4 |
화이허(淮河) | 49.0 | 18.4 |
하이허(海河) | 31.7 | 61.7 |
랴오허 | 19.0 | 23.8 |
동남지역 하천 | 90.0 | 10.0 |
서남지역 하천 | 100.0 | - |
○ 2014년 전국 省의 경계 수질 상황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지하수
○ 2014년, 전국 202개 디지급(2선도시) 및 그 이상 성시(城市)에서 지하수수질 모니터링(관측)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포인트(관측점)는 총 4896개이고, 그중 국가급 포인트는 1,000개이다. 수질이 우량급인 모니터링 포인트는 10.8%, 양호급은 25.9%, 비교적양호급은 1.8%, 비교적 낮은급은 45.4%, 극차급 비율은 16.1%로 나타났다.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음용수
○ 2014년, 전국 329개 디지급(2선도시) 및 그 이상 성시(城市)의 집중식 음용수 수원지의 취수 상황을 통계하였다. 연간 취수총량은 332.55억 톤, 서비스인구는 3.26억 명이다. 그중, 기준도달 취수량은 319.89억 톤, 도달률은 96.2%이다.
출처 : 2014, 중국환경상황공보,중화인민공화국환경보호부
□ 물시장 현황
○ 물시장 규모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상수도관망
|
7,136.9
|
8,827.8
|
9,625.5
|
10,782.4
|
12,083.7
|
13,514.6
|
15,109.0
|
16,891.6
|
정수시설
|
3,744.3
|
4,631.5
|
5,050.0
|
5,656.9
|
6,339.6
|
7,090.4
|
7,926.9
|
8,862.1
|
수자원
|
5,417.3
|
5,320.2
|
4,325.9
|
2,898.5
|
1,052.2
|
845.4
|
969.7
|
1,112.6
|
해수담수화
|
313.8
|
220.3
|
219.4
|
246.5
|
374.1
|
331.4
|
495.2
|
770.0
|
총계
|
16,612.4
|
18,999.8
|
19,220.7
|
19,584.3
|
19,849.6
|
21,781.7
|
24,500.8
|
27,636.2
|
음용수 공익사업 자본지출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하수관망
|
6,864.1
|
8,431.5
|
9,089.1
|
9,779.9
|
10,933.9
|
12,224.1
|
13,666.6
|
15,279.2
|
처리시설
|
4,309.1
|
5,314.9
|
5,752.5
|
6,214.0
|
6,974.0
|
7,859.3
|
8,876.3
|
10,018.3
|
슬러지
|
902.9
|
1,087.2
|
1,149.0
|
1,211.9
|
1,328.3
|
1,422.6
|
1,500.8
|
1,583.4
|
총계
|
12,076.0
|
14,833.6
|
15,990.6
|
17,205.9
|
19,236.2
|
21,506.0
|
24,043.8
|
26,880.9
|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물
|
13,246.7
|
14,261.3
|
15,378.5
|
16,610.2
|
17,969.6
|
19,472.9
|
21,131.1
|
22,960.7
|
폐수
|
5,471.4
|
6,045.2
|
6,688.9
|
7,407.9
|
8,212.3
|
9,113.5
|
10,122.8
|
11,252.6
|
총
|
18,718.1
|
20,306.5
|
22,067.4
|
24,018.0
|
26,181.9
|
28,586.5
|
31,253.9
|
34,213.3
|
산업
|
1,641.3
|
1,820.9
|
2,046.0
|
2,134.6
|
2,433.0
|
2,605.1
|
2,875.6
|
3,204.9
|
○ 주요 물기업 현황
급수인구 크기에 의한 큰 공적, 사적 물 공익사업의 예
| ||||
물 공익사업
|
공적/사적
|
급수인구 (백만)
| ||
물
|
폐수
|
총
| ||
푸저우 공수 회사
|
공적
|
15.5
|
0
|
15.5
|
베이징 공수 회사
|
공적
|
80.0
|
0
|
80.0
|
홍콩 상수도 부서
|
공적
|
7.0
|
0
|
7.0
|
다롄 상수도 그룹
|
공적
|
3.3
|
0
|
3.3
|
베이징 물 회사
|
사적
|
8.1
|
20.3
|
27.8
|
사운드 그룹
|
사적
|
1.3
|
11.7
|
13.0
|
베이징 캐피탈(주)
|
사적
|
9.2
|
6.5
|
11.6
|
중국 광대(Everbright)
|
사적
|
0.25
|
9.2
|
9.5
|
중국 물 산업
|
사적
|
6.2
|
7.7
|
9.2
|
□ 수자원
○ 이용가능 수자원
출처 :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China, MWR, 2014
○ 수자원 이용량
출처 :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China, MWR, 2014
○ 수자원 저장용량
다양한 크기의 저수지와 총 저장 능력의 요약 통계
저수지 규모 | 합계 | 대형 | 중형 | 소형 | ||||
소계 | type-1 | type-2 | 소계 | type-1 | type-2 | |||
개수 | 98,002 | 756 | 127 | 629 | 3,938 | 93,308 | 17,949 | 75,359 |
총 저수량 (억㎥) | 9,323.12 | 7,499.85 | 5,665.07 | 1,834.78 | 1,119.76 | 703.51 | 496.38 | 207.13 |
- 참고 : 대형 type-1 (10억㎥이상), 대형 type-2 (10억㎥미만~1억㎥이상), 중형 (1억㎥미만~1천만㎥미만), 소형 type-1 (1천만㎥미만~1백만㎥이상), 대형 type-2 (1백만㎥미만)출처 : Bulletin of first national census for water, MWR & NBS, 2011
○ 수력발전
다양한 유형의 수력발전과 설치용량의 요약 통계 | |||
수력발전 시스템의 크기 | 수 | 설치용량<10,000 kW> | |
총계 | 46,758 | 33,288.93 | |
설치용량≥500kW | 소계 | 22,190 | 32,729.79 |
큰 유형-I | 56 | 15,485.50 | |
큰 유형-I | 86 | 5,178.46 | |
중간 크기 | 477 | 5,242.00 | |
작은 유형-I | 1,684 | 3,461.38 | |
작은 유형-III | 19,887 | 3,362.45 | |
설치용량<500kW | 24,568 | 559.14 |
- 참고: 대형 type-1 (1.2백만kW이상), 대형 type-2 (1.2백만kW미만~3십만kW이상), 중형 (3십만kW미만~5만kW이상), 소형 type-1 (5만kW미만~1만kW이상), 대형 type-2 (1만kW미만)
출처 : Bulletin of first national census for water, MWR & NBS, 2011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중국인민공화국 국가통계청) http://www.stats.gov.cn/tjsj/ndsj/2014/indexeh.htm
□ 상수도현황
○ 주요 현황 (관망, 서비스인구 등)
전체, 주요도시 | 관망(Km) | 서비스인구 (만명) | 1인1일소비량 |
전체 | 646,413 | 42,261 | 173.5 |
베이징 | 32,581 | 1,825 | 196 |
톈진 | 13,411 | 663 | 142 |
허베이 | 15,207 | 1,606 | 125 |
랴오닝 | 33,118 | 2,295 | 128 |
지린 | 10,608 | 1,058 | 119 |
상하이 | 36,217 | 2,415 | 192 |
장쑤 | 75,988 | 2,875 | 209 |
저장 | 49,298 | 1,997 | 192 |
허난 | 19,954 | 2,138 | 105 |
후베이 | 27,794 | 1,807 | 214 |
후난 | 18,208 | 1,385 | 215 |
광둥 | 92,361 | 4,822 | 242 |
쓰촨 | 24,832 | 1,711 | 193 |
출처 : China Statistics Yearbook 2014,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 정수 시설
- 2010년 기준 약 4,000개의 정수장 운영
- 주요 정수시설 현황
2012년 설계용량에 의한 10개의 주요 정수 처리장 | |||||
이름 | 설계용량(㎥/d) | 계약 데이터 | 시운전 데이터 (온라인 데이터) | 기술 | EPC 계약자 |
양수푸 정수 처리장(상하이) | 1,480,000 | - | 1883 | 오존 살균 | 상하이 급수 회사 |
샤텐 정수 처리장(홍콩) | 1,227,000 | - | 1964 | 응집 및 침전 혼합, 빠른 중력 여과 | - |
베이징 3번째 정수 처리장 | 500,000 | - | 1958 | 고밀도 설명 과정 | - |
베이징 10번째 정수 처리장 | 500,000 | 2008 | 2014 | - | 미츠비시사, 앵글리안 물 Plc |
선양시 8번째 정수 처리장 | 400,000 | - | 1995 | - | sino-french water과 선양시 수공사 |
장저우시 시위안 정수 처리장 | 370,000 | - | 1954 | 응집. 침전. 여과. 염소. | 장저우 수공사 |
루가오시 정수 처리장 | 120,000 | 1945 | 1975 |
|
|
스스 수도 시설 | 100,000㎥/d에서 200,000㎥/d로 확장 | 2010 | - | 수평 흐름 침강 및 부상 기술 | 스스 상수 시설 Co. Ltd |
셴닝 수도 시설 | 100,000 | - | - |
| 연방 수공사 |
오르도스 정수 처리장(몽골 지역) | 96,000 | 2010 | 2012 | UF, NF | Tri-Tech 보유의 컨소시엄(80%)과 베이징 안궈 수처리 자동화 공학 기술 Co. Ltd. (20%) |
□ 하수도현황
○ 주요 현황 (관망, 처리용량)
전체, 주요도시 | 관망(Km) | 처리용량 (10,000 cu.m) |
전체 | 464,878 | 14,652 |
베이징 | 13,505 | 401 |
톈진 | 18,644 | 261 |
허베이 | 15,869 | 516 |
랴오닝 | 16,420 | 825 |
지린 | 9,607 | 262 |
상하이 | 18,809 | 784 |
장쑤 | 62,194 | 1,606 |
저장 | 33,501 | 802 |
허난 | 18,297 | 537 |
후베이 | 20,030 | 581 |
후난 | 12,050 | 499 |
광둥 | 36,098 | 1,760 |
쓰촨 | 19,519 | 444 |
출처 : China Statistics Yearbook 2014,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 하수처리 시설
- 2010년 기준 약 2,496개의 하수처리시설 운영
- 주요 하수처리시설 현황
2012년 중국 설계용량에 의한 12개의 주요한 폐수 처리장 | |||||
이름 | 설계용량(㎥/d) | 계약 데이터 | 시운전 데이터 (온라인 데이터) | 기술 | EPC 계약자 |
지난 폐수 처리장 (1처리장, 2처리장) | 500,000 | - | 2006 | - | Everbright International |
톈진 동 폐수 처리장 | 400,000 | 1989 | 1993 | Deep treatment by A/O process of prepositional deoxygen denitrification | 톈진 Capital Environment Protection |
칭허 폐수 처리장 (베이징) | 400,000 | 2000 | 2008 | Biological treatment, Microfiltration, RO, MBR technology (ZENON membrane solutions) | - |
Jie Yan 폐수 처리장 (톈진) | 500,000 | - | 2007 | 용존공기부상(DAF) | 톈진 Earth Tech Jie Yuan Water Co and 톈진 Water Works Company |
Hengling 폐수 처리장 2단계. 광둥 지역 | 400,000 | - | - | 호기성 생물 여과(BAF)기술 | 베이징 Enterprises Water Group Limited was announced as the winner of the project on 14th October. |
장자 강 정수 처리 시설(장쑤) | 300,000 | 1995 | - | - | Purac |
치치하얼 도시 폐수 처리장 | 200,000 | - | - | - | - |
Dengjiacun 폐수 처리장(산시성) | 160,000 | - | - | - | - |
Beishiqiao(시안) | 150.000 | - | - | - | - |
□ 상하수도 법령현황
○ 중국은 물관련 4개 법률(Legislation), 18 행정규칙(Administrative Regulation), 55 시행규칙(Ministerial rules)와 700여개의
지방규칙(Sub-national regulations)들로 이루어져 있음
법 | 중화 인민 공화국의 물 법 |
물과 토양 보존에 대한 중화 인민 공화국의 법 | |
수질 예방 및 오염제어에 대한 중화 인민 공화국의 법 | |
물과 토양 보존에 대한 중화 인민 공화국의 법 | |
행정규제 | 가뭄구호 규제 |
수문 규제 | |
황하강의 물 규제에 대한 규제 | |
대형 및 중형 유압, 수력 발전 건설 프로젝트를 위한 토지 징발 보상 및 이주민의 재정착에 대한 규제 | |
양쯔 강의 과정에서 모래 발굴의 관리에 대한 규정 | |
양쯔 강 세 협곡 프로젝트 건설에 대한 주민 - 재정착에 대한 규제 | |
홍수 저류 공간의 활용에 대한 보상에 대한 경과 조치 | |
예방 및 수질 오염의 제어에 중국의 인민 공화국의 법의 이행을 위한 세부 규칙 | |
물과 토양 보존에 중국의 인민 공화국의 법의 이행을위한 규정 | |
홍수 제어 규제 | |
도시 물공급에 대한 규제 | |
화이허 강 유역의 예방 및 수질 오염의 제어에 임시 규정 | |
저수지 및 댐 안전 관리에 대한 규정 | |
도시지역 물 절약의 관리에 대한 규정 | |
태호 호수 유역의 관리에 대한 규제 | |
남쪽 - 북쪽 물 전송 프로젝트에 대한 물 공급 및 물 사용에 대한 규제 | |
산시와 내몽고 자치 지역의 인접 지역의 개발 및 건설을 위한 토양 및 물 보전에 관한 규정 | |
강 관리에 중국의 인민 공화국의 규제 |
출처 : Water Policies, Laws and Regulations in China, Ministry of Water Resources, China
□ 상하수도 정책현황
○ 제12차5개년계획(2011~2015)
- 중국정부는 수자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관련 발전 계획을 제정하고 2015년까지 발전 목표를 분명함.
- 절수, 도시와 농촌의 오수처리, 재생 수, 유역수의 오염예방, 지하수 오염예방, 식수의 안전성 등의 목표를 포함
종합 |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12차5개년(2011~2015년)계획 요강』 |
『국가환경보호「제12차5개년」계획』 | |
『전국생태보호「제12차5개년」계획』 | |
절수 | 『절수형 사회의 건설 「제12차5개년」계획』 |
『전국절수관개의 발전 「제12차5개년」계획』 | |
식수의 안전성 | 『전국농촌의 식수안전사업 「제12차5개년」계획』 |
『전국 도시 급수시설의 개조와 건설 「제12차5개년」계획과 2020년 장기목표』 | |
유역수의 오염예방 | 『중점 유역수의 오염예방 계획(2011~2015년)』 『양쯔강 중하류의 유역수 오염예방계획(2011~2015년)』 |
생활 오수 처리 | 『「제12차5개년」 전국도시의 오염처리와 재생 이용 시설 건설 계획』 『전국농촌환경전반정비 「제12차5개년」계획』 |
지하수 오염예방 | 『전국지하수오염예방계획 (2011~2015년)』 |
출처 : 중국수자원정책, chang miao, 2015 재인용 「제12차5개년계획」기간의 물 환경정비에 관한 주요 계획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수도요금
- 1998년 중국 국무원(State Council)이 도입한 요금규정(Tariff-setting administration framework)에 따라 상수도와 하수도
요금은 중앙정부의 승인 필요없이 지역정부에서 결정
- 수도요금은 상수도와 하수도 요금을 결합하여 부과
- 평균적 수도요금은 $0.49이며, 이 가운데 상수도요금은 $0.36, 하수도요금은 $0.12
- 지방정부에 따라 단일요금과 이부요금제가 혼재되어 있음
- 주요 지역별 수도요금 현황
2011-2012년, 중국 주요도시의 지방 자치제의 공익사업 물 관세 | |||||
공익사업 이름 | 관리 | 관세 구조 | ($/㎥) | ($/㎥) | 2011년 이후 |
베이징 공수회사 | 공공 | 직선 | $0.63 | $0.63 | 0.00% |
창훈 공수회사 Ltd. | 공공 | 직선 | $0.39 | $0.39 | 0.00% |
청두 지방자치 급수시설 회사 Ltd. | 공공 | 직선 | $0.45 | $0.45 | 0.00% |
충칭 공수회사 | 공공 | 직선 | $0.55 | $0.55 | 0.00% |
다롄 공수회사 Ltd. | 공공 | 직선 | $0.46 | $0.46 | 0.00% |
둥관 공수회사 | 공공 | 증가 | $0.30 | $0.33 | 10.67% |
광저우 공수회사 | 공공 | 증가 | $0.34 | $0.44 | 30.99% |
항저우 공수회사 | 공공 | 직선 | $0.29 | $0.29 | 0.00% |
하얼빈 GPS 그룹 | 공공 | 직선 | $0.50 | $0.50 | 0.00% |
홍콩 정부의 물공급 부서 | 공공 | 증가 | $0.83 | $0.86 | 4.59% |
지난 공수회사. Ltd | 공공 | 직선 | $0.50 | $0.50 | 0.00% |
쿤밍 CGE 공수회사 Ltd. | PPP | 증가 | $0.67 | $0.67 | 0.00% |
란저우 베올리아 수 그룹 | PPP | 직선 | $0.36 | $0.36 | 0.00% |
난징 수도 보급 회사 | 공공 | 증가 | $0.44 | $0.49 | 10.71% |
칭다오 하이런 수공회사 Ltd. | 공공 | 직선 | $0.39 | $0.39 | 0.00% |
상하이 수공회사 | PPP | 직선 | $0.44 | $0.44 | 0.00% |
센양 세무 그룹 | 공공 | 직선 | $0.38 | $0.38 | 0.00% |
선전 수공회사 | PPP | 증가 | $0.49 | $0.49 | 0.00% |
스자좡 수공회사 | 공공 | 직선 | $0.57 | $0.57 | 0.00% |
타이위안 수도회사 | 공공 | 증가 | $0.62 | $0.62 | 0.00% |
톈진 수공회사 | 공공 | 직선 | $0.74 | $0.82 | 11.80% |
우한 수공회사 | 공공 | 증가 | $0.30 | $0.30 | 0.00% |
시안 수공회사 | 공공 | 직선 | $0.46 | $0.46 | 0.00% |
장저우 수공회사 | 공공 | 직선 | $0.38 | $0.38 | 0.00% |
쯔보 수공회사 | 공공 | 직선 | $0.56 | $0.56 | 0.00% |
□ 상하수도 예산현황
○ 상하수도의 경우 지방정부별로 상이 ○ 물 관련 사업 재원조달 현황
2014년 완료된 프로젝트의 투자
출처 : 2014 Satatistics Bulletin on China Water Activities, Ministry of Water Resources, China
○ 물 관련 사업 유형별 연간 투자 추이 2008/10억 위안 2009/10억 위안 2010/10억 위안 2011/10억 위안 2012/10억 위안 2013/10억 위안 2014/10억 위안 증가/% 연간 완료 108.82 189.40 231.99 308.60 396.42 375.76 408.31 8.7 건설 프로젝트 78.15 129.72 152.49 210.32 273.65 278.28 308.64 10.9 설치 프로젝트 6.74 11.34 10.96 12.17 23.78 17.36 18.50 6.6 기구, 장비 조달 6.00 12.50 12.45 11.52 17.81 16.11 20.61 27.9 이외(재정착 및 토지 수용에 대한 보상을 포함) 17.93 35.84 56.09 74.59 81.18 64.02 60.56 -5.4
단위 : 10억 위안
해석 : 단위 : 10억 위안 / 2014년 완료된 프로젝트의 투자
출처 : 2014 Satatistics Bulletin on China Water Activities, Ministry of Water Resources, China
○ 물 관련 사업 유형별 연간 투자 추이
| 2008/10억 위안 | 2009/10억 위안 | 2010/10억 위안 | 2011/10억 위안 | 2012/10억 위안 | 2013/10억 위안 | 2014/10억 위안 | 증가/% |
연간 완료 | 108.82 | 189.40 | 231.99 | 308.60 | 396.42 | 375.76 | 408.31 | 8.7 |
건설 프로젝트 | 78.15 | 129.72 | 152.49 | 210.32 | 273.65 | 278.28 | 308.64 | 10.9 |
설치 프로젝트 | 6.74 | 11.34 | 10.96 | 12.17 | 23.78 | 17.36 | 18.50 | 6.6 |
기구, 장비 조달 | 6.00 | 12.50 | 12.45 | 11.52 | 17.81 | 16.11 | 20.61 | 27.9 |
이외(재정착 및 토지 수용에 대한 보상을 포함) | 17.93 | 35.84 | 56.09 | 74.59 | 81.18 | 64.02 | 60.56 | -5.4 |
출처 : 2014 Satatistics Bulletin on China Water Activities, Ministry of Water Resources, China
□ 물관리 로드맵
○ 전국수자원종합계획(2012)
- 중국 수자원의 개발, 이용, 절약, 보호 및 관리의 종합계획
- 목표: 2020년까지 전국 물사용량 6,700억㎥, 2030년까지 7,000억㎥이내로 조절
○ 수질오염예방액션플랜
- 목표: 중국 7대 중점 유역의 수질 개선
- 10대 조치
1. 오염물 배출 전면 관리
2. 경제구조의 전환을 추진
3. 수자원 보호
4. 수질정화 및 물절약 기술투자
5. 시장의 역할 활용
6. 환경관련 법률 정비 및 집행 강화
7. 물 자원 보호에 대한 감독, 관리 강화
8. 물 생태계 복원 및 보장
9. 정부, 기업, 시민의 책임과 의무 명확화
10. 대중의 관리 감독 수준 제고
출처 : Kotra 경제무역 동향 2015
□ 물관련 조직현황 ○ 환경 행정조직 및 체계 - 주요 환경 조직 ·인민대표위원회(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NPC): 환경법률 제정 및 집행 총괄. ·지역위원회(The State Council, SC; ??院): 1954년에 설립된 주요 행정기관이며 환경규정 수립 및 제도 전반의 관리에 관한 책임기관. (http://english.gov.cn/statecouncil/)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State-owned Asset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commission, SASAC): 2003년부터 국유자산에 대한 관리감독의 역할 담당. ·국가개발개혁위원회(Th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NDRC): 수질오염에 대한 세금 및 산업폐수 배출 관련 정책 담당. ·수자원부(The Ministry of Water Resources, WMR; 水利部): 중국의 수자원에 대하여 담당하고 있으며, 주로 홍수, 가뭄, 수자원 보호, 수자원 사용 계획, 수질 모니터링 등의 업무를 담당. ·환경보호부(The 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MEP): 수질오염법 및 규제, 물의 사용 계획, 음용수질 오염의 방지 등의 업무 담당. ·주택개발부(The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Rural Development, MOHURD): 도시계획 및 인프라 구축, 도시의 폐수처리시설 및 물 공급시설 개선 등의 업무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