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조지아(Georgia)
○ 위 치 : 남부 코카서스 지방 남부, 흑해 동안에 위치
○ 건국(독립)일 : 1991년 12월 25일 구소련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69,700㎢(한반도의 1/3)
○ 인 구 : 약 4,490,500명
○ 기 후 : 조지아 서부는 습한 아열대성 기후, 동부는 아열대부터 온난지대까지 다양
○ 수 도 : 트빌리시(Tbilisi)
○ 주요도시 : 수후미, 주그디디, 오주르게티, 바투미, 암브롤라우리, 쿠타이시, 아할치헤, 고리, 므츠헤타, 루스타비, 텔라비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장미(Rose)
□ 정치
○ 정부형태 : 의원 내각제
○ 실 권 자 : 대통령 :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
○ 총 리 : 기오르기 크비리카슈빌리
○ 정부구조 : 조지아의 정치 체제
- 조지아의 행정부
· 조지아의 정치체제는 공화제의 대통령 중심제를 따르며,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다.
- 조지아의 입법부
· 조지아의 입법부는 150석의 단원제이다. 이 중 75명은 정당명부 비례대표제로, 75명은 직선제로 선출된다.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 2008년 5월 총선 결과 여당인 통합국민운동당이 79.3%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둬 119석을 확보했다. 야당연합은 10.6%의 득표율로 15석을 확보하였다.
- 조지아의 사법부
· 조지아의 사법부는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으로 나뉘며, 대법원 아래 일반법원과 최고심법원이 있다.
- 조지아의 정당
· 조지아의 정당은 통합국민당, 야당연합, 기독민주당, 노동당, 공화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 행정구역
- 조지아의 행정 구역은 2개의 자치 공화국과 9개의 주, 1개의 시로 나뉜다.
1. 압하스 공화국 - 수후미
2. 사메그렐로제모스바네티 주 - 주그디디
3. 구리아 주 - 오주르게티
4. 아자리야 공화국 - 바투미
5. 라차레츠후미크베모스바네티 주 - 암브롤라우리
6. 이메레티 주 - 쿠타이시
7. 삼츠헤자바헤티 주 - 아할치헤
8. 시다카르틀리 주 - 고리
9. 므츠헤타므티아네티 주 - 므츠헤타
10. 크베모카르틀리 주 - 루스타비
11. 카헤티 주 - 텔라비
12. 트빌리시 - 트빌리시
○ 외 교 : 조지아는 친서방[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미국] 정책을 지향한다. 조지아는 현재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토 보존 및 역내 안보 강화, 국내 정세 안정을 통한 안정적 대외 관계 구축을 대외정책의 기조로 삼고 있다.
- 조지아의 주요 외교정책
· 유럽연합(EU) 가입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로의 통합
· 친서방 정책기조 유지와 대(對)러시아 외교 중시
□ 경제
○ 화폐단위 : 라리(Lari)
○ 외환보유고 : 2,566 (USD - 백만) (2014)
○ 교역규모
- 수출 : 167.87 (USD - 백만) (2016)
- 수입 : 1465.02 (USD - 백만) (2016)
- GDP : 139억$ (2016)
- 1인당 GDP : 3,791$ (2016)
- 경제성장
| 2014 | 2015 | 2016 |
GDP growth (annual %) | 7.2 | 3.3 | 2.6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조지아는 농업과 관광업이 주를 이르고 있는데, 최근 주산업으로 부상하는 것은 자동차 산업이다. 트리빌시만 하더라도 5개 이상 폐차장이 존재하고, 그곳에서 많은 젊은 인력들이 자동차를 분해하고, 부품을 판매하거나 자동차 수리하는 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 주요자원 : 목재, 수력발전, 망간, 철, 구리, 석탄, 석유, 과수용 해양성 토지 등
□ 사회/문화
○ 언 어 : 조지아어(공용어), 러시아어, 아르메니아어 등
○ 민 족 : 조지아인(83.8%), 아제르바이잔인(6.5%), 아르메니아인(5.7%), 러시아인(1.5%), 기타(2.5%)
○ 종 교 : 조지아정교(83.9%), 이슬람교(9.9%), 기타(6.2%)
○ 교 육 : 조지아 인들의 99%는 문자 해독이 가능하다.
○ 복 지
- Georgia Food Stamps
· Georgia Food Stamp프로그램은 매달 저소득 가정에게 식료품비를 제공한다.
- Georgia Head Start
· Head Start는 연방정부의 프로그램으로 저소득 가정의 취학 전 아동들의 인식, 사회성, 감정적인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Georgia Medicaid
· Division of Medical Assistance에 의해 관리되는 Georgia Medicaid프로그램은 노년층, 맹인, 장애, 궁핍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치료를 제공한다.
- Georgia Peachcare For Kids
· 1997년 의회는 Social Security Acto에서 XXI라 이름 붙여진 조직을 만들었고, 이 조직은 국내에서 보험이 가입되지 않은 많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치료를 제공한다.
- Georgia Regular Home Energy Assistance Program
· 조지아에서 Divison of Family and Children Services는 Regular Home Energy Assistance프로그램을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가정에 제공된다.
- Georgia School Breakfast And Lunch Program
· School Breakfast and Lunch프로그램은 학교의 아이들에게 낮은 가격이나 무상으로 이용가능하게 하며, 영양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공한다.
- Georgia Special Milk Program
· Special Milk프로그램은 연방정부의 어린이 식사 서비스 프로그램에 가입하지 않은 학교나, 보육원과 같은 곳에 제공한다.
- Georgia Special Supplemental Nutrition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Wic)
· WIC프로그램은 영양지도, 추가음식, 의료서비스를 무상으로 저소득층 임산부, 영유아, 산후여성, 모유수유여성, 5살까지의 아이들과 같은 영양적인 측면에서 위험이 높은 대상에게 제공된다.
○ 축제 / 명절
- 매년 10월의 마지막 일요일에 열리는 트빌리시의 축제인 트빌리소바(Tbilisoba)는 포도수확과 관련한 유명한 축제이다.
- 12월 31일 자정을 기점으로 아그스트고바(부활절)을 맞이하는 큰 행사로 신년을 맞이하여 상당수의 폭죽을 터트린다고 한다.
출처 : KOTRA, 외교부, Trading Economics
□ 일반
○ 조지아는 1065mm/year의 평균 강수량이 두 가지 기후 지역으로 분류된다.
□ 기온
○ 조지아 서쪽은 아열대 습윤기후로 겨울에는 크게 춥지 않고 여름에는 크게 덥지 않다. 평균 강수량은 1100 ~ 1700mm/year로 측정된다. 과잉수의 배수는 농업 부문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평균 온도는 1월에 5℃에서 7월에 22℃로 다르게 나타난다.
□ 강수량
○ 조지아 동쪽은 아열대 건주기후로 겨울에는 꽤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덥다. 평균 강수량은 500 ~ 1100mm/year이다. 강수량의 80%는 3월에서 10월까지 발생하고 건기는 50~60일정도로 꽤 길다. 강수량이 800mm/year이하인 지역에는 관개가 필요하다. 평균온도는 1월에 -1℃, 7월에 22℃로 다르게 나타난다.
□ 자연재해
○ 조지아 동쪽지역에는 가뭄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또한 우박이 봄이나 가을에 발생한다.
출처 : AQUASTAT - FAO
□ 지표수, 지하수
○ 조지아는 두 가지의 중요한 강유역이 있다.
- 조지아 서쪽 The Black Sea Basin은 재생 가능한 지표수자원이 42.5㎦/year로 측정된다. 북, 남쪽의 주요한 강은 Inguri, Rioni, Chorokhi가 있다. 터키로부터 오는 주요한 강줄기인 Chorokhi는 유입량이 6.3㎦/year로 측정된다.
- 조지아 동쪽 The Caspian Sea Basin은 재생 가능한 지표수자원이 14.4㎦/year로 측정된다. 북, 남쪽의 주요한 강으로 Terek, Andiyskoye는 러시아로부터 Caspian Sea로 흘러들어가는 강들이 존재한다.
- 재생 가능한 지하수자원은 17.23㎦/year로 측정되고, 그 중 16㎦/year은 지표수에 의해 배수된다. 총 58.13㎦/year의 재생 가능한 수자원을 주고,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은 63.3㎦/year이다.
출처 : AQUASTAT - FAO
□ 지표수, 지하수
<각 표준에 대비한 수자원 현황>
(UNECE/EPR, UNSD/UNEP, WHO, CSD, EEA 순)
물 | UNECE/EPR | UNSD/ UNEP | WHO | CSD | EEA |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X | X |
|
| X |
담수 추출 | X | X |
| X | X |
인당 가정용수 사용 | X |
|
|
| X |
물 손실 |
| X |
|
|
|
민물 재사용 및 재활용 |
| X |
|
|
|
음용수질 |
|
| X |
|
|
강의 BOD와 암모늄 농도 | X | X |
| X | X |
담수의 영양소 | X | X |
|
| X |
연안해수의 영양소 |
| X |
|
| X |
오염된 (미처리) 폐수 | X | X |
|
|
|
출처 : Georgia Country Report,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1
□ 수처리, 폐수
○ 인구의 70%가 하수도에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2010년 기준으로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설립된 모든 하수 처리 플랜트들이 고장나거나 1단계 처리 공법만 제공하고 있다. 때문에, 지방의 처리되지 않은 폐수들이 지표수의 주요 오염원이 되었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
□ 음용수
○ Tbilisi는 24시간 운영에 있어 방해 없이 좋은 품질의 음용수 전달을 확실히 하는 현대식의 높은 질을 가진 상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수도 외 음용수의 품질은 종종 표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가 있다. 가끔 부유물이 있고 부적합한 색이나 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2008년 기준, Tbilisi 외의 약 30%의 사람들이 하루에 12시간 미만으로 물을 공급받았으며, 높은 층에 사는 많은 사람들은 낮은 수압으로 인해 물을 받지 못하였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
□ 수자원
○ 조지아는 크게 두 개의 강유역으로 나눌 수 있다 :
- 조지아의 서쪽에 위치하는 The Black Sea 유역이다. 내부적으로 나오는 지표수 자원은 약 42.5 km³/yr로 추정된다. 북쪽에서 남쪽 순으로 주요 강들을 보면, the Inguri, the Rioni and the Chorokhi가 있다. the Chorokhi의 강류는 주로 터키(the Corub River)에서 흘러오고 유입량은 6.3 km³/yr로 추정된다.
- 조지아의 동쪽에 위치한 The Caspian Sea 유역이다. 내부적으로 나오는 지표수 자원은 14.4 km³/yr이다. 북쪽에서 남쪽 순으로 주요 강들을 보면, the Terek과 the Andiyskoye가 있으며, 이 강들은 조지아의 북쪽에서 흘러들어오며 The Caspian Sea에 들어오기 전에 러시아 연방 북동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이외에도 the Alazani, the Iori and the Kura가 있으며, 이들은 조지아로 들어와 Azerbaijan의 남동쪽을 흐르다가 Caspian Sea에 들어오기 전까지 Azerbaijan의 Adzhinour 호수로 흐른다. Kura강의 두 개의 유역은 터키에서 유입되며, 유입량은 0.91 km³/yr로 추정된다. Kura강의 남쪽 유역에 있는 Debet 강으로 Armenia에서 오는 유입량은 0.89 km³/yr로 추정된다.
지하수 자원은 17.23 km³/yr로 추정되며, 16 km³/yr만큼 지표수 네트워크로부터 배출된다. 총 내부 수자원은 58.13 km³/yr이며 실제 이용가능한 수자원은 63.33 km³/yr이다.
수자원 현황 | |||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
강수량 (장기 평균) | - | 1 065 | mm/yr |
| - | 74.23 | 10?㎥/yr |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 (장기 평균) | - | 58.13 | 10?㎥/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 63.33 | 10?㎥/yr |
부양비율 | - | 8.21 | % |
인 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5 | 14 155 | ㎥/yr |
총 댐 용량 | 2004 | 3 414 | 10?㎥ |
출처 : AQUASTAT - Georgia, FAO
□ 상수도·하수도 현황
○ 조지아의 상수 및 위생시설의 접근성을 높다. 일반 가정 대상 조사와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수 및 위생시설의 통합 감시 프로그램은 2015년에 개선된 수자원으로의 접근을 일반적이게 만들었다. 개선 위생시설의 접근성은 86%(도시지역 95%, 농촌 76%)이었다. 해당 관측치에 따르면, 개선된 물에 대한 접근성이 1990년 96%에서 2010년 100%가 되었으며, 반면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1990년 96%에서 2015년 86%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접근성의 감소는 농촌지역에서 두드려졌는데, 1996년 조사에서 96%에서 2013년 79%로 급감하였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
□ 물관련 법령현황
○ Law of Georgia “On Environmental Protection” (1996) ⇒ 수질과 같은 환경질의 표준의 기준치를 제공한다.
○ Law of Georgia “On Mineral Deposits” (1996) ⇒ 지하수를 광물의 일부분으로 생각하고 지하수의 모든 사용 용도를 규정하며 지하수 보호 또한 규정
○ Law of Georgia “On Land Melioration” (1997) ⇒ 토지 개량 및 농업용 목적을 위한 물과 수공간의 사용을 규정
○ Law of Georgia “On System of Protected Areas” (1996) ⇒ 해안 보호구역, 육상 보호구역 내 수공간을 포함한 보호구역 설정과 관련된 법적 규제 제공
○ Laws of Georgia “On Health Protection” (1997) and “On Public Health” (2007) ⇒ 위생시설의 위생 요구 사항 표준과, 물과 수질에 관한 규칙의 설정
○ Law of Georgia “On Regulation and Engineering Protection of the Seashores, Reservoirs and River Banks” (2000) ⇒ 홍수나 마모에 대비한 해안가와 강/저수지 둑의 공학적 보호 규정
○ Law of Georgia “On Recognition of Ownership Rights on Land Plots Being under the Usage of Natural Persons and Legal Entities of Private Law” (2007) ⇒ 수공간/습지를 포함하여 불법적으로 쓰이는 천연 및 작은 토지의 소유권의 법률화를 규정
○ Laws of Georgia ““On State Control for Environment Protection (State Environmental Control)” (2005) and “On Ecological Expertise” (2007) ⇒ 발전 목적의 수자원 사용이나 산업용 폐수로부터 강과 저수지의 보호 및 폐수 침수로부터 환경과 토지를 보호하는 등의 많은 물 관련 중요 요소에 대해 법적으로 간소화함
○ Organic Law of Georgia “On Self-governance” (2006) ⇒ 지방의 물과 폐수 운영을 정의하며 실제적인 지방 당국의 권한을 규정
○ Law of Georgia o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ermits (2008) ⇒ 사람의 활동에 의해 자연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영향의 평가 규정이나 절차를 설립하였다. 이 법은 또한 환경 영향 평가 활동을 할 업체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출 처 : And Wastewater Sector In Georgia, Davud Melua, 2015
□ 물관련 정책현황
○ 별도의 정책문서는 없지만 물 보호, 수질, 수량 관리를 위한 조지아 정책의 아웃라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물 보호는 현재나 미래에도 조지아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환경보호의 중요한 요소이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마실 수 있는 물이다.
- 지표수와 지하수 모두 나라가 관리해야 한다.
- 수문학 중요성에 따르면 물 관리는 다르게 해야 한다.
- “user-polluter pays”시스템은 중요하다.
- 오염을 적게 일으킬지라도 허락되어선 안 된다.
출처 : AQUASTAT - FAO
□ 상하수도 요금체계
○ GWP 서비스 구역 내 상수 및 하수 요금은 2014년 기준, 계량 없이 1달 기준 일반 가정 1인당 3.15 Georgian Laris (USD 1.80)이다. 계량기가 없는 일반 가정은 m³당 0.27 Georgian Laris (USD 0.15)이다. 기업들에게는 계량기 설치가 의무적이며 요금은 m³당 4.4 Georgian Laris (USD 2.50)이다.
○ UWSCG의 서비스 구역에 계량기를 설치한 일반 가정의 상하수 요금은 2016년 기준 m³당 0.50 Georgian Laris (USD 0.22)이다.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고객들을 위한 요금은 1달 0.25에서 2.15 Georgian Laris 사이로 다양하며 지방 당국에 의해 결정된다. 상업적 고객을 전부 계량기를 설치하여 계량되며 m³당 4.31 Georgian Laris (USD 1.88)를 지불하는데, 이는 일반 거주민에 8배나 되는 금액이다.
출 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State Commission on Water Supply and Energy : 2008년 5월에 설립되었으며 장관이 의장을 맡았다. 물과 위생시설 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The Ministry of Regional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가 부문 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요금 승인과 같은 경제적 규제는 the Georgia National Energy and Water Regulatory Commission이 맡고 있다. 정부의 실행부서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 위원회는 정부 예산으로 자금을 지원받는 것이 아니라 가스, 전기, 물 공급자들이 자신들의 총 소득의 0.5%를 멤버십 요금으로 지불한다.
○ The 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tural Resources : 수자원 운영과 환경 규제를 담당하고 있다.
○ The Ministry of Agriculture : 음용수 수질 평가를 담당한다.
○ Georgian Water and Power (GWP) : 이전에 Tbilisis Tskali로 알려졌으며, Tbilisi와 Mtskheta와 Rustavi의 이웃 동네에 상하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회사는 또한 2개의 수력 발전 플랜트를 소유하고 있다.
○ The state-owned United Water Supply Company of Georgia (UWSCG) : 조지아 전역에서 GWP의 서비스 구역과 Adjara 자치구를 제외한 다른 도시에 상하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
□ 병물 사업
○ 2011년 경 에너지 천연자원부(Minister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Khetaguri 장관은 의회에서 2012년에 총 15개의 수력발전소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관은 동 프로젝트에는 12,000명의 인력이 고용될 예정이며 예상 투자금액은 약 30억불 이라고 전했다. 또한 2011년에 실행되어야 할 프로젝트 중 10개의 수력발전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조지아정부는 EU로부터 2개의 주요 수력발전소 관련 프로젝트 추진에 2,600만불을 지원받는 등 EU기금을 적극적으로 활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물산업 통계정보 시스템
□ 해외원조·외국인 투자
○ Asian Development Bank (ADB) :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는 2008년에 조지아의 물 부문에 참여를 시작했다. 2015년 2월 ADB와 정부는 Zugdidi의 상수 서비스와 Poti의 하수 서비스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에 필요한 $ 108백만의 차관 협약을 맺었다. 프로젝트 이전에는, Zugdidi의 84%의 주민이 수돗물을 사용하지 못했다. Poti에서는 포관적인 하수 수집 및 처리 시설이 지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위생학 및 위생시설 관련 정보를 초함한 공공 인식 프로그램의 시행을 도왔다. 이 프로젝트는 4번째 $ 500백만 이하의 multitranche financing program이다. 5번째 차관은 $ 75백만 규모로 Zugdidi의 하수 시스템 지원과 Mestia의 하수 처리 플랜트 지원을 위해 2015년 9월에 승인되었다.
○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EBRD는 조지아의 지방 개발 자금을 통해 Kobuleti의 상하수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에 협조융자를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ORET (Netherlands)와 the Millennium Challenge Corporation (USA)에 의해 보조금의 형태로 협조융자되었다.
○ Germany and EU : 독일은 그들의 개발 은행인 KfW를 통해 2006년부터 Batumi의 상수와 위생시설 증진에 투자하였다. 프로젝트 이전에 처리되지 않은 폐수가 흑해로 배출되어 수돗물은 마실 수 없었고 상수도 간헐적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EUR 9.5백만의 보조금을 EU로부터 지원받았다. 이는 현대식 폐수 처리 플랜트와 기능성 빗물 배수 시스템의 건설과 다용도 아파트에 약 37,300개의 계량기 설치를 위함이었다.
○ United States and WB : The US Millennium Challenge Corporation은 the Georgian Municipal Development Fund를 통해 조지아 전역의 5개 도시에 대한 지방 상수 및 하수 증진을 위한 지역 기반시설 개발 프로젝트에 $ 57.7백만을 지원하였다.
The World Bank는 1995년부터 조지아의 지방 기반시설에 참여하였다. 최근에는 2014년에 승인되고 조지아의 Municipal Development Fund에 의해 시행된 두 번째 지역 및 지방 기반시설 개발 프로젝트에 $ 30백만을 지원하였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Geor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