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이라크(Iraq) 혹은 이라크공화국(The Republic of Iraq)
○ 위 치 : 아라비아 반도 북동부
○ 건국(독립)일 : 1932년 10월 3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441,839㎢(한반도의 2배)
○ 인 구 : 약 36,575,000명
○ 기 후 : 사막기후
○ 수 도 : 바그다드(Baghdad)
○ 주요도시 : 모술, 아르빌, 키르쿠크, 술라이마니야, 사마라, 루트바, 팔루자, 카르발라, 나자프, 쿠트, 아마라, 나시리야, 바스라, 움 카스르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장미(Rose)
○ 국 조 : 바위자고새(Chukar Partridge)
□ 정치
○ 정부형태 : 의원 내각제
○ 실 권 자 : 대통령 : 푸아드 마아숨
○ 총 리 : 하이다르 압바디
○ 정부구조 : 이라크는 연방 공화국이며 정부 형태는 총리가 실권을 행사하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라크의 정치는 행정부, 입법부,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주요 정파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이라크의 행정부
· 이라크의 연방 대통령
· 이라크의 총리와 내각
- 이라크의 입법부
- 이라크의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 이라크의 주요 정파
- 이라크의 시아파계 정파
· 이라크의 이슬람다와당과 법치국가연합(SLC)
· 이라크 이슬람최고평의회와 이라크국민연맹(INA)
· 이라크의 사드르주의자(사드르 운동)
- 이라크의 수니파계 정파
· 이라크의 이라키야(Iraqiya)
· 이라크합의전선(Tawafuq)
· 이라크국민대화전선
- 이라크의 쿠르드계 정파
· 이라크의 쿠르드민주당(KDP)
· 이라크의 쿠르드애국동맹(PUK)
· 이라크의 ‘변화를 위한 운동(Movement for Change, Goran)’
- 이라크의 기타 정치 세력
○ 행정구역
- 이라크는 18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1. 바그다드 주
2. 살라딘 주
3. 디얄라 주
4. 와시트 주
5. 마이산 주
6. 바스라 주
7. 디카르 주
8. 무탄나 주
9. 카디시야 주
10. 바빌 주
11. 카르발라 주
12. 나자프 주
13. 안바르 주
14. 니나와 주
15. 다후크 주
16. 아르빌 주
17. 키르쿠크 주
18. 술라이마니야 주
○ 외 교 : 1980년~1988년의 이란·이라크전쟁, 1990년 8월 ~ 1991년 3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및 걸프전쟁(페르시아만전쟁)과 그로 인한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의 제재로 이라크는 아랍권은 물론 서방국과의 관계 개선이 한계를 맞았다. 2003년 이라크전쟁에서 패배함으로써 이라크는 기존의 반제국주의, 아랍의 통일, 사회주의 노선을 중단하였다.
이라크전쟁 이후 들어선 새 정부는 과거의 대외 정책에서 벗어나 이라크의 주권과 독립 보장, 양자 관계 재건과 이슬람 정체성 확보, 경제적 재건 등을 목표로 하는 외교정책을 수립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이라크의 안보?안정?영토 보전, 양자 외교 관계의 복원 및 이라크 재건과 발전에 있어 국제사회와의 관계 강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제?인프라 재건, 이라크 외교 공관의 재가동 및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에서의 이라크의 이익 증진, 다자 기구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 외교부 개혁 및 새로운 가치와 원칙에 기반을 둔 활동, 주권?통일?평등한 시민권이라는 틀 안에서 민주주의 추구 등을 목표로 외교정책을 세워 시행하고 있다.
2005년에 제정한 이라크 신헌법 제8조에는 인근 국가와의 평화, 불간섭, 평화적 분쟁 해결, 상호주의, 국제 의무 준수 등이 명시되어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이라크 디나르(Iraqi Dlnar, IQD)
○ 외환보유고 : 1,240 (USD - 백만) (2014)
○ 교역규모
- 수출 : 83980 (USD - 백만) (2014)
- 수입 : 45200 (USD - 백만) (2014)
- GDP : 1,484억$ (2016)
- 1인당 GDP : 4,115$ (2016)
- 경제성장
| 2010 | 2012 | 2014 |
GDP growth (annual %) | 5.86 | 13.9 | -2.1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전통적인 농업 국가였던 이라크는 1927년 원유가 발견된 이후 원유수출국으로 원유생산이 전 산업 활동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제조업은 아직도 매우 미숙한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라크의 산업은 1차 산업에 18%, 2차 산업에 49%, 3차 산업에 33%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구조상으로는 중동지역에서 매우 좋은 기반을 갖고 있다. 총수출의 99%, 재정수입의 8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석유산업은 이라크의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 주요자원 : 이라크의 주요 자원은 천연가스, 석유, 황, 인산 등이다.
2010년에 이라크는 세계 원유 생산량의 3.1%를 생산(약 2.5 Mbbl/d)하여 세계 원유생산 11위 국가로 기록됐다. 2009년과 2010년 사이 수출량은 1.9 Mbbl/d를 기록했고, 석유 수출을 주도하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이라크는 막대한 양의 자갈, 사암, 모래를 보유하고 있다. 석유, 천연가스뿐만 아니라 소량의 황, 시멘트, 보크사이트, 점토, 석회암, 석고, 벤토나이트, 소금, 고령토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공용어), 쿠르드어(공용어)
○ 민 족 : 아랍인이 약 78%, 쿠르드인이 약 17%, 그 밖에 이라크 투르크멘,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5%
○ 종 교 : 99%는 이슬람교를 믿으며, 이 중 시아파가 63%, 수니파가 36%이다. 소수 종교로는 기독교가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아시리아 동방교회에 속하고, 비율은 0.8%이다.
○ 교 육 : 1970년대와 80년대의 교육 개혁의 결과, 어른 세대에서 문자 해독률이 높다. 그러나 그 뒤 20년 동안, 전쟁과 제재, 열악한 경제상황 등으로 인해 교육 체계가 희생되었다. 이후 이라크 정부는 교육 부문에 대한 3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젊은이들의 문자 해독률, 초등교육에 대한 순 입학률, 입학한 학생들 중 5학년 도달률이다.
○ 축제 / 명절
- 아슈라 : 시아파의 대표적인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이자 3대 예언자로 추앙받는 후세인이 7세기 말 이라크 카르발라 전투에서 수니파 세력에 의해 숨진 사건을 추모하는 행사
- 이드 알 아드하(Eid al-Adha) : 이슬람력 제12월 10일에 지내는 이슬람의 축제.
- 라마단(Ramadan) : 이슬람교에서 행하는, 약 한 달가량의 금식기간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 이슬람 문화권에서 금식 기간인 라마단(Ramadan)이 끝나는 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대한 음식을 장만해 축하하는 축제
출처 : KOTRA, 외교부, Trading Economics
□ 일반
○ 사막기후는 대륙성 기후에 속하는 극단적인 기후형의 하나다.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더 많으며 일사가 매우 강하다. 따라서 식생(植生)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건조한 기후다. 지표가 노출되고 수증기의 양이 적으므로 밤과 낮의 기온일교차가 매우 크다.
□ 기온
○ 이라크는 폭넓은 기후대를 보이는데, 여름은 더운 편으로 특히 남부 지역은 평균기온이 43 도를 넘어간다. 겨울은 이와는 반대로 기온이 크게 떨어져 상당히 춥다. 북부 고원지대는 남부 지역보다 여름에 서늘하고 건조한 편이다. 10월부터 4월까지의 겨울에는 기온이 급강하하기 때문에 산악 지대에는 종종 눈이 내리기도 한다.
□ 강수량
○ 강우량은 북동지역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부족하며, 보통 연평균 강우량도 400 ~ 600 mm에 지나지 않는다. 강우는 주로 10월부터 5월까지 사이에 내리며, 사막 지역은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농업은 주로 강으로부터의 관개수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수로가 없다면 농사를 지을 수 없다. 때때로 돌풍이 일어나 경작물을 망치는 경우도 있어 큰 골칫거리이다.
출처 : 위키백과 - 이라크
□ 자연재해
○ 모래바람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안질환과 호흡기 질환에 유의해야 한다.
출처 : 외교부 - 해외안전여행
□ 지표수, 지하수
수자원 | 용량(㎦/yr) | 년도 |
지하수(renewable, actual) | 3.0 | 2014 |
지표수(renewable, actual) | 88.6 | 2014 |
총 수자원(renewable, actual) | 91.9 | -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2015
○ 이라크의 주요 강은 Tigris, Euphrates강이다. 이 강들은 이라크의 지표수 제공에 98%를 차지한다. 이라크 북부지역에서 지하수는 단 하나의 수자원으로써 농업부문에 있어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지표수
○ 이라크 남반부 쪽에 건설된 많은 수의 수로시설들을 통해 물의 손실과, 습지상태를 최소화 시켰고 수질을 향상 시켰다. Bakhtiari와 충적토 형성은 토사, 자갈, 모래, 물질의 집합체, 바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며 두께는 6000M에 이른다. 또한 수질의 범위는 300 ~ 1000ppm이다.
출처 : AQUASTAT ? FAO
□ 수처리, 폐수
○ The Ministry of Water Resources(MWR)는 이라크 물 사용에 대한 책임이 있다. 그들은 25개의 중요한 댐, 수력 발전소, 보를 운영할 뿐만 아니라 275개의 관개용 펌프 시설을 운영한다. 이라크는 오래전부터 생활 폐수를 농업적 용수로 재사용 해왔다.
□ 지하수
○ 지하수에 관해서는 북쪽의 산에서 퇴적된 돌들에 의해서 pH가 6.5에서 8.0의 값을 가지고, 낮은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북서쪽 고원에 위치한 Bakhtiari 대수층의 두께는 6000m이고 수질은 대체로 좋은 편에 속한다.
□ 음용수
○ 이라크의 음용수질은 종종 형편없다. 2004년 15673개의 음용수 샘플을 15개 정지역에서 수질 테스트 했었다. 그 중 1010개의 샘플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됐다. 이후 2010년 360000 이상의 질병 케이스가 발생했다. 이유는 음용수의 오염과 저급한 위생 상태로 인한 것이었다.
출처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물시장 현황
분야에 의하여 자본 지출($m) | 2013 | 2014 | 2015 |
상수도사업 자본 지출 | 230.4 | 186.0 | 161.8 |
상수도 관망 | 78.9 | 52.3 | 45.3 |
수처리 시설 | 61.0 | 44.7 | 42.7 |
수자원(담수화 제외) | 40.7 | 29.8 | 28.4 |
염수의 담수화 | 49.8 | 59.2 | 45.4 |
하수도사업 자본 지출 | 53.5 | 37.6 | 34.5 |
페수 관망 | 43.3 | 30.4 | 27.8 |
폐수처리시설 | 7.5 | 5.4 | 5.2 |
슬러시 관리 | 2.7 | 1.8 | 1.5 |
산업 자본 지출 | 59.3 | 60.3 | 36.4 |
총 자본 지출 | 343.2 | 283.9 | 232.8 |
| |||
기술 자본 지출($m) | 2013 | 2014 | 2015 |
유수 분리 | 35.6 | 34.1 | 17.8 |
부유 물질 제거 | 37.7 | 30.9 | 27.9 |
용존 고형물 제거 | 20.4 | 23.8 | 18.3 |
생물학적 처리 | 2.9 | 2.4 | 2.2 |
소독 | 9.6 | 7.3 | 6.8 |
침전물 관리 | 3.3 | 2.7 | 2.3 |
총 기술 | 109.3 | 101.1 | 753 |
취수 / 배출 | 23.1 | 22.4 | 189 |
일반 건설 / 기타 | 47.9 | 47.9 | 36.9 |
네트워크 및 자원 | 162.9 | 112.5 | 101.6 |
총 자본 지출 | 343.2 | 283.9 | 232.8 |
| |||
분야에 의한 운영비용($m) | 2013 | 2014 | 2015 |
상수도 사업 | 588.3 | 602.0 | 621.3 |
하수도 사업 | 56.5 | 53.1 | 54.4 |
산업 | 191.8 | 199.5 | 211.8 |
총 운영비용 | 836.6 | 854.7 | 887.4 |
| |||
부분에 의한 운영비용($m) | 2013 | 2014 | 2015 |
노동(자체 서비스) | 231.1 | 234.9 | 242.3 |
에너지 | 263.5 | 2720 | 286.3 |
부품 및 소모품 | 38.7 | 39.3 | 40.6 |
화학 | 35.3 | 35.9 | 37.1 |
타사 서비스 | 33.5 | 34.1 | 35.2 |
석유 및 가스 물 서비스 | 0.0 | 0.0 | 0.0 |
기타 | 234.5 | 238.4 | 245.8 |
총 운영비용 | 836.6 | 854.7 | 887.4 |
□ 수자원
○ 이라크는 Tigris와 Euphrates를 주요 식수원으로 하는데, 두 강 모두 이라크의 바깥에서 들어오고 있다. 이 두 강은 이라크 내의 지표수의 98%를 차지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이 강류는 바깥에서 들어오기 때문에 터키, 시리아, 이란의 댐이나 물 관련 정책들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 있다. Euphrates는 이라크 영토 내 영구 지류로부터 물이 유입되지는 않으며, Wadi들로부터 계절적으로 유입된다. 터키와의 국경에서 Euphrates 강류의 연간 평균은 10km³에서 40km³ 사이로 변동되지만, 약 30km³로 추정된다. Tigris는 연간 평균 강류가 21.2km³이다. 이라크 내, Tigris에는 5개의 주요 지류에서 물이 유입되는데, 이 5개의 지류를 Khabour, Great Zab, Little Zab, Diyala와 Al Authaim이라고 불리운다. 그러나 마지막의 Al Authaim만 이라크 영토가 전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외 모두와 Tigris의 50%는 국외에서 물이 유입된다.
강류 규모는 때마다 상당히 다르다. 심각한 홍수, 특히 Tigris의 홍수는 흔하지 않은 편이다. 이라크의 남쪽 지역에서는 많은 지역의 물이 자주 범람하며, 제방이 자주 무너지고 길과 마을이 높은 배붙임 성토 공법으로 지어진다. 반대로, 연 중 적은 강류를 가진 곳은 관개가 힘들다. Euphrates와 Tigris는 최근 터키와 시리아, 이란과 같은 상류 국가의 활동으로 그들의 원래 유량의 3분의 1로 감소하였다.
출처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Iraq", Wikipedia
□ 상수도현황
○ 급수구역 인구수 : 27,191,412 명 (88%, 2014)
○ 관망 연결 수 : 2,110,000 (2005)
○ 상수 시설 총 용량 : 5,958,688,500 m³/yr (2014)
○ 누수율 : 18.7%
○ 수처리장 수 : 276 개
○ 수처리장 설계 용량 : 9,260,000 m³/d (2013)
○ 수처리장 운영 용량 : 7,396,166 m³/d (2013)
□ 하수도현황
○ 하수도 인구수 : 9,845,317 명 (31.8%, 2014)
○ 하수도 연결 수 : 764,000 (2014)
○ 하수량 : 629,788,522 m³/yr (2014)
○ 하수 회수율 : 28.2% (2014)
○ 2차 공정으로 처리되는 하수 비율 : 70.3% (2014)
○ 3차 공정으로 처리되는 하수 비율 : 0.0% (2014)
○ 하수처리장 개수 : 43 개 (2014)
○ 하수처리장 설계 용량 : 2,160,328 m³/d (2014)
○ 하수처리장 운영 용량 : 1,211,388 m³/d (2014)
□ 물관련 법령현황
○ Forests and Woodlots Law No. 30 of 2009
○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mprovement Law No. 27 of 2009
○ Ministry of Water Resources Law No. 50 of 2008
○ Public Roads Law No. 35 of 2002
○ Law of Conserving Water Resources No. 2 of 2001
○ General Authority for Water and Sewage Law No. 27 of 1999
○ Chapter IX of Instructions No. 1 of 1998 on the Iraqi Ports and Harbors
○ Maintenance of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Law No. 12 of 1995
○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Kurdistan Region-Iraq Law No. 4 of 2008
○ rrigation Ministry Companies and Bodies Law No. 44 of 1987
○ Irrigation Law No. 6 of 1962 and its Amendments
○ Beaches Utilization Law No. 59 of 1987
○ Hydrocarbon Resources Preservation Law No. 84 of 1985
○ Natural Pastures Law No. 2 of 1983
○ Public Health Law No. 89 of 1981
○ Fishing, Exploiting and Protecting Aquaculture Law No. 48 of 1976
○ Penal Code No. 111 of 1969 and its Amendments
○ Protection of Rivers and Public Water from Pollution No. 25 of 1967
출 처 : “Legislation on water resources protection in Iraq : An overview of the Basic Legal Features", Dr. Yadgar Kamal Ahmmad 외 2명, 2013
□ 물관련 정책현황
○ MoMPW에 의해 2013년 기준 진행 중이었던 상수 관련 프로젝트 ;
1. Mawafaqiya에서 Neighborhood Water Project 실행
2. Al-Rafa-i에서의 2000m³/h 용량의 Al-Rifa-i Water Project 건설을 위한 재료 공급
3. Abi Gharaq에서의 400 SQM/h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체계 설계 및 시행
4. Badr에서의 파이프 및 장비 설치를 포함한 2000m³/s의 Badr Water Project의 설계 및 시행
5. 3000m³/h의 Water Project를 위한 장비 공급과 전기 기기 및 파이프 시동
○ MoMPW에 의해 2013년 기준 진행 중이었던 하수 프로젝트 ;
1. Kana'an의 WWTP 건설
2. Falluja의 Falluja WWTP Network
3. Ramadi의 Ramadi WWTP 건설과 Network 수립
이 외 14개의 Wastewater Treatment and Network 프로젝트 존재
출처 : AQUASTAT - FAO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이라크는 대략 $.003/cubic meter의 물 관련 세금을 부과한다. 모든 사람이 이 세금을 지불하지만, 이 세금으로는 이라크의 물 관련 비용에서 5%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라크 물 라인에서 불법적으로 수도를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다. 남쪽의 Basra 지방의 al-Faw와 Siba를 방문했을동안, 시민들이 지역 수도관에 불법적으로 연결하여 경찰이 이를 감시하는 것을 보는 것이 일상이었다. 즉, 시민들이 불법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이라크 정부에 대해서 무능하며, 세금에 대해 강제할 힘이 없다는 것이 폭넓게 퍼져있다고 할 수 있다.
출 처 : "Water and Sewage Sector in Iraq : Sector Report - Feb 2013", Dunia Frontier Consultants
□ 상하수도 예산현황
○ 2016년 이라크 내 총 물 시장의 규모는 $ 1,160백만으로 이 중 설치 자본이 $ 225백만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중 시설 자본은 82.9%이며 상수도 네트워크와 처리에 사용되는 자본이 47.3%, 하수도 네트워크와 하수 처리에 사용되는 자본이 18.7%로 추정된다.
○ the MoMPW은 2011년 기준 총 $1,797,000,000의 예산을 가졌다. 이 중 $1.063십조는 자본 비용으로 쓰였고, $727백만은 운영 비용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MoMPW의 많은 프로젝트가 다년간 프로젝트들이며 이는 앞으로 5년 이상 연간 예산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7", GWI "Water and Sewage Sector in Iraq : Sector Report - Feb 2013", Dunia Frontier Consultants
□ 물관리 로드맵
○ 이라크 정부는 5개년 개발 계획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점을 목표로 하였다
- 적어도 35%로 생각되는 농촌의 음용수 감수 문제를 처리.
- 지방 정부들에게 위임된 기금을 사용하여 92개의 물 관련 프로젝트들을 시행.
- 필수 장비와 연료, 전기 등의 공급을 통해 운영 결점을 처리.
- 물 할당제 실시.
- 물 사용과 물 보존 방법에 대한 시민 의식 증대.
- 물의 과소비를 경감하기 위해 현재의 물 세금 재평가.
- 남쪽 지방에 담수화 플랜트 건설.
- 직원 교육.
○ 이라크 정부는 "5개년 전략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목표는 다음과 같다 ;
- 하수 네트워크에 속한 인구 비율은 40%로 증가.
- 정부의 하수 처리 효율성 강화.
- 모아진 빗물과 처리된 하수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 수로에 재유입된 처리수를 국제 표준으로 확인할 것.
- 48개의 새로운 프로젝트들을 시행.
- 오래된 프로젝트들의 갱신.
- 배수 네트워크의 확장.
- 인구와 지하수 등급에 기초하여 도시 내 프로젝트들을 시행.
- 홍수 피해 경감을 위한 Vertical Housing으로 전환.
출처 : "Water and Sewage Sector in Iraq : Sector Report - Feb 2013", Dunia Frontier Consultants
□ 물관련 조직현황
○ 이라크의 음용수 및 하수 부문에 관련된 많은 정부 기관과 단체가 있다. 이들은 크게 바그다드에 있는 중앙 정부 본부, 지방 단계의 중앙 정부 지사, 지방 정부들로 나뉜다.
- 바그다드 내 중앙 정부 본부.
· Ministry of Municipalities and Public Works : The MoMPW는 이라크의 상하수 관련 프로젝트들에 있어서 전략, 예산, 시행을 담당한다.
· Ministry of Water Resources : The MoWR은 2차적으로 중요한 기관인데, 주로 상하수 프로젝트들은 이 부처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The MoWR은 물 프로젝트들의 가능성과 명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이라크의 수로에 대해서 전략적 결정을 내리기 때문이다.
· Ministry of Planning : The MoP는 MoMPW에 전략적 사고 보조를 돕기 위한 전략적 보조 COSIT 수행 기관으로써 물과 하수 부문에 연관되어 있다.
· Ministry of Environment : The MoE는 이라크의 수로에 대한 환경적 연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이라크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들에 대해 조언을 할 수 있다.
· Ministry of Health : The MoH는 MoE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데 이라크 수로 관련 환경적 영향을 평가한다. 특히, MoH는 이라크의 시민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을 다룬다.
· The Prime Minister’s Office : PMO는 직접적으로 프로젝트 실행에 연관되어서는 안되지만, 한 일화로, 이들은 특정 프로젝트에 MoMPW보다 우선시되는 법령을 통해 시행에 간섭한다고 한다.
- 지방 단계의 중앙 정부 지사
· Directorate of Sewage : 모든 Kurdistan의 governorate의 외부에는 DoS의 사무실이 지방 중심에 있다. DoS는 지방에 있는 MoMPW의 하수 전문 부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지방 부처들은 또한 지방의 하수 플랜트들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Directorate of Water : 모든 Kurdistan의 governorate의 외부에는 DoW의 사무실이 지방 중심에 있다. DoW는 MoMPW의 물 전문 부처의 연장선이다. 이 지방 부처는 또한 지방의 WTPs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Ministry of Water Resources Provincial HQ : 이라크의 governorate에 있는 전형적인 지방 단계의 감독들이며 일반적으로 MoWR 소속이고 각 지방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 지방 정부
· Office of the Governor : The governor’s office는 물과 하수를 위한 전략적 계획을 담당하며, 입찰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최후 결정권을 가진다.
· Provincial Council : The PC는 governor`s office와 함께 입찰된 특정 프로젝트를 구상하는 역할을 한다. The PC는 전형적으로 입찰자를 결정하는데 있어 governor`s office에 추천을 할 수 있다. 또한, The PC는 프로젝트들이 제시간에 맞춰 예산에 맞게 완성될 수 있도록 감독하는 역할도 한다.
· Committee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CRD는 PC의 하위 단원이다. 많은 지방에서 CRD는 PC가 주도하는 감독, 입찰 추천의 역할을 위임하고 있다.
출처 : "Water and Sewage Sector in Iraq : Sector Report - Feb 2013", Dunia Frontier Consultants
□ 병물 사업
○ The Water Project : 최근 이라크에서 일어난 전쟁이전에, IWP는 6개의 물 처리 시설을 이라크 남쪽부분과 중앙에 새로이 지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시설을 통해 100,000의 이라크인이 깨끗한 물을 기대할 수 있었다. 미국의 민간 조직인 LIFE for Relief and Development는 이라크에서 오래도록 일해 왔고, 현재 테러와 혼란 속에서도 계속해서 일하고 있다. LIFE와 IWP의 원조와 함께 3개의 팀이 이라크인들과 힘을 모아서 물 처리 시설들을 재건설하고 있다.
○ A water project in Al Samawa : 90년대 이후 용량과 양의 측면에서 볼 때 이라크에서 가장 거대하게 완성된 포로젝트이다. Al Samawa 시설은 수 처리와 감시에 대해서 최신 기술로 만들어 졌다. 이 프로젝트는 Al Muthana 지역에 있는 250,000명에게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제공한다.
출처 : "Iraq: A Project to Address the Shortage in Potable Water Supply", the World Bank, 2010 "What is the Iraq Water Project?", Veterans for Peace
□ 해외원조
○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이라크 재건을 위해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총 9억 3천만 유로를 무상으로 지원하였고, 그중 6억 500만 유로는 이라크재건신탁기금(IRFFI)을 통해 지원하였다. 교육, 보건, 물과 위생 등 기초 공공서비스와 농업, 농촌 개발, 난민 등 인간 개발 분야를 가장 많이 지원하였으며 선거, 헌법 등 정치제도 정비(Political Process)에 대한 지원도 두드러진다.
이탈리아, 스웨덴 등과 공동으로 중기지원계획(Joint Response Strategy 2011-2013)을 수립하여 기존의 단기 전후 긴급 지원에서 벗어나 이라크 경제사회의 중장기 개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거버넌스, 기초 서비스 및 개발 공통 과제(cross-cutting) 분야를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 이탈리아는 이라크 재건을 위해 2003년부터 2009년까지 무상 원조 3억 3천만 달러와 유상 원조 1억 5천만 달러, 총 4억 8천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이라크의 박물관 등 문화유산 복원, 농업 및 관개 분야 사업을 주로 지원해 왔다.
출처 : "이라크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원규모“, 외교부
□ 외국인 투자
○ The World Bank에 의해 운영되는 trust fund가 총 $ 175백만을 the Emergency Baghdad Water Supply and Sanitation Rehabilitation Project와 the Emergency Water Supply, Sanitation and Urban Rehabilitation Project에 제공했다. IDA는 총 $ 110백만을 the Emergency Water Supply Project에 투자하였다.
출 처 : “Iraq: Investing in Infrastructure and Institution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conomic Revival and Social Progress”, the World bank, 2013
□ 한국과의 협력
○ 2005년 이라크 아르빌 상하수도 현대화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베칼 소수력발전소 건설 사업, 아르빌 침사지 설치 사업 등 여러 사업에서 한국 수자원 공사 K-water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었다.
○ 아르빌 상하수도 현대화 시범 사업 : 한국 자이툰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아르빌 지역의 사회간접자본(SOC)시설은 약 20년 이상 시설투자 및 적절한 개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관련 기술인력 부재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 할 능력이 없고 정수장등 시설이 노후화된 실정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아르빌 도시관리부(MOM)는 장기적인 상하수도 시스템 개선을 위한 종합 마스터플랜의 수립과 관련 공무원의 한국의 선진화된 상하수도 운영관리 기술, 경험 및 노하우를 전수받아 궁극적으로 아르빌의 안정적인 식수공급과 생활하수 등의 처리를 통해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복지증진에 기여코자 한국정부에 동 사업지원을 요청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총재 신장범)은 동사업의 성공적인 준공을 통하여 상수도분야의 종합적인 마스터플랜 수립과 기존 Ifraz Ⅱ 취·정수장의 보수보강공사를 통하여 저하된 수처리 성능을 회복하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기여하고, 용수 부족지역 내 현대식 지하수 심정 3개소를 개발하여 급수난 해소 하였으며, 아르빌 지역은 하수처리시설이 전무한 상태로 대부분의 생활하수가 하천과 지하수로 스며들어 오염이 심각한 상태이며, 이에 따른 위생적인 하수처리를 위해 하수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사업효과가 큰 하수처리장과 하수관거 건설을 위한 실시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아르빌 상하수도, 지하수 및 수질분야 담당자의 기술능력을 배양하고, 사업완료 후 관련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교육훈력 실시와 상수도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부족한 수질분석기자재를 지원함으로써 수질관리체계 개선을 유도하였다.
출처 : “이라크 아르빌 상하수도 현대화 시범사업 준공”, KOICA,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