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Republic of Uzbekistan)
○ 위 치 :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내륙국
○ 건국(독립)일 : 1991년 9월 1일 (러시아로부터 독립)
○ 면 적 : 447,400 km²(한반도의 약 2배) (2015)
○ 인 구 : 30,757,700 (2014)
○ 기 후 : 고온건조한 사막성 기후
○ 수 도 : 타슈켄트(Tashkent)
○ 주요도시 : 타슈켄트(Tashkent), 사마르칸트(Samarqand), 부하라(Bukhara), 페르가나(Fergana)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목화
○ 국 조 : 학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중심제 (임기 5년) 단일 국가, 대통령제 공화국
○ 실 권 자 : 대통령 : 카리모프(Karimov) (1990.3.23. 취임)
○ 총 리 : 미르지요예프(Mirziyoev) (2003.11.11 임명)
○ 외교장관 : 카밀로프(Kamilov) (2012.1. 임명)
○ 정부구조
- 우즈베키스탄은 대통령 중심제(임기 5년, 2011.12. 헌법개정)의 민주공화국 형태를 지닌 국가
- 입법, 행정, 사법의 삼권이 분리되어 있고, 입법기관은 올리 마쥘리스(Oliy Majlis)로서 상원과 하원으로 구분(상원 : 100석 의원, 하원 : 150석/ 임기 각 5년, 2004년 12월 단원제를 양원제로 전환)
- 행정부는 내각과 14개의 부(Ministry), 9개의 국가위원회, 7개의 처(Agency) 및 지방정부로 구분
- 행정부인 내각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의회의 승인이 필요.
- 사법기관은 헌법법원, 일반법원 및 경제법원으로 구분
○ 행정구역
- 우즈베키스탄은 12개의 주(violyat), 1개의 자치공화국(rdspublika), 1개의 특별시(shahar)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영내에 주도를 두고 있음
- 지방 정보는 대표(하킴)와 5년마다 지역선거에서 선출되는 지방의회로 구성
○ 외 교
- 우즈베키스탄 정보의 최우선적 외교정책은 주변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는 것이며, CIS 등 역내 집단 기구에 대한 적극적 참여보다는 양자관계를 통한 관계 통한 관계 발전을 선호
- 2012.7월 외교 정책의 기본인 「대외정책에 관한 법안」을 제정하여 안보·외국인 투자 유치 및 우즈베키스탄의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정부의 기본 방향을 제시(외국 군대의 우즈벡 영토 내 주둔 불가, 역내 수자원 이용 원칙 등이 포함)
- 2007년 중반부터 미국의 對아프가니스탄 수송로 확보와 주재국의 지나친 對러 의존도 탈피라는 양국의 전략적 필요성에 따라 상호 관계 정상화를 도모하면서 주재국은 미국 및 러시아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실용적 외교노선 추구
· 2009년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벡-카자흐-중국을 연결하는 가스 파이프라인 완공(연간 약 100억㎥의 가스 수송)으로 에너지 수출 관련 對러 의존도에서 탈피
- 이슬람국가와의 관계 강화 노력, 회교 근본세력 차단, ‘근대적 세속국가’ 건설 목표
· 내륙국가로서 인도양·페르시아 만 출구 확보를 위해, 이란·아프간·파키스탄 등과의 관계 증진 추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우즈벡-투르크멘-이란-오만’ 교통회랑 구축 추진 중
- 우즈베키스탄공화국과 대한민국간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공동선언 (2006.3.29.)
□ 경제
○ 화폐단위 : 숨 (SUM) (USD 1 ≒ 2,750숨, 2015년 12월 기준)
○ 외환보유고 : 178억 달러 (2014)
○ 교역규모 : 수출 133억불, 수입 129억불 (2014)
- GDP : 626억$ (2015)
- 1인당 GDP : 2,090$ (2015)
○ 경제성장
- 우즈베키스탄은 2004년 이후 연평균 7% 이상의 성장률 달성하였으며, 특히 에너지 및 기계 산업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2008년 말 세계경제위기, 2014~2015년 러시아 등 CIS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2012~2015년 최근 4개년 GDP 및 2016년 GDP 예상치가 7%를 상회함
- 러시아 및 중국,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가스, 원유 등 에너지 부문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제조업에서도 외국인 투자유입이 예상되며, 이러한 투자 증가는 가스 및 자동차 등 수출산업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연쇄적으로 자동차 부품, 석유 및 가스개발에 연관된 자본재 수입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한편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교역국인 러시아, 카자흐스탄 경기 침체로 자동차 등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우즈베키스탄 경제도 영향을 받고 있으며, 대금결제도 미화에서 러시아 루블화로 바뀌는 등 수입이 감소하고 있어 경제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 특히 러시아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현지 경제 상황 악화에 따라 일자리를 잃고 대거 되돌아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화 송금액도 줄어들고 있음(노동자들이 우즈벡으로 송금하는 금액은 우즈벡 GDP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
(출처: 코트라「우즈베키스탄 경제전망」, 2015.12)
○ 주요산업
- 2013년 산업 생산(industrial output)은 61조 1,059억 숨(약 $291억)으로 전년대비 약 8.8% 증가하였으며, 기계류?건축자재 등이 성장세 주도
부문 | 생산액(10억숨) | 비중(%) | 전년대비(%) |
기계류 등 | 12,079.5 | 19.8 | 21.1 |
연료(fuel) | 9,629.8 | 15.8 | 1.3 |
경공업(면방 등) | 7,955.5 | 13.0 | 13.2 |
식품 | 8,059.6 | 13.2 | 9.1 |
비철금속 | 5,775.8 | 9.5 | 3.5 |
전력 | 4,575.1 | 7.5 | 0.8 |
화학/석유화학 | 3,311.7 | 5.4 | 1.9 |
건축자재 | 3,940.7 | 6.4 | 13.6 |
기타 | 5,778.2 | 9.4 | - |
○ 주요자원
- 우즈베키스탄의 경제는 풍부한 부존자원을 바탕으로 원면, 금, 에너지 등 천연자원을 이용한 1차 산업 위주로 발달
- 중앙아시아 3위 규모의 천연가스(확인매장량 1.58조㎥, 세계 확인매장량의 0.9%), 상당량의 원유(확인매장량 6억 배럴) 및 금(매장량 세계 5위) 등의 풍부한 부존자원을 보유 (2015.12. 코트라)
- 면화 생산량(세계 5위 생산국)이 풍부하여 면방직 산업이 발달한 편이며, 관광·석유화학·자동차 부품 분야가 유망 분야로 부상
□ 사회·문화
○ 언 어 : 우즈베키스탄어, 러시아어(공용어)
○ 민 족
- 다민족국가로 대부분의 민족이 우즈베키스탄인
- 우즈베키스탄 (80%), 러시아 (5.5%), 타지크인 (5%), 카자흐인 (3%), 카라칼팍인 (2.5%), 고려인 (0.9%)
○ 종 교 : 이슬람교 88% (수니파 70%), 러시아 정교 (9%), 기타 3%
○ 교 육
- 우즈베키스탄은 교육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매년 정부예산의 약 50%가 교육시스템 발전기금으로 지원되고 있음
- 우즈베키스탄 교육시스템은 유아교육, 초등 및 중등교육, 직업교육, 고등교육, 전문기술훈련, 추가심화교육의 교육과정을 포함
- 초등 및 중등교육을 의무사항으로 지정하고있으며, 의무교육과정을 3년 연장하는 개정사항이 추가되면서 정부지원하에 17-18세까지 교육받을 권리가 있음
- 우즈베키스탄에는 다음의 7가지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음
· 유치원교육과정(2~5세 미취학아동)
· 초등교육과정(6~7세, 9년 의무교육과정)
· 중등 및 직업교육과정(14~15세, 3년 의무교육과정)
· 고등교육과정(학사 및 석사과정으로 나누어지며, 학사는 최소4년, 석사는 최소2년의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고, 대학교 및 고등교육전문기관에서 교육)
· pos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
· 기술훈련 및 재훈련과정
· 교외교육과정
○ 복 지
- 주거여건 : 우즈베키스탄 내 대부분의 주택시설은 구소련시절 지어진 것으로 겉에서 보았을 때는 매우 낙후하나 내부는 비교적 깔끔한 편이며, 최근 들어 고급주택이나 현대식 고층 빌라도 지어지고 있는 추세
- 교육 여건 : 우즈베키스탄은 교육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성인 및 청소년 문자보급률이 99% 이상임
- 의료 여건 : 우즈베키스탄에는 구역마다 종합병원과 전문병원이 있어 쉽게 진료를 받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병원시설이 매우 열악하고 의약품이 부족하여 병원보다 약국을 이용하는 비중이 더 높음. 또한 우즈베키스탄 국영의료보험회사가 있으나 진료비가 비싸지 않은 관계로 대부분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음
구분 | 수치(단위) |
5세 미만 유아 사망률(1,000명 당) | 39.1(명, 2015년) |
영아사망률(1,000명 출생 영아 당) | 33.9(명, 2015년) |
기대수명 | 68(년, 2014년) |
음용수 접근률
(수질은 만족되지 않을 수 있음) | 87.3(%, 2012년) |
위생시설 보급률 | 100(%, 2014년) |
성인(남) 문자보급률 | 99.7(%,2014년) |
성인(여) 문자보급률 | 99.4(%,2014년) |
남자 중학교 등록률
(중학교 등록대상 인구대비) | 109.8(%, 2011년) |
여자 중학교 등록률
(중학교 등록대상 인구대비) | 110.8(%, 2011년) |
1인당 GNI(PPP, current international $) | 33,690(2013년 기준) |
실업률(노동가능인구 대비) | 10.6(%, 2014년 기준) |
출처: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
○ 축제 / 명절
- 봄 축제, 튤립 축제, 면화 추수감사 축제, 종교적 명절 등을 기념하며, 명절에는 “차반”이라 불리는 전통의상을 입고 노래와 춤을 향유
- 가장 큰 명절은 대개 춘분(3월 21일)을 축하하는 옛-이슬람 춘분이나 만물의 소생을 축하하는 나브루스(새로운 날들)의 봄축제로, 이 축제는 이틀간 전통 게임, 음악, 연극 페스티벌, 거리예술, 다채로운 박람회로 구성되며 이 축제를 즐기기에 가장 좋은 곳은 사마르칸트임
- 일출부터 일몰까지 단식을 하는 달인 라마단은 대부분의 우즈베키스탄에서 작은 팡파르와 함께 치뤄지며 여행자는 풍성한 먹을거리를 접할 수 있음
- 매 짝수년마다 5월에 타쉬켄트에서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필름을 상영하는 영화제가 개최되며, 사라르칸트에서는 매년 10월 23일에 어린이 평화 및 군비축소 축제(Children's Peace & Disarmament Festival)가 열리며 국제 평화와 단결을 생각하는 축제
출처 : KOTRA, 외교부, World Bank, 위키피디아
□ 일반
○ 기후는 대륙풍의 기후이다 ; 매우 건조한 지역과 사막이 국토의 60% 이상이다.
출처 : AQUASTAT
□ 기온·강수량
○ 7월에는 평지에서는 42~47도로 매우 높은 기온을 가지며 산간지역은 25~30도, 겨울에는 1월 기준 북쪽은 영하 11도, 남쪽은 2~3도이다.
○ 연 평균 강수량은 264mm로, 북서쪽은 97mm, 중앙 및 남쪽 산간지역에는 425mm로 분포되어 있다. Fergana valley는, 연 평균 강수량이 98~502mm로 다양하고 반면, Tashkent vilayat는 295~878mm로 고루 분포한다. 비는 주로 겨울 동안 발생하며 10~4월에 발생한다.
출처 : AQUASTAT
□ 자연재해
○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 지진대에 위치해 있어 전역에서 매년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동부(나망간, 페르가나, 안디잔) 지역과 사마르칸트 지역 부근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
- (1966.4.26.) 타쉬켄트에서 진도 8~9의 강진이 발생하여 거의 모든 건물이 붕괴되어 이후 구소련 전역에서 노동자들이 파견되어 도시를 재건
- (2011.7.20.) 동부페르가나 지역에서 진도 7의 지진 발생으로 13명 사망하고 86명 부상
- (2013.5.20.) 타쉬켄트 일대에 진도 5.3의 지진이 발생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Syr Darya, Amu Darya 강을 중심으로 이용가능한 수자원을 분류하고 있으며 연간 총 이용가능한 수자원은 1,891백만m3 정도임
○ 국가 전반적으로 강우량 대비 증발량이 많고 수자원 분포가 불균등하여 수자원 공급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음
< 사용가능한 수자원 분류 > | ||||
(단위: 백만㎥) | ||||
구분 | 강 | 지하수 | 강우 | 총계 |
Syr Darya | 10,490 | 9,425 | 19,915 | 1,590 |
Amu Darya | 22,080 | 10,413 | 32,493 | 301 |
총계 | 32,570 | 19,838 | 52,408 | 1,891 |
자료: State Committee for Nature Protection, 2008
○ 우즈베키스탄의 지표수 자원은 이웃하는 국가의 산에서 내려와 흘러들어오는 강물로 인해 형성된다. 게다가, 강물의 일부분이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도착한다. 호수와 지하수의 물 또한 우즈베키스탄의 내부 수자원에 기여한다. (63,986,530m3/day).
○ 소비에트 체제 붕괴 때부터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던 물 부서의 원리들에 준하여, 우즈베키스탄 내 사용되는 총 설계 상 수자원 용량은 67.0㎦ (16.07mi3)로 추정되며, 지표수 - 55.1㎦ (13.22mi3); 지하수 - 7.8㎦ (1.9mi3); 그리고 재생수 - 4.1㎦ (0.98mi3)로 구성된다.
○ 매우 건조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지속가능한 경제 개발을 방해하는 주요 요소는 수자원의 희소성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국경 내 강류의 형성 및 배분은 기후요소, 그 중에서도 대기 강수량과 면밀하게 연관이 있다. 대기 강수량으로 인한 국경 내 습도는 매우 불규칙적인데, 이는 지리학적 위치와 구조, 산비탈의 노출 그리고 다른 수많은 요소들이 원인이 된다. 가장 적은 강수량은(100mm 이하) 나라의 북서쪽 평지에서 발생한다.(the Amu Darya의 하류, Kyzyl-Kum의 서쪽, Karakalpak Ustyurt의 남쪽). 우즈벡에서 가장 건조한 이 지역에서 동쪽과 남동쪽으로 갈수록 산간지역에 가까워지는데, 가까워 질수록 점진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여, 1000mm 단계에 도달하고 높은 산간지역은 그 이상이다. 연간 가장 많은 강수량은 Chirchik의 고산지대, Akhangaran, Kashkadarya와 Surkhandarya 강 유역에서 나타난다.
○ 우즈베키스탄의 강들은 the Aral Sea 유역에 소속되어 있다. 오직 강류의 일부분만 국가 내에서 형성된다. 우즈베키스탄의 생명줄인 Syr-Darya와 Amu Darya는 국가 영역 없이 형성되었다.
○ 산간지역은 강이 풍부하다. 우즈벡에서 가장 큰 강은 Chirchik, Akhangaran, Kasansai, Naryn, Kara-Darya, Isfairamsai, Sokh, Isfara, Sangzor, Zeravshan, Kashka-Darya, Sherabad, Surkhan-Darya 등이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그것들의 중류나 하류가 우즈벡을 가로지른다. The Syr-Darya River는 우즈벡 국경 내 Fregana 계곡으로 흘러 Bakabad에서 중국까지 가는 물줄기로 돌아가기 위해 국경 밖으로 나간다. 가장 많은 물을 만드는 강 - Amu Darya는 상류가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을 흐르는데, (the Surkhan-Darya area 내에서) 그들의 올바른 지류 - Surkhan-Darya와 Sherabad로 흘러나간다. 그 후, 그들의 하류로 돌아가기 위해 국경을 밖으로 흘러가며, 투르크메니스탄 인들의 거주지인 Uchkorson으로 간다. the Amu Darya의 하류는 the Khorezm 지역과 the Republic of Karakalpakstan에서 관개용수로 사용된다.
○ 우즈벡의 강류들은 계절적으로 눈이 녹아 만들어진 물로 형성된다. 눈과 높은 산의 만년설, 빙하들이 녹거나 더 낮은 온도에서는 빗물 등이 강물의 보충을 담당한다. 강류를 형성하는 물의 특정 유형에 따라서, 강은 빙하기반(Sokh, Isfara, Isfairamsai), 눈과 빙하 기반(Zeravshan, Tupalang-Darya), 눈 기반(Pskem) 그리고 눈비 기반(Akhangaran, Kashka-Darya)으로 나뉜다.
○ 산간지역에 있는 호수는 매우 적고, 극도로 불규칙적으로 배분되어 있고 큰 크기의 호수가 없다. 대부분은 산간 호수는 2,000~3,000m의 고도에 위치해있다. 범람원과 삼각주는 지역 강들의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산간 호수는 보통 slide-rock 혹은 moraine-glacial으로 유발되며, 저수량은 약 50㎦에 가깝다.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가까스로 500개 이상의 호수가 있는 것으로 계산되며, 이마저도 1km²가 되지 않는 작은 호수를 포함한 것이고 10km²이상이 되는 호수는 32개다.
○ 습지는 큰 강의 분수량에 위치해 있는데, 보통 연속 애추의 가장자리와 relief recede에 있다. 습지는 늪과 건기 때의 호수와 비슷해서 구별하기가 어렵다. 습지의 크기는 square metres에서 몇 백 square kilometres까지 매우 다양하다. 산간지역에 많은 습지들이 있으며, 그들의 사이즈는 보통 크지 않은 편이다. 그들은 대부분은 지하수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 우즈베키스탄 국경 내 물과 수중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은 collector drainage dumps (CDD)와 하수로 이행된다. 공식적으로 이들의 총 규모는 연간 20.1km³에 달한다. Syr-Darya 유역의 평균 장기 강류량은 연간 38.8km³이며, 우즈베키스탄 내 연간 평균 장기 강류량은 5.59km³(14.4%)이다. Amu Darya 유역의 연간 장기 평균 강류량은 78km³인데, 이 중 우즈베키스탄은 4.7km³(6%)를 공유하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에서는 (2010년 기준) 55개의 물 저장 유역에서 물을 추출하며, 거의 대부분이 관개용수 목적이다. 그들의 총 설계 용량은 19.8km³로 보존 구역 - 14.8km³이다. 가장 큰 것은 Tyuyamuyun, Charvak, Tudakul, Kattakurgan이다. 우즈베키스탄의 가장 큰 물 저장 유역은 포괄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관개, 발전, 산업용수 목적으로 사용된다.
출처 : The Regional environmental centre for central Asia, supported by UNECE, 2011
□ 지하수
○ 지하수의 규모는 7.8km³ (1.9mi³)로 추정된다.
○ 우즈베키스탄 국경 내 95개의 지하수원지가 있다. 2010년 초 기준, 총 천연 자원으로
지하 담수 및 염수는 하루에 75,580,560㎥/day (874.8㎥/sec)만큼 만들어진다. 이는 최대 1gr/L
(25,822,050㎥/day - 40.4%), 1-1.5gr/L (8,411,640㎥/day - 13.1),
1.5-3gr/L (22,097,660㎥/day - 34.5%), 3-5gr/L (4,486,890㎥/day - 7%),
5gr/L (3,168,290㎥/day - 4.9%) 이상의 무기물화가 된 지하수도 포함된다. 또한 123개의
입증된 미네랄 지하수원지가 있는데, 이 중 85개는 이용가치가 높은 지하수 37,539,000
㎥/day의 보존량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 지표수
○ The Amu-Darya basin는 상당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수자원의 중요 소비는 관개, 수력, 산업, 지방 서비스, 수문이다. 강 시스템은 Amu-Darya, Surhan-Darya, Kashka-Darya, Zarafshan, Sherabad로 이루어져있다. Amu Darya의 수질의 물의 순수 지표 (WPI)는 중간정도로 오염된 III 클래스에 부합한다. 평균 무기화는 962.8mg/d㎥이다.
○ the river Surhan-Darya의 화학적인 물의 구성은 도시 산업이나 농업으로부터 나오는 폐수가 흘러들어오며 오염되는 영향이 가장 크다. 물의 무기화는 540.3㎎/d㎥에서 1148.0㎎/d㎥까지 올랐다. 영양소, 페놀, 미네랄 오일, 암모늄, 질산과 질산염 질소의 함량은 1MPC 이내로 높지 않다. 오염정도는 (WPI)는 중간정도로 오염된 III 클래스에 부합한다.
○ the river Zarafshan의 화학적인 물의 구성은 도시 산업이나 농업으로부터 나오는 폐수가 흘러들어오며 오염되는 영향이 가장 크다. 물의 무기화는 276.9㎎/d㎥에서 1330.7㎎/d㎥까지 올랐다.
○ The Syr-Darya watershed는 Syr-Darya, Naryn, Kara-Darya, Chirchik, Akhangaran강을 주로 형성되어 있다. Syr-Darya의 WPI는 중간정도로 오염된 III 클래스에 부합한다. 평균 무기화는 1,096.5㎎/d㎥이다. 무기화는 간조시기에 증가하고, 범람시기에 감소한다. 영양소, 페놀, 미네랄 오일, 암모늄, 질산과 질산염 질소의 함량은 2MPC 이내로 높지 않다. 구리의 함량이 4.4 MPC를 넘지 않는다.
○ The river Chirchik는 화학적인 물의 구성은 도시 산업이나 농업으로부터 나오는 폐수가 흘러들어오며 오염되는 영향이 가장 크다. 평균 무기염 농도는 347.4㎎/d㎥이다. 수문학 레짐에 따르면 물 염분은 141.1㎎/d㎥에서 810.2㎎/d㎥로 다르고, 물의 영양소의 양의 변화는 1.07㎎/d㎥에서 20.1㎎/d㎥로 다르다. 무기 질소 오염은 5, 6 MPC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페놀 및 미네랄 오일의 함량은 1 MPC 내에 유지한다.
○ 수질오염 현황
- 면화 생산을 위해 아랄해 주변 대규모 개관 및 관개 사업으로 토질과 수질이 황폐해졌으며 아랄해 면적감소, 연안 및 수질오염 문제 심각
· 아랄 해의 면적은 68,000㎢에서 39,000㎢까지 감소하였고, 수량의 2/3가 고갈되었으며, 염도는 약 3배 증가
□ 하수,배출수
○ 수질오염 현황
- 오염원의 분포는 개략 관개농업 78%, 공업 18%, 기타 4%정도이나 산업활동으로 인한 오염원은 고농도의 독극물 함유
- 농약을 포함한 농업용수가 강이나 저수지로 버려지는 양이 20~25㎦에 달하며 수질오염으로 인해 신장병, 종양, 급성 전염병 환자수 증가
· 농약(질소, 인, 살충제)의 무분별한 남용은 수자원과 토양오염을 야기하며
· 수질오염 정도는 생활용수 및 음용을 목적으로 취수된 물의 최대허용
· 농도보다 5~10배정도 더 오염됨
- 송유관은 지하에 매설되었으며 석유생산량의 3%인 약 100만톤 정도가 지하수로 유출되어 약 10㎢에 이르는 지하수가 오염됨
□ 음용수
○ 도시에 공급되는 식수의 1/3과 농촌의 마을로 공급되는 식수의 절반 이상이 식수사용에 대한 국가의 허용기준치 미달
○ 식수질 악화로 가장 어려움이 큰 지역은 카라칼팍스탄, 호레즘, 부하라 및 나보이 지역 등이 있음
출처 :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 수자원
<주요 강 유역에 의한 재상 가능한 지표 수자원> | ||||||||||||||||||||||||||||||||||||||||||||||||||
|
○ 우즈베키스탄은 수천 개의 작은 하천이 존재하는데 이는 관개를 이용함으로써 다 사용한다.
○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발생하는 총 강의 흐름은 9.54㎦/year로 측정되고, Amu Darya 강 유역으로부터 49%, Syr Darya 강 유역으로 부턱 51%를 차지한다.
○ 우즈베키스탄에는 94개의 주요한 대수층이 존재한다.
<수자원 사용량> | ||||||||||||||||||||||||||||||||||||||||||||||||||||||||||||||||||||||||||||||||||||||||
|
○ 4.5㎦/year나 14% 이상이 관개에 사용된다. 배수의 직접 사용은 6.84㎦로
측정되고, 4.21㎦은 Syr Darya이고 2.63㎦는 Amu Darya에서 온다.
○ 배수 물이 모아져있는 곳의 유출은 자연적인 웅덩이를 가진 인공적인 호수를 만든다. Syr Darya의 중앙에 부에 Arnasay 웅덩이의 Aydarkul은 큰 강으로서 30㎦물을 저장할 수 있다. Amu Darya의 Sarykamish와 Sudochie강은 8㎦, 2㎦를 각각 저장한다. Zeravshan강 근처에 있는 Parsankul호수는 2㎦를 저장한다.
○ 우즈베키스탄에는 총 용량이 22㎦이상인 적어도 50개 의 저장소가 존재한다. 가장 큰 저장소로는 다목적 댐이 있는데 이는 관개, 홍수 조절, 수력 생산에 이용된다. Syr Darya강 유역에 가장 큰 저장소는 Charvak, Andijan저장소이다. Charvak 저장소는 중앙 아시앙서 가장 큰 수력발전 시설 중 하나이며, 용량이 1.99㎦이고 600MW를 생산한다. Andijan저장소는 Karadarya강에 존재하고 용량은 1.9㎦이다. Amu Darya강 유역에 가장 큰 저장소인 Tuaymuyun은 저장 용량이 7.8㎦이고, 4개의 저장소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저장소가 25년 전에 건설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사용가능 한 용량의 20~25%는 이용이 불가하다.
○ 이론적으로 총 수력발전 잠재성은 88,000 GWh/year로 측정되고,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한 잠재성은 15,000 GWh/year이다. 1993년 총 설치된 용량은 1.7 GW이고, 1995년 나라 전체의 12%를 제공했다.
○ Amu-Bukhara 운하와 소비에트 시절 만들어진 다른 운하와 같은 거대한 운하 시스템은 유수량 패턴이 성공적으로 바뀌었다.
<연간 담수 유출량(2014년)>
| 비율 |
농업 | 90% |
가정 (음용수, 공공서비스, 가정 등) | 7.321% |
산업 | 2.679% |
소계 (billion cubic meters) | 56 |
출처 : AQUASTAT, Uzbekistan, (FAO)
□ 상수도현황
○ 2006년 기준으로 도시인구의 96%와 농촌인구의 85.4%가 상수도에 의해 물을 공급받고 있으나 수질기준이 국가 허용치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음
- 도시에 공급되는 식수의 1/3과 농촌의 마을로 공급되는 식수의 절반 이상이 식수사용에 대한 국가의 허용기준치 미달
출처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하수도현황
○ 하수처리비율은 50~70%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고도처리시설의 부재로 국민건강 및 농업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산업화 지역은 그 정도가 심각
- 고도처리시설의 부재로 암모니아, 질소의 농도가 높으며 산업화 지역인 타슈켄트, 페르가나, 사마르칸트, 나보이의 수질오염이 심각함
- 타슈켄트는 2,800km의 하수관거와 3개소의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량비용으로 이슬람은행으로부터 약 2,900만달러 대출 계획
- 노후화된 배수시설에서 많은 양의 누수가 발생하고 있고, 주요도시 수도는 가압장비에 문제가 있으며 가정소비의 1.8%만이 계량기로 측정 가능
출처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상하수도 법령현황(환경법)
○ 1993년 물 및 물사용 관련 법 제정 이래, 1999년 숲 및 영토 보호, 자연재해 및 긴급사항 관련 법 등이 제정
○ 2000년대 들어 폐기물, 토양, 살충제 등에 대한 법률이 제정되며 환경관련 법률의 범위가 한층 넓어짐
○ 2002년 폐기물법은 폐기물 관리를 대기, 수질, 오염 등으로 분리하여 다루었고, 해당 권한을 국가환경보호위원회에 수여하였으며, 해당 위원회는 폐기물의 발생지점 관련 지표 환경적 영향에 대해 연구해야 할 의무 가짐
□ 상하수도 정책현황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환경보호 프로그램, 2013~2017) 청정한 녹색환경, 자연자원의 효율적 관리 등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추구, 환경에 대한 인식제고, 환경오염 방지위한 시스템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 해당 환경보호프로그램은 상기의 방향 및 과제 등의 수행을 위하여 ‘주요 환경법 개정 및 규제에 관한 세부계획’을 실행하기로 하였으며 해당 세부 계획은 인증, 법령규제, 지속가능한 교육, 국민인식 등 총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음
- 국가환경보호위원회에서 2013~2017년 식수원 개발시 허가증 발급절차를 규정하는 법안 발의함
○ (자연보호위한 실행계획, 2008~2012) 지역환경보호 관련 국제협력, 자연보호 프로젝트, 국경이동 오염물질 저해, 수변 및 자연 개발에 대한 메커니즘 개발에 관한 프로그램
○ (관개 개발에 대한 국가 프로그램, 2008~2012) 먹는물 및 천연가스를 지방주민들에게 제공하는 정부 프로그램은 인구의 85%까지 물공급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며 계량기 설치, 누수율 감소, 물소비율 변화를 통해 타슈켄트를 제외한 도시들의 1인당 소비량 감소 계획
○ (국가 폐기물 관리 전략 초안 및 실행 계획, 2008~2017)
2007년, 농업현안, 물관리, 환경부문에서 상원위원회는 2008~2017년까지 원자원의 재생할 수 없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폐기물 수집 및 기반시설 취급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국가 폐기물관리 전략초안 및 실행계획 승인
□ 상하수도 요금체계
○ 환경적 유인책과 효율적 물 사용
- 정부의 “Program for the introduction of scientifically sound economic and normative mechanisms for nature protection and the use of natural resources up to 2010” (1996)의 하에서 환경오염에 대한 지불 시스템과 외부에서 협의된 규준에 기초한 법적 기준의 단계별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현재, 채택된 법안에 따라 모인 자금의 최대 80%가 주 예산으로 가고, 남은 20%는 자연보호 기금으로 간다. 천연자원의 비합리적 사용에 따른 지불 시스템은 2010년에 소개될 예정이다.
○ 사용자 지불
- 사용자 지불금은 바로 지방 서비스로 향하는데, 즉, 상수 그리고 하수 처리 시스템과 고형 폐기물 처리 서비스로 지불되는 것이다. 이 지불의 주목적은 해당 서비스의 자본 지출 뿐 아니라 운영비, 간접비용의 보상이다. 하지만, 해당 지불 양이 실제 비용보다는 낮아야한다는 사회적 의견으로 인해, 요금은 지방 당국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The Decree of the Cabinet of Ministrie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No. 54, dated 7.02.94,)은 집 소유자나 임차인들에게 주 보조금의 연 평균 감소 10%를 통해 지방 서비스를 스스로 충족하게 할 수 있도록 단계별 이행을 예상하고 있다.
- 물 사용 요금은 사용자의 유형과 water body에 따라 다르다. 가격은 비록 실제로는 운영비를 모두 보충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운영비를 보충할 수 있게 책정된다. 사회적 어려움과 경제 상황이 가격의 자유화를 지연시키고 있다. 상수도 기관의 수익성은 사람들의 낮은 금여 수준 혹은 요금 회피를 하려는 성향으로 인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 결과로 지방 당국은 가장 급한 비용(봉급과 긴급 수리 관련 비용)들을 충원하기 위해 자신들의 예산에서 보조금을 할당하였다.
- 가정과 기업은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방의 하수 처리를 위한 물 관련 조직(Vodokanal)에 그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현재, 인구의 50%만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 천연 자원 사용에 대한 지불
- 물 소비와 사용, 추출 그리고 천연자원의 추출과 사용, 토지나 숲의 사용, 사냥, 낚시와 같은 부분에 요금이 만들어져 있다.
- 지표수와 지하수 사용에 따른 요금은 the Law on Water and Water Use and Decree on Limited Water Use에서 규제하고 있다. 요금은 수원지에 따라 달라지고(지하수 그리고/혹은 지표수) 사용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무기자원 사용에 대한 세율과 물 요금은 매년 the Cabinet of Ministers’ decree on the macroeconomic indices and state budget prognosis에 따라서 설정된다.
- 농업 종사자에게 물을 공급하는 비용은 공급자가 지불하는 토지세에 물 요금을 포함하여 지불하게 한다. 이 절차는 세금 부서의 일을 간단하게 하였지만, 물 지용과 실제 기반시설 유지를 위한 비용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 수자원 사용에 대한 세금
- 1996~2000년 사이, 물 사용에 대한 세금은 모든 천연자원 세금의 5% 혹은 예산 수입에 36%로 구상되었다. 세율은 경제 부문에 따라 달라졌다. 2001년에 그들은 세금의 범위를 1m³당 11 tiyin에서 2.92 sum까지 하였다. MAWR의 데이터에 따르면, 2000년에 세금이 전체 기업과 인구가 사용한 물의 10%만 지불되었다. 이는 국민들이나 통합 토지세로 바꿔 지불한 농업 기업이나 간편화된 세금 시스템은 선택했던 무역 그리고 공공 음식 기업들에 미지불 되었다.
- WUAs (ha당 $ 0.5에서 $ 4까지)에서 회수한 물 요금은 물 전달 시스템의 운영비용과 보수유지 비용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다. 농업 종사자들에게 수행하기 위한 기반시설이 농촌 시스템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농부와 dekhkans에 의해 생산된 생산물의 가격 협약 절차, 필요한 제품, 도구, 물질 등의 공급) 이러한 맥락에서, 관개 농업에서의 효율적인 물 사용을 위한 경제적 유인책과 메카니즘은 농업의 경제 개혁 증진을 위한 필요성을 미리 결정해야한다.
- World Bank에서 이행한 Studies of the WUAs operation experience in various countries에서 WUAs의 법적 기반은 승인된 법률, WUA 헌장 발표, 자산 이행 협약 등의 색다른 방안으로 지원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WUAs는 완전한 생산과 물 사용과 농업 활동에서 개발 전망을 가지고 있는 경제 구성원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 경제의 비관개 요소에서 물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은 1차적 물 사용자에 대한 요금과 물 운영 조직의 협약된 의무화의 시스템을 통해 증진되었다
출처 : Earthforever (NGO)
□ 물관리 로드맵
○ 상하수도 보급 마스터플랜
- (시장규모) 우즈베키스탄 주요 대도시인, 사마르칸트, 부하라, 나보이, 우르겐치 등은 2030년까지 상수도 보급률 100%를 달성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을 설정
· 해당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상수도 인프라 구축 시장 형성이 기대됨
<주요 대도시 상수도설치에 의한 급수인구 증가 목표> | |||||
(단위: 명) | |||||
구분 | 2009 | 2015 | 2020 | 2025 | 2030 |
사마르칸트 | 389,354 | 396,324 | 405,328 | 410,366 | 415,444 |
부하라 | 262,124 | 269,538 | 276,910 | 281,518 | 286,132 |
나보이 | 262,124 | 269,538 | 276,910 | 281,518 | 286,132 |
우르겐치 | 134,045 | 134,838 | 134,838 | 134,838 | 134,838 |
히바 | 148,051 | 173,436 | 193,687 | 211,945 | 228,572 |
자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개도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수립사업 최종보고서(우즈베키스탄), 2010
· 우즈베키스탄 주요 도시 마스터플랜에 의하여 하수도 보급률을 90% 수준까지 증대시킬 계획
- (시장진출 기회 및 전망)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대도시들은 상수도 혜택 인구수 증대와 하수도 보급률을 최대 90% 수준(현수준 50~70%)까지 향상시키기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
· 상하수도 시스템 설계, 시공, 부품 등 관련 시장의 성장 기대
- 국가 전반적으로 상하수도 시스템의 재정비가 필요하며 주요 대도시의 상하수도 보급률 및 혜택을 받는 인구를 증대시킨다는 마스터플랜을 수립함
출처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MAWR의 The General Authority of Water Resources (GAWR)가 물 운영을 수행한다. the Ministry of Water Resources에 the Ministry of Agriculture가 합병된 후 1996년에 설립된 MAWR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하였다 (GoU, 2011b) :
1. 물 규제, 협업체, 사적 농장의 법 준수에 대한 감시, 위반자에 대한 조치와 적절한 결정을 수행한다.
2. 다른 연관 부처, 단체, 주 위원회, 지방과 정부 당국과 함께 지사와 지역의 농업과 물 운영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에 참여한다.
3. 다른 부처, 단체, 주 위원회와 다중 농업과 농업 종사자의 권한 보호를 위한 조치의 개발과 시행에 있어 조정을 이행한다.
4. 경제부와 주의 지방자치단체, 경쟁 개발 위원회와 조정위원회에 참석하거나 재무부와 함께 지역 농업 기장 상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다.
5. 농업, 수자원, 물 사용 관련 규제의 위반을 예방하거나 처리한다.
6. 자회사나 단체들의 예산 자금 사용을 감시한다.
7. 재무분석과 경제분석을 시행하고 협업체의 회계감사 위탁에 대해 방법론적 조력을 제공한다.
8. 다른 단체들과 함께 농촌의 산업 및 사회 기반시설 개발 전략을 만든다.
9. 산업, 프로젝트 기업, 조직, 단체 그리고 MAWR의 연관 자회사의 경제적 및 사회적 개발 조정에 참여한다.
(NAWR : https://www.gov.uz/en/authorities/ministries/1297)
○ 주, 지방, 구역 단계의 물 운영을 다루는 조직들은 MAWR의 하에 있다. 그들은 물 사용자가 발전된 기술들을 시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물 사용과 수질 조절에 있어서 농촌의 작은 만에 물을 전달하는 것을 담당하고 있다. MAWR의 지휘 하에 The special land reclamation service는 관개용지의 주요 개간 지표(지하수 수준, 배수지 배출, 토양 염류 집적도, 배수 수집 네트워크의 상태)를 국가, 지방, 지역적으로 분석한다. 이들은 또한 관개와 배수 네트워크의 유지보수와 침출, 수리, 배수 수집기와 네트워크 갱신의 처리를 위한 필요한 조치들을 계획한다. MAWR은 또한 농촌 조사와 확장, 농업용 개간지 개발과 관개 네트워크 내 농업 전문 운영 및 보수 유지를 담당한다.
○ The Central Asia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 of Irrigation (SANIIRI)은 수자원 개발 부문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다. undertakes research on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sector. MAWR과 연결된 이 자치기관은 모든 중앙 아시아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관개 장비를 만들기도 한다.
(https://ccafs.cgiar.org/partners/central-asian-scientific-research-institute-irrigation-0)
○ The Goskompriroda (자연 보호를 위한 주 위원회)는 수질 관리와 산업, 지방 폐수의 통제를 책임지고 있다.
□ 사업
○ 관개시설 및 수자원 관련 시설 수리 및 복원 통계
Regions | 2008-2015 동안 건설되거나 재건된 시설물 | The total cost (million) | ||||
drainage network, (km) | vertical drainage wells | Hydro technical structures, | thepumping station, (aggregate) | monitoring network, (pieces) | ||
the Republic of Karakalpakstan | 670 |
|
| 2 |
| 58477 |
Andijan | 249 | 160 | 12 | 2 | 450 | 37395 |
Bukhara | 923 | 115 | 1 | 8 | 1018 | 88256 |
Jizzakh | 1001 | 20 | 11 | 6 | 576 | 51174 |
Kashkadarya | 918 | 11 | 21 | 1 | 253 | 83388 |
Navoiy | 357 | 143 | 3 | 15 | 585 | 29667 |
Namangan | 196 | 118 |
| 16 | 20 | 26156 |
Samarkand | 373 | 14 |
|
| 386 | 21045 |
Surkhandarya | 685 | 11 | 30 | 8 | 413 | 48578 |
Syrdarya | 628 | 206 | 9 | 20 | 824 | 71419 |
Tashkent | 152 | 30 | 16 |
| 438 | 22143 |
Ferghana | 197 | 378 | 37 | 68 | 573 | 38008 |
Khorezm | 355 | 49 | 6 | 24 | 57 | 90822 |
Total | 6705 | 1255 | 146 | 170 | 5593 | 714326 |
Regions | 2008-2015 years, the completed repair and restoration work | The total cost (million) | |||
drainage network, (km) | pumping station (unit) | vertical drainage wells, | water retention structure, | ||
the Republic of Karakalpakstan | 13438 | 16 | 0 | 32 | 92030 |
Andijan | 8988 | 6 | 304 | 78 | 58073 |
Bukhara | 9737 | 0 | 638 | 14 | 55118 |
Jizzakh | 6984 | 0 | 6 | 13 | 38801 |
Kashkadarya | 5710 | 0 | 251 | 13 | 48112 |
Navoiy | 3856 | 6 | 56 | 23 | 21129 |
Namangan | 7671 | 14 | 372 | 93 | 36718 |
Samarkand | 4483 | 0 | 45 | 27 | 28849 |
Surkhandarya | 8477 | 0 | 14 | 4 | 45071 |
Syrdarya | 5644 | 99 | 1208 | 5 | 48374 |
Tashkent | 8511 | 4 | 3 | 17 | 46705 |
Ferghana | 12201 | 37 | 3854 | 19 | 79284 |
Khorezm | 10363 | 64 | 0 | 10 | 83358 |
Total | 106063 | 246 | 6751 | 348 | 694437 |
출처 : 주아프가니스탄대사관 - 우즈베키스탄 농림수산부 홈페이지
□ 연구
○ 해외 환경시장 현황보고서 우즈베키스탄,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2015.9.16.)
- 우즈베키스탄 환경시장(상수원 공급, 하수도처리 시스템, 폐기물 시스템, 대기오염규제시스템 등)의 현황을 분석하고 우즈베키스탄 환경시장 진출여건을 조사
○ Project of th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Quality in Central Asia”, Regional environmental centre for Central Asia
- 우즈베키스탄의 수질 기준 및 원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
- 우즈베키스탄 수자원 현황 및 수질 기준 관련
내용을 비롯하여, Aral Sea Basin 수자원을 공유하고 있는 세 국가의 수자원 활용 협력 문제를 다룸
□ 해외원조
○ 국제기구 및 다양한 선진국가에서 원조사업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 또한 환경영향평가 등의 사업으로 우즈베키스탄의 환경 ODA 투자 경험이 있으나, 물관련 해외원조는 없었음(주로 의교·보건사업 위주의 ODA)
- 對우즈베키스탄 유상원조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4년3월까지 7개 사업, 총 2.4억 달러 승인
- ※ 우즈벡은 EDCF 협력국 중 지원규모 9위(EDCF 총 승인액 : 96.4억 달러(2014.3 기준)
- ※ 우리나라의 우즈베키스탄 ODA 누적 지원규모는 1.2억 달러로 양자원조 지원국 중 일본, 미국, 독일에 이어 4위(2012년 OECD 통계 기준)
□ 외국인 투자
○ 우즈베키스탄 대외경제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우즈베키스탄 내 총 외국인 투자액은 전년 대비 13.5% 증가한 32억 7,700만 달러에 달함
- 이 중 외국인직접투자액(FDI)는 25억 2,640만 달러로 전년대비 11.1% 증가했으며 우즈벡 정부 보증하의 차관은 7억 5,1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2.7% 증가함.
- 전체 외국인 투자 중 외국인 직접투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77%, 우즈벡 정부 보증하의 차관은 23%로 과거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
-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2012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이루어진 투자 프로젝트는 총 189건, 32억 7,700만 달러 규모에 달함.
○ 현재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는 석유·가스 분야로 이 분야에 총 39건의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전체 투자액의 64.3%에 달하는 21억 900만 달러가 투자되었음. 이 분야에서 특히 러시아, 중국, 한국의 투자가 매우 활발함.
산업분야 | 2010년 (백만달러) | 2011년 (백만달러) | 2012년 (백만달러) | 프로젝트 수 |
외국인 투자 총액 | 3,284.64 | 2,887.00 | 3,277.5 | 189 |
광물, 에너지, 유·가스, 화학, 금속 | 2,267.57 | 1,847.68 | 2,109 | 39 |
정보 시스템 및 통신, IT, 교육 및 위생시설 | 355.85 | 86.61 | 274.7 | 11 |
건설 및 건축, 운송 | 231.29 | 259.83 | 275.4 | 12 |
금융, 경제이슈, 대외 경제 관계 | 124.54 | 230.96 | 150.9 | 23 |
농업 및 수자원, 소비재 | 157.16 | 317.57 | 183.6 | 41 |
전자기술 및 항공산업, 기계공학, 제품 표준화 | - | 107.00 | 166.0 | 33 |
기타 |
| 37.35 | 118.0 | 30 |
출처: 우즈베키스탄 대외경제부, 2013
<주요 대도시 상수도설치에 의한 급수인구 증가 목표> | |||||
(단위: 명) | |||||
구분 | 2009 | 2015 | 2020 | 2025 | 2030 |
사마르칸트 | 389,354 | 396,324 | 405,328 | 410,366 | 415,444 |
부하라 | 262,124 | 269,538 | 276,910 | 281,518 | 286,132 |
나보이 | 262,124 | 269,538 | 276,910 | 281,518 | 286,132 |
우르겐치 | 134,045 | 134,838 | 134,838 | 134,838 | 134,838 |
히바 | 148,051 | 173,436 | 193,687 | 211,945 | 228,572 |
○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부문은 화력 85%, 수력12~13%, 대체에너지 3%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유, 가스 등 다양한 부존자원이 매장되어 있음. 현재 에너지 수요가 증가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이 분야의 활발한 성장이 기대됨.
출처 : KOTRA 해외비즈니스 정보포털(2013.6.18. 기준자료)
□ 한국과의 협력
○ 1992년 1월 국교수립후 양국간관계는 우호협력기조를 유지발전 시켜옴
○ 1993년 12월 주우즈베키스탄 한국대사관이 개설되었고, 1995년 12월 서울에 주한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이 개설됨
○ 2005년 5월 노무현 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 방문, 2006년 3월 카리모프대통령의 방한, 2009년 5월 이명박대통령의 방우, 2010년 2월 카리모프대통령의 방한, 2011년 이명박대통령의 방우, 2014년 박근혜대통령 방우, 2012년 9월 및 2015년 5월 카리모프 대통령의 방한 등 총 10차례이상 정상회담이 개최된 결과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관계로서 상호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경제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 수자원 부문의 협력이 아직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으며, 수자원 관련 부문 국내 진출 기업은 없음
<연도별 우즈베키스탄 투자 현황> | |||
(단위: 천달러) | |||
년도 | 신규 법인 수 | 신고금액 | 투자금액 |
93-99 | 24 | 486,715 | 215,619 |
2000 | 3 | 29,575 | 17,770 |
2001 | 2 | 71,965 | 60,177 |
2002 | 4 | 801 | 462 |
2003 | 5 | 5,776 | 5,252 |
2004 | 3 | 983 | 563 |
2005 | 10 | 14,557 | 8,695 |
2006 | 15 | 41,274 | 22,535 |
2007 | 32 | 342,795 | 70,043 |
2008 | 28 | 118,747 | 65,152 |
2009 | 14 | 40,504 | 32,323 |
2010 | 19 | 41,918 | 40,643 |
2011 | 13 | 49,877 | 53,191 |
2012 | 13 | 37,384 | 18,782 |
2013 | 14 | 19,977 | 13,916 |
누계 | 199 | 1,302,848 | 625,123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출처 :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