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오만 왕국 (The Sultanate of Oman)
○ 위 치 : 아라비아반도 동남단에 위치하였으며, 예맨과 아랍에미리에이트, 사우디 등과 접경
○ 건국(독립)일 : 1957년 (영국과 우호통상 체결, 영국으로부터 실질적인 독립)
○ 면 적 : 309,500 km²(2015, 한반도의 약 1.4배)
○ 인 구 : 3,286,936 (2015.07 기준)
○ 기 후 : 건조 기후(5~10월 고온 건조, 남부 일부는 몬순기후)
○ 수 도 : 무스카트 (Muscat)
○ 주요도시 : Muscat(128만 명), Salalah(38만 명), Sohar(21만 명), Ibri(14만 명)
○ 국 기
○ 국가문장
○ 국 조 : 매 Falcon
□ 정치
○ 정부형태 : 군주제(Sultan 왕정)
○ 실 권 자
- 술탄(국가원수, 총리 겸임) : His Majest Sultan Qaboos bin Said al Said (카부스 국왕)
- 부총리 : H.H.Sayyid Fahd bin Mahmoud al Said
- 외교장관 : H.E.Yousuf bin Alawi bin Abdullah
○ 정부구조 : 오만은 군주제 형태의 나라로 술탄이 총리를 겸하고 있고 있으며, 헌법은 1996년 11월에 공포함
- 의회는 오만평의회(1997.12 설립)으로 Majlis al Shura(자문 평의회)와 State Council로 구성, 의회의 고유기능 및 정당이 없음
- 사법부는 수도 무스카트에 위치한 대법원(Supreme Court), 6개 도시(무스카트, 소하르, 니즈와, 살라라, 이브라, 이브리)에 설치된 고등 법원(Courts of Appeal)과 40여 개의 지방법원으로 구성
○ 행정구역
- 201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4개의 Governorate와 5개의 Region을 11개 Governoate(주)로 개편
- 각 주는 다시 61개 Wilayat(우리나라의 시 또는 군에 해당)로 나뉨
· 무스카트주(Muscat Governorate)는 수도이자 정치, 경제, 행정의 중심
· 도파르주(Dhofar Governorate)는 오만 전체 면적의 1/3을 차지, 10개의 Wilayat로 구성
· 이외에 무산담(Musandam), 부라이미(Buraimi), 남/북 알-바티나(North/South Al-Batinah), 알-다히라(Al-Dhahirah), 알-다킬리아(Al-Dakhiliya), 남/북 알-샤르끼야(North/South Al-Sharqiyah), 알-우스타(Al-Wusta) 주가 있음
|
출처 : 주 오만 한국대사관
○ 외 교
- 1970 년까지는 타이무르(Taimur) 국왕의 쇄국정책에 의하여 영국, 미국, 인도 이외 국가와는 국교가 없어 국제 사회로부터 완전히 고립되었으나, 카부스(Qaboos) 현 국왕의 즉위 후 개방정책을 취하여 1971 년 유엔에 가입하고 아랍 제국 및 세계 각국과 수교
- GCC(걸프협력이사회) 국가, 예멘과의 관계강화 및 서방(특히 영국 및 미국)과의 안보 협력을 외교 정책의 양대 축으로 함
- 인근 이란, 인도, 파키스탄 등과 전통적 유대관계 유지하고 있고, 유럽 및 동북아국가와의 교류 확대하고 있음
- 아랍권내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등 온건 성향 국가들과 유대강화를 통한 아랍권내 영향력 확대를 도모해 옴
- 총 147개 국가와 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105개 국제기구 및 지역 기구에 가입해 있음(2013.10.29. 기준, 외교부)
□ 경제
○ 화폐단위 : 리알(RO: Rial Omani), 바이자(Bz: Baisa), RO 1-Bz 1,000 (USD 1-RO 0.3845, 고정환율)
○ 외환보유고 : RO 7088.4 million (2015.6. TradingEconomics자료)
○ 교역규모 : 수출 381억 USD, 수입 216억 USD
(2014, current USD, WDI자료)
○ GDP : 702.5억 USD (2015, current USD, WDI자료)
○ 1인당 GDP : 15,645 USD (2015, current USD, WDI자료)
○ 경제성장
- 2010년부터 5% 내외의 경제성장을 한 오만은 2011년 아랍민주화사태 여파로 경제성장률이 -1.1%를 기록하였으며, 2012년에는 기저효과로 7.1%의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함
- 2014년 하반기부터 유가하락의 영향으로 다소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으나, 2016년부터 유가하락세가 안정되면 점차 상승세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됨(코트라, 2015.12)
|
자료원: World Bank, WDI data, 2016
- 2016-2020년은 오만의 제9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간으로 Vision 2020의 마지막 기간이며, 오만 정부는 5년 동안 연간 3%의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주요산업
- GDP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은 석유가스 (47%), 제조업(11%), 도소매업(7%) 순임(2014년 기준)
- 석유가스 산업은 수축의 70%, 재정 수입의 86%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산업
○ 주요자원 : 원유, 천연가스, 구리, 대리석
□ 사회·문화
○ 언 어 : 공용어는 아랍어이며, 영어가 비교적 광범위하게 통용되나,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는 경찰들과도 영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있음 (기타 스와힐리어, 우르두어, 힌디어 등도 일부 사용)
○ 민 족 : Arab, Baluchi, South Asian (Indian, Pakistani, Sri Lankan, Bangladeshi), African
○ 종 교
- Islam (official, majority Ibadhi, lesser Sunni&Shia) 85.9%, Christian 6.5%, Hindu 5.5%, Buddhist 0.8%, Jewish <0.1%, Unaffiliated 0.2% (2010)
- 이슬람국가로서, 이바디파가 주요 종파를 이루고 있으며 (85.9%), 주요국가시책도 이슬람 정신에 근거하여 이루어짐
- 이슬람 율법(Sharia)체계가 국내법의 근간을 이루며, 국경일 등 공공제도 또한 이슬람 체제를 다르고 있음
- 단, 오만에는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이 매우 미미한 편이며, 친서방 온건노선의 정치성향에서도 드러나듯이 국내체재 외국인에 대해서 종교적으로 비교적 관대한 편임
○ 교 육
- Education expenditure 5% of GDP (2013)
- Literacy rate (age>15 and can read and write) - total population 91.1%, male 93.6%, female 85.6% (2015)
○ 복 지
- 2016년 정부지출은 134억 RO로 교육, 보건, 사회복지에 40억 리알이 배정됨 (예년 수준 유지)
- (문화) 아랍/이슬람 전통이 주요소로서, 정치적으로 서방제국과 긴밀한 우호관계를 맺고 있기는 하나, 반이슬람적 문화요소에 대한 검열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전통문화적인 요소를 강조함
- (사회) 이슬람군주 중심의 절대 왕정이 유지되는 전통적인 사회
- (사회) 부족중심, 대가족 중심사회이며, 남자의 절대적인 가부장적 권위가 유지되는 보수적인 사회임
- (사회) 오만의 지배층은 왕족, 주요 부족장, 부유상인 및 테크노크랏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걸프만 인접국가들과는 달리 왕족의 전횡이나 사치는 엄격히 금하고 있음
- (의료) GCC 수준에 못 미치는 의료 환경으로 수술이 필요한 환자는 대부분 독일, UAE, 태국, 말레이시아 등 해외 치료를 선호
- 오만 정부는 무스카트 메디컬 시티 프로젝트(1,500개 병상 규모) 등 다양한 의료시설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있음
구분 | 수치(기준년도) |
5세 미만 유아 사망률(1,000명 당) | 11.6명(2015) |
영아사망률(1,000명 당) | 9.9명(2015) |
기대수명 | 77(2014) |
성인 문자보급률 | 92%(2014) |
음용수 접근률 (수질은 만족되지 않을 수 있음) | 93.4%(2015) |
위생시설 보급률 | 96.7%(2015) |
(15-24세)청소년(남) 문자보급률 | 99.1%(2014) |
(15-24세)청소년(여) 문자보급률 | 99.1%(2014) |
남자 아동 중학교 등록률 | 86.9%(2012) |
여자 아동 중학교 등록률 | 90.3%(2012) |
GNI(current USD) | 65,655 백만 (2013) |
출처: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
○ 축제 / 명절 : 이슬람국가로서 이슬람 명절 및 축제를 즐김
- 무함마드 승천기념일: 이슬람력 7월 27일,
- 단식종료절(이둘 삐뜨르, Eid al-Fitr) 라마단(이슬람력 9월) 마지막 날 단식이 끝난 후 3일 동안, 집단예배를 드리고, 새옷을 입고 친척 및 친구 방문
- 르네상스데이
- 희생제(이둘 아드하, Eid al Adha) 이슬람력 12월 10일부터 4일간, 아브라함이 장자 이스마일을 대신해 양을 바친 것을 기념함. 가족, 친지, 친구를 방문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을 배품
- 국왕탄신일
- 이슬람 신년(무하람) : 이슬람력 1월1일, 1일 동안 기도와 예배를 드림
- 무함마드 탄신일
출처 : KOTRA, 외교부, The World Bank
□ 일반
○ 지역에 따라 다양한 기후 특성을 보임.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오만만 인접 해안지역은 여름에 습기가 많고 매우 더운 반면 내륙지역은 전형적인 사막성 기후로서 연중 고온 건조함
○ 국토 최남단 도파르 지역은 다소 기후가 온화하여 일부 열대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며 7~8월 몬순기간 중에는 안개비가 내림
출처 : Kotra 국가정보
□ 기온·강수량
○ 대체로 사막성 기후로 5~7월에 가장 기온이 높고 1~2월이 가장 낮음. 수도 무스카트는 세계에서 가장 더운 지역에 위치한 수도 중 하나로 평균기온은 38℃도로 때때로 45~50℃까지 기온이 상승하고, 기온이 낮은 1월에는 11℃까지 떨어짐
○ 강우량은 해에 따라 연평균치가 40~250㎜로 큰 편차를 보이며, 우기가 별도로 없으므로 예단하기 어려우나, 연중 강우일은 극히 적으며 비가 오는 경우 단시간 동안의 폭우를 동반하는 경향이 있음
- 무스카트 지역 연평균 강우량은 약 32mm이며 과거에는 103mm를 기록한 적도 있음 남쪽의 살랄라 지역은 온대 몬순기후로 7~8월이면 많은 비가 내리고 초목이 자라며, 비, 안개 등 통상 사막 기후와는 다른 독특한 기후를 이루어 동 기간 중 관광지로 유명함
- 예멘과 접경한 도파르 지방은 연평균 100㎜ 안팎의 비교적 고른 강우량을 보임
□ 자연재해
○ 2007년 6월 인도양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으로 무스카트 지역에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 배수 시설이 없는 탓에 비가 오면 도로가 갑자기 침수되어 통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생기고, 순간적 강풍이 발생하여 가로수 등이 쓰러지는 상황이발생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2014)
□ 지하수
○ (2014)
□ 기타
○ 오만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나라 중 하나로 MRMWR에 따르면 오만의 부족한 수자원은 약 378백만㎥임.
○ 담수화(Desalination)
- 오만 정부는 주요 수자원으로 해수담수화를 이용하는 정책으로 이행하고 있음. 해수담수화 용량은 974,756㎥/일이며, 플랜트는 해안가와 내륙에 위치함. 막여과(RO) 해수담수화 기술을 주로 활용
- 기수담수화
- 오만은 해수담수화 및 기수담수화의 주요 시장으로서의 역할을 지속
○ 재이용수(Water reuse)
- 재이용수로 보통 지방 도시의 녹지에 물을 주는 것으로 활용되며, 연간 약 12백만㎥가 활용되고 있음
- 정부 소유의 Haya Water는 Muscat Water Reuse Project의 일환으로 재이용수 용량을 늘리고 있음
- 재이용수는 해수의 침투를 막는데도 활용됨
○ 지하수 보호 (Groundwater protection)
- MRMWR에 따르면 총 물 공급의 78%를 지하수가 담당
□ 지표수
수질기준
분배 시스템에 유입되는 처리 수
◇ 100ml의 검사 된 샘플에서 대장균 박테리아와 대장균 박테리아가 없어야한다.
물 분배 시스템에서 처리 된 물
◇ 100ml의 검사 시료에서 대장균 박테리아가 없어야한다. 충분한 시료가 검사 될 때 대량 공급의 경우, 검사된 시료의 100ml 중 대장균 형태가 없어야하며, 일 년 내내 검사 된 시료의 95%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유조선에 의해 분배되는 물 (파이프 없는 물 공급)
◇ 100ml의 검사 시료에서 대장균 박테리아가 없어야한다. 대장균 군은 시험 시료 100ml 당 3개의 콜로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2회 연속해서는 안 된다..
◇ 식품 공장에서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은 시료도 검사해야 한다.
- 살모넬라 검출
- 포도상 구균 검출
- 박테리오파지 검출
- 엔테로 바이러스의 검출
- 비브리오콜레라의 검출
방사성 특성
◇ 표본의 총 방사능이 10Bq/L를 초과하면 기준에 따라 각 방사성 핵종이 특정 방사성 핵종에 대한 검사와 그 활동을 수행 할 수 있다.
샘플링
◇ 시료 채취는 오만 표준 규격 189 "식수 시험 방법 - 제 1 부 : 시료 채취"에 따라 수행되어야한다.
시험 방법
◇ 식수는 다음의 오만 기준에 따라 시험되어야 한다.
□ 하수, 배출수
미처리 된 지하수
◇ 100ml의 검사 시료에서 대장균 박테리아가 없어야한다. 형질체는 반복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검사된 시료의 10 콜로니 / 100ml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 음용수
수질기준
Characteristics aesthetic quality
◇ 음용수는 색, 냄새, 맛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것도 포함되어선 안 된다. 이는 완벽하게 어떠한 물질이나 이물질이 없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 물질의 심미적 특질은 다음 표 No.1을 따른다.
물질 또는 특성 | 질 단계 | 최대 단계 | 요소 |
가) 감각 매개변수 | |||
색깔 | 없음 | <15 | Truecolourunit |
혼탁도 | 1 | <5 | Nephelometric turbidity unit |
맛과 향 | not offensive ac | 수용 가능한 |
|
온도 | not offensive ac | 수용 가능한 |
|
나) 무기성분 | |||
암모니아 | - | 1.5 |
|
염화물 | ≤250 | 600 |
|
나트륨 | ≤200 | 400 |
|
황산염 | ≤250 | 400 | mg/L |
전경도 | ≤200 | 500 | mg/L |
전용해 물질 | 120-600 | 1000 | mg/L |
질산염 (No3) |
| 50 |
|
질산염 (No2) |
| 3 단기 노출 |
|
0.2 장기 노출 | |||
황화수소 | ≤0.05 | 0.1 | mg/L |
pH | 천연 수분 6.5-8 담수화 용 6.5-8.5 | 9 |
|
플루오르화물 | 탈 염수에 대한 품질 수준 0.6-0.8 |
| mg/L |
마그네슘 |
| 아황산염 30≥250 | mg/L |
아황산염 150<250 | mg/L |
◇ 건강 의미의 화학 성분은 표 No.2, 3, 4를 따른다.
총 잔류 염소
◇ 음용수에서 총 잔류 염소집중은 안에 있는 모든 미생물을 죽이기에 충분하고, 염소집중은 0.2mg/L ~ 0.5mg/L사이의 범위를 제공한다.
◇ 염소의 집중은 5.0mg/L를 초과하지 않는 한 전염병의 경우 증가한다.
◇ 물 오존, 자외선 또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 될 때, 이 처리는 모든 미생물을 죽이기에 충분하며, 처리 된 물은 항목에 언급 된 수 처리의 미생물학적 특성에 적합하여야한다.
생물학적 특성
◇ 음용수는 해조류, 곰팡이, 기생충, 벌레, 유충으로부터 완벽하게 안전해야한다.
균학적 특성
◇ 병물이 아닌 음용수는 공중보건에 있어서 위험을 끼치는 병원체의 바이러스로부터 완벽하게 안전해야한다.
□ 물시장 현황
○ 물 공급 확장 :
- 음용수의 저장과 물에 대한 수요 충족은 2035년까지 90% 보급을 목표로 하는 the Omani Water Resources Master Plan의 주요 목표들 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PAEW는 매년 새로운 기반시설을 위해 OMR 150백만 (USD 390백만)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 비통상적 수자원 :
- 오만의 술탄은 지하수 수질의 저하로 인해 주요 수자원은 지하수에서 해수담수화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하수 처리 확장 및 업그레이드 :
- 오만은 standalone 시스템과 정화조 및 tanker services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래서, 하수 네트워크의 회수와 처리 확장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2020년 말까지 하수 네트워크 내 적절한 연결점을 80%까지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6~2020년까지의 기간에 진행되는 The ninth Five-Year Plan에서 하수 프로젝트 부문에 대략 OMR 1.1십억 (USD 2.8십억)이 할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 물 재사용 기반시설
- Haya Water(Dhohar 지역을 제외한 오만 내 전체 지역에서 하수 시설로써 이용되는)는 물 재사용 처리 능력을 확장하고 있다. The Al Ansab 확장은 플랜트의 수용능력을 86,000m³/d만큼, 장기적으로는 110,000m³/d만큼 늘려줄 것이다.
○ 민관 협력 :
- 오만은 2004년부터 물 산업의 탈 규제와 민영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오만은 independent water and power projects (IWPP)를 통해 민간의 참여를 유지하고 있으며 independent water projects (IWP)와 같은 프로젝트들의 입찰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 오만의 물 생산 능력을 늘리기 위해 파이프 라인 부문 관련 8개의 IWPP/IWP 프로젝트들이 있다.
□ 수자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