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예멘공화국 (Republic of Yemen)
○ 위 치 :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위치, 북부 사우디, 동부 오만, 남부 아덴만, 서부 홍해에 연함
○ 건국(독립)일 : 1990.5.22. (남북예멘 통일기념일)
○ 면 적 : 약 527,968 평방㎞ (한반도의 약 2.4배)
- 해안선 : 1,906㎞,
- 남북거리 : 565㎞, 동서거리 : 1,100㎞
○ 인 구
| 2005 | 2006 | 2013 | 2014 |
Population (in millions) | 20.5 | 21.1 | 25.5 | 26.2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기 후 : 북부 및 중앙고원 지역은 한냉서온, Tihama 및 남부해안지역은 고온다습, 동부고원 및 사막은 고온건조 사막기후
○ 수 도 : Sana‘a (해발고도 2,300m 위치)
○ 주요도시 : Sana'a, Aden, Taiz, Hodeidah, Ibb, Mukalla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커피나무(Coffea arabica)
○ 국 조 : 밀화부리(Golden-winged Grosbeak)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중심제(7년, 직선), 3권 분리
○ 실 권 자
- 2015.1월 후티 반군의 대통령궁 점령 후 Abdo Rabbo Mansour Hadi 대통령 사임 및 Khaled Bahah 총리 등 내각 총사퇴(1.22)로 헌법공백 상태
- 시아파 후티 반군이 Saleh 전 대통령 세력과 제휴하여 실권 장악
○ 정부구조 : 32개 행정부처
○ 행정구역 : 22개 지방 행정구역
○ 외 교
- 수교일자 : 1985.8.22(북예멘), 1990.5.17(남예멘)
□ 경제
○ 화폐단위 : Yemeni Rial
○ 환율 : 1 US$ = 314.89(YR) (2015. 8월 현재)
○ 외환보유고 : 46억불(2014.12월)
○ 교역규모
- 수출 89억불
- 입 105억불 *EIU 기준(‘14)
○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at market prices(백만US$) | 16,754 | 19,082 | 35,955 |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1인당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NI per capita, PPP($) | 3,390 | 3,630 | 3,650 |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경제성장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growth (annual %) | 5.6 | 3.2 | 4.2 | -0.2%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주요산업 : 농업 7.9%, 산업 40.6%, 서비스 51.5%
○ 주요자원
- 석유, 가스, 플루토늄, 암염, 석탄, 금, 니켈, 우라늄, 진주 등
· 암염은 매장량 2,500만톤, 고순도, 노천광으로 수익성 높음.
· 석유: 확인 매장량 30억배럴(세계30위), 일산 15.7만배럴(‘14년)
* 예멘 석유부, 미확인 매장량을 포함할 경우 119억배럴로 추정
· LNG: 매장량 16.9조 입방피트(세계30위), 연 670만톤 생산능력(09.11생산개시)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 (정부관료 및 비즈니스계층은 영어 구사 가능)
○ 민 족 : 아랍족 (소수는 이디오피아계 및 유태계)
○ 종 교 : 이슬람 (남부 순니파 65%, 북부 시아파 35%)
○ 교 육
- 9년(중등학교) 의무교육을 실시
· 그러나 실제로 초등교육을 마친 인구는 63%에 불과하며, 3학년 중 25%가 문맹으로 알려져 있음
○ 복 지
- 사회복지기금: 저소득자 650,000명을 대상으로 매달 11 달러 제공
· 2005년 초반, 예멘 의회는 최저 생활 보조 제도를 채택함
○ 축제 / 명절
- 이드 알피트르 : 7월 7~9일
- 이드 알 아드하 : 9월 13일
- 무하람(이슬람 신년 축제) : 10월 3일
- 동지 : 12월 21일
* 수집자료에 따라 변경가능
출처 : KOTRA, 외교부, The World Bank
□ 일반
○ 예멘은 반건조·건조 기후로, 우기는 주로 봄과 여름에 발생한다.
○ 예멘의 강우량은 홍해 수렴대(Red Sea Convergence Zone)와 몬순 열대 수렴대(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의 영향을 받음
- 홍해 수렴대는 3~5월에 활발하며, 국가 서부의 높은 고도에서 발견됨
- 열대 수렴대는 7~9월 사이에 예멘에 도달하여, 북부에서 남부로 다시 이동하여 오래 머문다.
- 폭풍우는 겨울(12~1월) 동안 지중해의 영향으로 발생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기온·강수량
○ 평균 강수량은 67~93 ㎦이며, 주로 서부, 남서부 고지대와 고원에 더 많이 내림
○ 예멘은 14개의 농업기후대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5개 지역으로 분류
- 해안 평원: 서부와 남서부에 위치하며, 최고 고도는 수백미터 정도로 평평한 지역이다. 온도는 27~ 42 °C 사이로, 강우량은 연간 200 mm 이하로 몹시 적다.
- 예멘 산괴: 산괴는 불규칙한 지형의 높은 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도는 수백 미터에서 3,760m에 이른다. 기후는 낮은 높이에서는 더우며, 높은 높이에서는 춥다. 서부 및 남부 경사가 가장 가파르며, 연 평균 300-500mm의 높은 강우량을 보임(일부 지역, 1,000mm).
- 동부 고원: 국가 동부 지역의 반을 차지하며, 기후는 일반적으로 덥고 건조하며, 일부 높은 곳을 제외하고 연간 평균 강우량은 100mm 이하이다.
- 사막 : 예멘 산괴와 동부 고원 사이에 모래 사막 Sabatayn. 비는 거의 내리지 않는다. Rub Al Khali 사막은 북부에 있으며 대략 500,000㎢ 이다.
- 섬 : 가장 중요한 섬은 Socotra로, 다른 지역에 비해 다양한 동식물이 발견됨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자연재해
○ 고원, 해안 평원, 사막이 섞인 지형으로 지진, 홍수 및 바위 붕괴 등 많은 천재지변의 위험에 노출됨
- 2005년 지진이 발생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겪음
출처 : Preventionweb, 2014
□ 지표수
○ 예멘은 총 4개 유역으로 분류:
- 홍해 유역(Red Sea Basin)
- 아덴만 유역(Gulf of Aden Basin)
- 아라비아 해 유역(Arabian Sea Basin)
- 룹알할리 유역(Rub Al Khali Interior Basin)
○ 지표수 자원은 연간 약 2 ㎦로 추정되나, 주요 하천의 유출과 일치하며 더 작은 유역에서의 유출은 포함하지 않는다.
- 재생가능한 지하수 자원은 연간 약 1.5 ㎦로 추정되며, 그 중 약 1.4 ㎦는 하상의 침투로 얻어진다. 전체 재생가능한 수자원은 연간 2.1 ㎦이다.
< 예멘의 수자원 현황 > | |||
구분 | 년도 | 값 | 단위 |
장기평균 연 강수량 |
|
|
|
강우깊이 |
| 167 | mm/년 |
강우량 |
| 88.17 | ㎦/년 |
장기평균 연 RWR |
|
|
|
내부적 (IRWR) |
| 2.1 | ㎦/년 |
외부적 (ERWR) |
| 0 | ㎦/년 |
총 실제 (TRWR) |
| 2.1 | ㎦/년 |
인당 TRWR | 2014 | 78.26 | ㎥/년 |
총 댐 용량 | 2006 | 0.4625 | ㎦/년 |
< 부문별 취수 현황 > | |||
분야 | % | 취수량 (㎦/yr) | 년도 |
농업 | 90.7 | 3.24 | 2007 |
산업 | 1.8 | 0.07 | 2007 |
도시 | 7.4 | 0.27 | 2007 |
소계 | 100.0 | 3.57 | ? |
Source: AQUASTAT,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2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지하수
○ 지하수량은 약 10 ㎦이며, 1 ㎦ 는 Al-Masila 유역, 2.5 ㎦는 Tihama 유역, 나머지는 다른 지역에서 분포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지표수
○ 처리 방법과 관측소의 운영 상황을 고려했을 때, 수질이 가장 좋은 지역은 Hajah, 가장 나쁜 지역은 Taiz이다.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하수, 배출수
○ Sana’a, Taiz, Ibb, Hajaa, Aden, Amran, Al Hodaida, Dammar, Yarem, Radaa에 10개의 배수처리 시설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시설은 연못 안정화, 더운 여름에 저 비용으로 제공한다. 병원이나 시설에서 사용 된 오수는 하수 처리장에 버려지는데 지방의 배수처리 시설에서는 충분히 처리되지 않는다. 예멘에서 가장 큰 배수처리 시설은 Sana's에 존재하는데 2000년에 만들어졌다.
출처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음용수
○ 예멘의 물은 대부분 안전하지 않다. 대부분 지역의 물은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여과나, 정화장치 없이 물을 마실 수 없다.
출처 : Is the water safe to drink
□ 수자원
○ 예멘의 댐 건설은 고대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 Ma’areb 댐에서 시작됨. 혁명 이후, 정부는 아랍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Ma’areb 댐 재건설을 시행함
- 새로 건설된 Ma’areb 댐 용량은 400백만 ㎥이며, 나머지 댐은 총 62.5백만 ㎥로, 총 댐 용량은 462.5백만㎥이다.
○ 댐 : 347 저장 댐은 고지대에 건설되어, 관개용 및 가정용으로 빗물을 저장함. 댐은 대규모 댐(500,000㎥ 이상 용량), 중간 규모 댐(200,000~500,000㎥ 용량)과 소규모 댐(200,000㎥ 이하 용량)으로 분류됨
○ 취수용 구조물 : 총 33개가 취수를 위해 wadi에 건설됨
○ 소규모 수경 재배 구조물 : 물탱크, 구덩이, 저수지로, 저장 용량은 500~50,000㎥에 이른다.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상수도현황
<물 공급 지표>
물 공급 지표 | 값 | 년도 | 출처 |
급수구역 인구수 | 4,970,344 | 2010 | GWI estimate |
급수구역 인구% | 17.8 | 2010 | GWI estimate |
관망 연결수 | 901,280 | 2010 | The Offices of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Central Statistical Organisation Yemen |
지방 급수 용량(m³/yr) | 206,794,769 | 2010 | GWI estimate |
무수율(%) | 45.0 | 2009 | Yemen 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Reform |
□ 하수도현황
<폐수 지표>
| |||
하수지표 | Value | Year | Source |
하수도 인구수 | 1,904,287 | 1998 | Household Budget Survey 1998, Central Statistical Organisation Yemen, 1998 |
하수도 인구% | 12.2 | 1998 | |
하수도 연결수 | 552,180 | 2010 | The Offices of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Central Statistical Organisation Yemen |
하수량(m³/yr) | 74,000,000 | 2000 | AQUASTAT,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2 |
하수처리장 수 | 12 | 2003 |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 General Review |
하수처리장 설계용량(m³/d) | 202,300 | 2003 | |
하수처리장 운영용량(m³/d) | 91,650 | 2003 |
처리방식 | 설계용량(㎥/d) |
안정화지법 | 140,300 |
활성슬러지법 | 57,000 |
살수여상법 | 5,000 |
□ 상하수도 법령현황
○ 수자원과 환경을 규정하는 물·환경 관련 법
- 환경보호법(1995)
- 물법(2002년 8월 비준)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상하수도 정책현황
○ 물, 관개 분야 평가 후 개발된 정책 및 전략
- 도시 상수도·위생 분야 개혁 정책(1997)
- 수자원 정책 및 전략(1999-2000)
- 관개 물 정책(2001)
- 유역 정책(2000)
- 농업 분야 개혁 정책(2000)
- 폐수 재사용 전략(계획 중)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도시
- 원가회수(Cost recovery): 예멘의 도시 상수도·위생 서비스와 관련, 최소 운영 및 유지비용을 수도요금과 정부 및 국제사회 후원금을 통해 충당하는 것. 그러나 Sana를 포함한 일부 도시 시설은 융자금이 있는 상태로, 완전한 원가회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설은 극소수에 불과
※수금율: 60%(‘99)→97%(‘07)→60%(‘11)
- 요금구조(Tariff structure): 도시의 수도요금은 세 분류로 나누어지며, 상업 및 공공기관에 비해, 가정용 수도요금이 가장 적다. 모든 시설은 물을 많이 쓰면 더 내야하는 구간 요금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가장 낮은 구간은 월 5-10㎥이다.
- 요금조정(Tariff adjustments): 예멘 정부는 1995, 1998, 1999, 2001년에 각각 요금 인상에 대한 의지를 표출, 이에 따라 지역 기업들이 요금을 인상. 1995-2001 사이에 월 15m³ 이상 사용하는 가정에 대해서는 350% 인상되었으며, 산업용 수도요금은 m³당 150% 인상.
- 적정성(Affordability): 2007년, 11개 시설의 월 5m³ 당 상수도 요금은 빈곤층 수입의 0.5%~1.1%, 하수도 요금은 0~0.7%로, 상하수도 요금은 적정수준. Sana가 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전체 가계 월 평균 상하수도 요금은 수입의 1.1%정도이다.
○ 농촌 지역
- 2000년에 농촌 상하수도 시스템의 대부분이 원가회수 형태(수도 미터기 사용이나 고정 요금)
출처 : Ministry of Water and Environment/GTZ:Yemen
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Reform, by Barbara Gerhager,
Anwer Sahooly and Safwan Salam, January 2009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물관련 조직현황
○ 물·환경부(The Ministry of Water and Environment): 2003년 5월 설립, 수자원 계획 및 모니터링, 관련 법률 제정 및 교육을 실시. 물환경부에는 여러 산하기관이 있음:
- 국가수자원국(National Water Resources Authority)
- 환경보호국(Environment Protection Authority)
- 일반농촌물국(General Rural Water Authority)
- 도시상수도·위생공사(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Corporation)
- 농촌상수도·위생공사(Rural Water Supply and Sanitation Corporation)
○ 공공사업·도시계획부(The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Urban Planning): 정수 관측소 관측 및 모니터링
○ 지방행정부(The Ministry of Local Administration): 농촌지역의 상수도·위생 관리
출처 : Irrigation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08
□ 해외원조
<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 |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666.52 | 476.24 | 709.22 | 1039.46 | 1164.22 | 4,055.66 |
출처 : OECD DAC
□ 한국과의 협력
<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 |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0.45 | 1.16 | 1.65 | 3.76 | 0.43 | 7.45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