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공화국(Isa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 위 치 : 중앙아시아와 중동, 남아시아 사이에 위치한 내륙국
○ 건국(독립)일 : 1919년 8월 19일 (영국의 외교통제로부터 독립)
○ 면 적 : 652,000 km²(한반도의 3배) (2015)
○ 인 구 : 31,627,506 (2016.3.1기준)
○ 기 후 : 대륙성 기후
○ 수 도 : 카불(Kabul)
○ 주요도시 : 칸다하르, 헤랏, 마자르샤리프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빨간 튤립
○ 국 조 : 흰꼬리수리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중심제 (임기 5년) 단일 국가, 대통령제 이슬람 공화국
○ 실 권 자
- 대통령 : Ashraf Ghani (2014.9.29 취임)
- 최고행정관 : Abdullah Abdullah (2014.9.29 임명)
- 외무장관 : Salahuddin Rabbani (2015.2.8 임명)
○ 정부구조
- 아프가니스탄은 공화제·대통령제를 채용하는 입헌 국가로, 현행 헌법은 2004년 1월 16일에 공포
- 행정부인 내각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의회의 승인이 필요.
- 입법부는 이원제의 국민의회로, 헌법에 의해 국가의 최고 입법 기관이라고 규정되고 있음
- 국민 의회는 하원에 상당하는 인민 의회와 상원에 상당하는 장로 의회(메슈라노·지르가)로 구성되며, 인민 의회는 249 의석 이하로 규정, 의원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
- 국민의회와는 별도로, 국가주권, 안전 보장, 헌법개정, 반란의 진압, 자연재해에의 대처 등, 국가의 최대중요 사항에 관해서는, 전통적인 국가 의사 결정 기관인 국민대회의(로야·지르가)가 최고 기관으로서 기능
○ 행정구역
- 아프가니스탄은 행정구역상 34개의 주(벨리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영내에 주도를 두고 있음. 각 주는 여러 군으로 구성되는데, 각 군은 보통 한 도시나 여러 마을로 되어 있음
○ 외 교
- 2001년 미국 주도의 동맹군에 의한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후 본 협정(Bonn Agreement)에 따라 수립된 하미드 카르자이(Hamid Karzai) 정권 이후 국제 무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경제, 기간시설, 국방력 재건을 위해 미국,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등을 비롯해 아프가니스탄 사회주의 혁명 이전의 우방국 및 인도, 파키스탄 등의 주변국들과도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아프가니 (AFN)
○ 외환보유고 : 5,983(백만 미국 달러) (2013.12)
○ 교역규모 : 수출 3.8억불, 수입 64억불 (2012)
○ GDP : 200억$ (2014)
○ 1인당 GDP : 614$ (2012)
○ 경제성장
- 2003∼2012년간 아프간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약 9%대
- 2012년 World Bank에 의하면 2012년 이후 아프간 경제가 연 8%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2014년 국제안보군 철수를 전후한 시점에서 아프간 경제는 저성장 국면에 진입함.
- 아프간 경제 성장률은 2014년을 전후하여 2013년 3.7%, 2014년 1.3%, 2015년 1.5%(‘16.1월 IMF 추산)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금년에는 가뭄으로 인한 영향으로 아프간 GDP의 1/4을 차지하는 농업에 타격이 클 전망
- 아프간 경제의 저성장 배경에는 지속되고 있는 치안 악화로 인해 해외·국내 기업의 아프간 내 투자(특히, 아프간 내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 등)가 여의치 않고 있고, 지난 십여년간 아프간 경제의 한 부분을 뒷받침해왔던 외국 군대 및 국제 NGO 대상의 사업들이 2014년말 국제안보군 철수 이후 급격히 소멸된 것이 악영향 초래
- 2015년에는‘아프가니스탄엑소더스(exodus)’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의 해외 이주가 급증하였으며, 유럽행 난민 중 아프간 난민수가 시리아 난민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임.
○ 주요산업 : 서비스업54%, 제조업26%, 농업 20% (2013)
○ 주요자원
-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자원은 금, 크롬, 납, 구리, 아연, 보석 및 준보석류, 리튬(Lithium), 활석(talc), 황(sulfur) 등이 있다. 석유와 천연가스는 아프가니스탄의 에너지 자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 2010년, 아프가니스탄의 채광 사업은 소규모의 지역적 개발에 따른 근소한 성장을 기록했다.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채광 산업의 발전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노력을 쏟고 있다.
□ 사회·문화
○ 언 어 :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투르크멘어, 우즈베크어
○ 민 족
- 다민족국가로 대부분의 민족이 파슈툰족
- 타지크족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이고, 투르크멘인, 우즈베크인, 하자라족도 거주하고 있다.
○ 종 교 : 수니파 이슬람교 (다수), 시아파 이슬람교
○ 교 육
- 유엔아프간지원단측은 2013~2015 3년간 집계 결과, 아프간 내에서 학교, 보건 시설에 대한 공격 및 오용으로 인해 아동들의 교육 및 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함.
- 2015년도 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저해하는 125건의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2014년도 59건의 사례보다 증가
- 2015년도 학교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저해하는 132건의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2014년보다 현저히 증가
- 상기 257건의 사례 중 다수를 차지하는 협박과 위협에 의한 경우가 2014년도에 비교하여 182% 증가하였으며, 특히 여아의 경우가 취약
○ 복 지
- 아프가니스탄은 오랜 내전으로 고통 받고 있는 나라이다. 1970년대 시작된 내전은 1979년 소련의 개입으로 이어졌고, 2001년에는 미국과의 충돌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렇듯 계속된 전쟁으로 인해 전반적인 사회 제반 시설과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아 왔음. 아프가니스탄의 영아사망률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며, 아동의 25%가 5세 이전에 사망하고 있다. 말라리아, 뇌막염, 급성 호흡기 질환과 같이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인해 매 년 수천 명의 아동이 사망하고 있고, 비위생적인 수질로도 인해 많은 생명을 잃고 있다.
구분 | 아프가니스탄 (%) |
5세 미만 유아 사망률(1,000명 당) | 257 |
영아사망률(1,000명 당) | 165 |
기대수명 | 43 |
성인 문자보급률 | 28 |
안전한 식수사용 인구비율 | 39 |
위생시설 보급률 | 34 |
청소년(남) 문자보급률 | 51 |
청소년(여) 문자보급률 | 18 |
남자 아동 중학교 등록률 | 18 |
여자 아동 중학교 등록률 | 6 |
GNI($) | 250 |
아동 노동 비율 | 40 |
아동 조혼 비율 | 43 |
○ 축제 / 명절
- 노루즈(Norwruz)로 불리는 아프가니스탄 새해가 국가적 명절이며, 이란력의 첫날인 3월 21일임
- 종교적 명절은 이슬람 명절과 거의 유사하며, 라마단이 대표적임.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힌두교, 조로아스터 교인들도 각 종교적 명절을 지냄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IMF, 네이버, Google, The World Bank, 외교부
□ 일반
○ 대륙성 기후로써,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추움
- 카불 : 여름 최고기온(35∼40℃), 겨울 최저기온(-5∼0℃)
- 지방 산악지대(겨울 최저 -35℃) 및 사막지대(여름 최고 55℃)
출처 : 주아프가니스탄 한국대사관
□ 기온·강수량
○ 해발 1,791m의 고지에 위치한 카불의 경우 1월 평균기온 -2.3℃, 7월 평균기온 23.7℃에 연강수량은 312mm이다.
- 겨울에는 서울보다 약간 따뜻한 수준으로,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가끔 영하 20도도 기록된다고 한다.
- 이는 여름도 마찬가지로 평균기온은 서울보다 약간 시원하나 40도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 산이 많고 나라 자체가 넓은지라 기온 편차도 꽤 큰데, 중부 산지의 차그차란의 경우 1월 평균기온이 -9.4℃로 모스크바(-6.5℃)보다도 더 춥고, 심지어 영하 46도가 기록된 적도 있다.
- 반면 서부 사막 지대에 있는 자란지의 경우 월 평균기온은 35.0℃로 미국의 피닉스(34.9℃)와 비슷한 수준이며, 가장 높게는 영상 51℃까지 기록된 바 있다.
○ 강우량은 극히 적어 연평균 101-406 mm 수준
- 98∼2002년간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ㆍ농업용수 등이 절대 부족
- 2003년 이후 기록된 강우(강설)량 덕분으로 가뭄은 다소 해소
출처 : 주아프가니스탄 한국대사관
□ 자연재해
○ 아프가니스탄은 1998년 이후 현재까지 진도 5 이상의 강진이 네 번 발생하고, 수시로 소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지진대에 속함.
- 카불 시내에서도 침대가 흔들릴 정도의 지진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어, 향후 강진 발생에 특히 유의해야 함.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재생 가능한 내부적 총 지표수는 37.5㎦/year로 측정된다.
- 강 유역에 의해 재생 가능한 수자원
강 유역 | 지역(㎢) | 총 지역의 부분 % | 재생 가능한 지표수 (㎦/year) | 실제 재생 가능한 지표수 (㎦/year) |
Kabul | 72,600 | 11 | 11.5 | 21.5 |
Helmand and Western | 270,000 | 41 | 9.3 | 8.48 |
Hari Rod- Murghab | 80,000 | 12 | 3.1 | 3.1 |
Northern | 75,000 | 12 | 1.9 | 1.9 |
Amu Darya | 91,000 | 14 | 11.7 | 20.7 |
그 외 | 63,400 | 10 |
|
|
총 | 652,000 | 100 | 37.5 | 55.68 |
출처 : Aquastat (Favre and Kamal, 2004; Rout, 2008; Uhl and Tahiri, 2003)
○ 중요 강 유역
- Kabul 강 유역
· Kabul의 서쪽으로 약 100km의 Hindu Kush의 중앙 지역에서 유래한 Kabul강은 아프가니스탄에서 54,000㎢의 배수공간을 가지고 있다. 강의 흐름은 Kabul을 통해 동쪽으로 흘러 파키스탄과 페샤와르의 동쪽 인더스 강에 유입된다. 주요 지류는 Logar, Panjsher, Laghman-Alingar, Kunar 강들을 포함한다. 강들의 대부분은 Hindu Kush의 북동쪽 부분과 눈 덮인 중앙 부분을 포함한 그들의 배수 지역으로서 봄 기간 동안 최고수위를 지속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유일한 강인 Kabul 강의 지류는 인도양에 닿는 인더스 강 시스템의 지류를 가지고 있다. 그 외에 총 배수 구역이 18,600㎢인 사소한 인더스 강 지류는 아프가니스탄 남동쪽과 동쪽 파키스탄으로 유입되는 유량 모두를 비우는데 심지어 인더스 강 또한 포함된다. Kabul 강과 그 외의 지류, 인더스 강은 아프가니스탄의 11%를 배수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강 유역 지도 >
- Helmand 강 유역과 서부에 흐르는 강
· 1,300㎞ 길이 Helmand 강은 카불 강 상류에 가까운 중앙 Hindu Kush 산맥에서 상승한다. 그 강은 남서쪽 방향으로 흐르고, 서쪽의 Sistan 습지에 다다르거나 이란의 국경을 따라서 가라앉는다. Helmand강은 겨울에 강설량으로부터 받아진 상부 집수지역에 의해서 채워진다. 이 강과 Arghandab, Ghazni 강과 같은 지류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약 29% 혹은 190,000㎢ 정도를 배수한다.
- Hari Rod, Murghab
· 강 유역 Hari Rod 강은 약 40,000㎢의 배수지역을 가지고 있다. 이란 국경에서, 강 흐름이 북쪽으로 변하고 결국 투르크메니스탄에서 Tejen 오아시스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강 유역의 좁고 긴 구성을 지니고 있고 Hari Rod는 중요한 지류가 없다.
- 북부로 흐르는 강
· 이 강들은 Hindu Kush에서 나타났고 북쪽의 Amu Darya강으로 향해 흐른다. 이 강들의 대부분은 Amu Darya강에도 닿기 전에 투르키스탄 평야에서 사라진다. Shirin Tagab, Sarepul, Balkh, Khulm강들을 포함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강이 존재한다. 이 강 유역들은 아프가니스탄의 12%를 차지하고 약 75,000㎢이다.
- Amu Darya 강 유역
· 이 강은 아프가니스탄의 Pamir강의 한 부분에서 생성되었다. 1,100㎞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북쪽의 타지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경에 이어진다. 두 가지의 중요한 지류 배수구인 Kunduz강과 Kokcha강이 있는데 이 강 모두 Hindu Kush에서 생성되었다. 이 두 강 유역은 아프가니스탄의 14% 이상의 배수지역을 담당하고 약 91,000㎢이다.
- Kabul과 Amu Darya강 유역
· 이강은 아프가니스탄의 1/4을 담당한다.
- 총 취수량은 20.373 km3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98%가 농업 용수로 이용되며, 2%가 시와 공업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전체 취수량 중, 약 85%가 지표수이다.
출처 : FAO, AQUASTAT
□ 지하수
○ 아프가니스탄의 연간 총 재생가능한 지하수자원은 10.65 km3 이며, 총 취수량 중 15%가 지하수이다.
< 강 유역에 의해서 채워지는 지하수 >
강 유역 | 지역(㎢) | 총 지역의 부분 % | 지하수 재충전 (㎦/year) |
Kabul | 72,600 | 11 | 1.92 |
Helmand and Western | 270,000 | 41 | 2.98 |
Hari Rod- Murghab | 80,000 | 12 | 0.64 |
Northern | 75,000 | 12 | 2.14 |
Amu Darya | 91,000 | 14 | 2.97 |
Other | 63,400 | 10 |
|
Total | 652,000 | 100 | 10.65 |
출처 : Aquastat (Favre and Kamal, 2004; Rout, 2008; Uhl and Tahiri, 2003)
출처 : FAO, AQUASTAT
□ 지표수
○ Kabul 유역
- 아프가니스탄에서 지질조사로 8개의 지표수와 92개의 지하수를 Karez, Kabul 유역에서 수질을 수집했다. (A karez 얕은 지하수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터널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국제 음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에서 모든 지표수와 지하수에서 세균 오염이 검출되었다. (총 대장균 군과 대장균).
○ 아프가니스탄의 모든 강의 상류 유역의 수질 상태는 몹시 좋으며, 더 낮은 유역에서도 양호한 편이다.
- 보통 관개면적에서 나타나는 염류토양은 수질 오염 때문이 아니라 지나친 관개나 관개용수 부족이 원인 (Qureshi, 2002)
출처 : AQUASTAT, 2012
□ 하수, 배출수
○ 지하 수질 상태는 대게 양호하나, 장소에 따라 다르다.
- 낮은 하천 계곡 구간에서 종종 염분을 포함해서 음용수나 관개용수로 적절하지 않음 (Favre and Kamal, 2004).
출처 : AQUASTAT, 2012
□ 음용수
○ 지방 거주 인구는 우물을 통해 지하수를 음용수로 이용하는데, 과도한 지하수 사용으로 인해 많은 지역의 우물이 고갈되었다.
출처 : Qureshi, 2002
□ 물시장 현황
○ 아프가니스탄은 해외세력이 나라의 안전을 지켜주면서 탈레반 세력이 약화 된 후에 생수 시장이 번영하고 있다. 군부와 외국 노동자들은 지역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걱정했고 오직 생수만 마실 수 있었다. 이러한 수요는 생수 산업의 출현을 이끌기 충분했다.
○ 아프가니스탄은 막대한 미네랄 워터생산의 잠재성을 가진다. 하지만 산업의 성장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다음과 같다 : 세관 관세 불일치, 고액의 전기비용, 품질 관리 부족, 보안 조치의 높은 비용, 회계 및 법률 환경의 불확실성과 자격을 갖춘 인력의 부족
출처 : AFGHAN BUSINESS NEWS PORTAL
□ 수자원
○ 아프가니스탄은 반 건조한 환경에 위치하고 있지만, Hindu Kush, Baba와 같은 눈 덮인 높은 산들을 통해서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수자원의 80% 이상은 해발고도 2000m 이상인 Hindu Kush에서 생성된다. 이 산들은 겨울에는 눈을 축적하고 여름에는 눈이 녹으면서 중요 강들에게 유량을 제공하는 천연 물 저장고적인 역할을 한다.
○ 위생시설
- 아프가니스탄의 31%의 인구만 개선된 위생시설이 존재하는 곳에서 거주한다. 개선된 위생시설을 이용 할 수 있는 인구들은 부와 상관관계가 있고 도시와 농촌사이의 극심한 차이도 있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29%의 가구는 다른 세대와 공유하지 않고 개선 된 위생 시설을 사용합니다. 개선 및 공유되지 않는 위생 시설을 사용하는 비율은 농촌 지역 (24%)보다 도시 지역 (51%)에서 높다.
○ 댐
- Kajaki 댐
· 1950년대에 Helmand Arghandab Valley Authority 프로젝트에 의해서 건설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미국사이의 야심차게 시행되었고 강 하류 관개를 위한 물을 축적하도록 설계되었다. 1970년대, 미국 국제 개발처 (USAID)가 16.5mW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댐을 위해 자금을 지원하여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고 용량은 1.2㎦이다.
- Darunta 댐
· Kabul 강에 있는 수력전기 댐으로 1960년대 초에 건설되었다. 원래 댐은 40~45MW의 전력 에너지를 제공했으나 아프간 전쟁으로 인해서 파손되거나 시스템이 침전되어서 8MW로 감소되었다.
- Dahla 댐
· Kandahar 지방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댐으로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댐이다. 1950년에서 1952년 사이에 건설되었고, 전쟁 이후에 쇠퇴한 댐의 능력을 복구중이다.
- Naghlu 댐
· Kabul 강에 있는 댐으로 100MV의 용량으로 설계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큰 발전소이고 Kabul의 전기 대부분을 생성한다.
출처 : AQUASTAT, Afghanistan
출처 :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10-2011, (UNICEF)/AQUASTAT, FAO; USAID, 2013
□ 상수도현황
○ ‘카레즈(Karez)’는 수천년 전에 발견된 지하수로로, 굴속에 도랑을 만들어 물이 흐르도록 함.
- 보통 길이는 5~16km로, 아프가니스탄 내 가장 긴 카레즈는 70km에 이른다.
- 카레즈 대부분은 Helmand강 유역에 위치, 주로 식수로이용된다.
○ 온천 : 시골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며, 산악 중부지역과 남동부에서 나타남 (Rout, 2008)
○ 우물 : 최근 착정 및 양조 등 기술의 발전으로, 우물 수와 용량이 증가
출처 : AQUASTAT, 2012
□ 하수도현황
○ 가구의 대다수는 물 수세식 변소에 의존하기 때문에 배설물의 보관을 위하여 구덩이에 연결되어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생산 된 폐수는 거의 관리 될 = 수 없는 실정이다.
- 매우 적은 위생시설 서비스의 존재로 인해서 동물,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오수는 상류, 하류를 계속해서 순환한다.
출처 : Habib, 2014
□ 상하수도 법령현황
○ 1981 물 법령(Water Law): 물 권리 협약. 실제로 시행되는데 수정이 필요함. 대중의 물 권리와 정부가 보호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다루며, 총 7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음.
- 물 법령은 대중에 속하고 정부에 의해 보존되는 물 소유권 문제 등 7개의 챕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활 요구사항에서 다른 용도보다 음용수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다. 물 사용은 무료이다.
출처 : AQUASTAT, 2012
□ 상하수도 정책현황
○ 지역 내 존경받는 대표(wakil, mirab bashi)가 주로 시스템을 관리하며, 물 관련 정부인사와 농부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수행
- 몇 지역에서는 주수로 위원회가 대표를 지원.
○ 정부는 주로 분쟁 조정, 비상 상태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만 관여
출처 : AQUASTAT, 2012
□ 상하수도 요금체계
○ 2012년 7월, 정부 물 요금제 도입, 물 시설의 수입 크게 증가
- 카불: ‘요금을 내고 마시는’ 물의 비율이 37%에서 54%까지 증가함
- 결과, Herat, Kunduz and Mazar-e Sharif 지역에서 6개의 폐수처리 공장을 신설하여 운영 중
출처 : GIZ, 2016
□ 상하수도 예산현황
○ 연평균 관개 회복 계획 비용: 약 US$200/ha (1993년 소규모 계획 기준)
출처 : aquastat
□ 물관리 로드맵
○ 정책, 국가 전략 및 물에 대한 계획에 따라 시공되고 있다.
출처 : Afghanistan ministry of energy and water
□ 물관련 조직현황
○ 물 및 에너지부(The Ministry of Water and Energy) : 지표수와 지하수 모니터링 및 관리
○ 농업, 관개, 가축부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rrigation and Livestock) : 아프가니스탄의 농업 경제 회복을 위한 생산성 향상, 자연 자원 관리, 시설과 시장 발전을 지원 (MAIL, 2011)
(https://www.mail.gov.af)
○ 공공사업부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 도시 상수도 관리
○ Microrayon Maintenance Department : 카불의 Microrayon 지역의 상하수도 관리
○ 물, 위생 중앙정부 (The Central Authority for Water and Sanitation) : 도시 상수도 관리
○ 광물부 (The Ministry of Mines) : 지하수 개발을 위한 조사 및 연구, 전략 시행
○ 지방 자치제 : 지표수 및 하수도 배수
○ 농촌개발부 (Ministry of Rural Development) : 우물 설계
출처 : AQUASTAT, 2012
□ 사업
○ 도시개발부(Ministry of Urban Development) 식수공급사업 현황
- 카불시 식수공급 사업
· 수도 카불의 식수공급 사업은 독일 개발협력부(BMZ) 및 KFW에 의해 체계적으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최근(2009) 1단계 사업(사업비 50백만불 단기 프로젝트)이 종료
· 현재(2009) 2단계 사업계획을 추진중이며, 향후 추가로 3,4단계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나 사업비 조달에 어려움이 있음.
· 1단계 사업 완료후 식수공급이 30%(2005년 20%)로 향상되었으며 2025년 100%를 목표로 설정
○ 에너지수력부(Ministry of Energy & Water) 수자원개발 사업 현황
- 아프간의 식수, 농업용수, 에너지 개발을 위해 에너지수력부에서 약 50여개 수자원개발 사업 계획, 추진중
- 아프간의 주요 산업인 농업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수자원 확보, 관개 등의 사업을 추진
- 특히 북부 아므르강 유역 개발 사업, 카불시 인근 콜람분지 농업관개 사업, 헬만드 분지 용수 공급사업 등 주로 농업용수 확보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식수원 개발사업도 함께 추진
- 에너지수력부의 주요 원조기관은 WB, KFW, USAID 등
- 아프간은 수자원이 매우 부족한 나라로 주요 원조기관이 큰 관심을 가지고 많은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으나 외국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설계 검증, 기술적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
출처 : 주아프가니스탄대사관
□ 연구
○ 지난 10년 동안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 USGS) 과학자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수자원을 구축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지질조사국(Afghanistan Geological Survey, AGS)과 서로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으로 이 나라가 수자원을 정량화하고 모니터링 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지질조사국과 다른 국제기관과의 파트너십은 아프가니스탄에 매우 중요하다. 물 이용은 글로벌 이슈라는 광범위한 컨센서스가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공동 노력을 통해 해당 지역의 물 상태의 정량화 및 향후 물 공급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아시아 태평양 담당 USGS 지역전문가인 Jack Medlin은 말했다.
출처 : USGS, 2014
□ 해외원조
○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은 최근 파리에서 개최된 원조공여자 회담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도로, 송전선, 관개수로 부문에 5년간 13억불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이 자리에서 진리췬(Liqun Jin) ADB 부총재는 아프가니스탄이 지난 7년간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아태지역의 최빈곤국으로 남아있다고 밝히면서 사회에 만연된 부패 척결에 정부가 각별히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진부총재는 국영기업의 민영화 실적이 저조하고 도로, 송전선, 관개수로 등의 신설된 인프라를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마약 생산 및 거래를 규제할 실질적인 조치계획도 부재하지만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ADB의 재건 및 개발지원 신임은 확고하다고 밝혔다. 한편, ADB는 도쿄, 베를린, 런던에서 개최된 원조공여자 회담에서 약속한 대로 아프가니스탄 복구 사업에 현재까지 약 10억불 상당의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2004년에 USGS와 AGS는 수문학 등 다양한 지질과학 분야에서 아프가니스탄의 역량을 재구축할 계획을 시작했다. 따라서 USGS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현장 중심 수문학, 수질 샘플링 등 현대적 기법의 적용 및 수자원 데이터베이스 개발 등을 AGS 과학자에게 가르침으로써 목적을 달성하게 되었다. 첫 번째 노력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 있는 지하수 및 지표수 자원의 명세를 파악하였다. 첫 해에 약 150개소의 우물을 파악한 후, 우물에 대한 데이터를 10년에 걸쳐 모니터링 함으로써 카불의 수위가 감소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수거된 물 시료에 대하여 물리적,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성질에 대해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카불의 수문 조사의 기초를 수립하였다. “10년간의 지하수 수위 모니터링을 통해, 최근 분석한 데이터에서 카불의 지하수 자원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AGS 엔지니어들은 아프가니스탄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유사한 지하수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구축했는데, 이는 다른 지역의 주민과 경제 중심 도시의 현재 상태 및 물 가용성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고 USGS 수문학자인 Thomas Mack이 말했다. USGS는 세계은행이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약 127개소의 수문자료 측정지(streamgages)를 현대 장비를 사용하여 복원하려는 계획을 지원하여 이 나라의 수문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또한, USGS는 파트너십 초기에 아프가니스탄 농업기상학(Agrometerology) 프로그램 설립을 지원하였다. 2014년까지 이 프로그램은 설치 완료되어 102개소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원격 탐사 모델을 교정하고 검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인 강수량, 적설 및 기타 기상변수를 기록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시행되는 연구의 주안점은 카불 인근 유역이며 구리 등 상당한 광물자원을 갖고 있는 차카리 유역의 수자원 정량화 및 모니터링에 맞추고 있다. “Chakari 분지의 물과 광물 자원을 이해하는 것은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발전과 국내 및 산업용 용수 사용자 요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차카리 유역의 수자원 및 광물자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USGS 수문학자인 Michael Chornack이 말했다.
○ USAID를 통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의 물 상용화를 통해서 도시 물 공급과 위생관리 활동인 CAWSA 프로젝트를 2008년 이후 지원한다. USAID의 주된 활동은 아프가니스탄의 북쪽에 있는 Mazar-e-Sharif, Gardez, Ghazni 및 동쪽의 Jalalabad를 지원하는 것이다.
○ 독일은 KfW 발달 은행을 통해서 재정적인 협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GIZ와 지질 및 자연자원을 위한 BGR을 통해 기술적인 원조를 한다. 독일의 물 분야에서의 협력은 도시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BGR은 지하수 모니터링 및 Kabul 분지 모델링을 2003년부터 2006년 현지 파트너의 교육을 지원한다.
○ Dahla 댐 재활단계 1
- 아프가니스탄에서 캐나다가 시행하는 프로젝트의 하나로서 US$50백만이라는 예산을 통해서 댐과 관개 시스템을 보수하는 프로젝트다. (2008-2011)
○ Dahla 댐 재활단계 2
- 484 백만 입방미터의 물에서 300 백만 입방미터로 감소된 이용 가능한 물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댐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프로젝트다. 미국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2017년이 완료 예정년도이다.
출처 : ADB, Wikipedia (Water supply in Afghanistan), 물산업 통계정보시스템
□ 한국과의 협력
○ 수교일자 : ‘73.12월(외교관계 수립후 78.9 단교)
○ ‘02.1.31 외교관계 재개
- ‘02.9 주아프간 우리 대사관 재개설
- ‘04.1 주한 아프간대사관 개설
○ 우리국민(공관원 등 포함) 체류 현황 : 27명(‘16.3)
○ 입출국자 현황
- 한국인 아프간방문 : 379명(‘12)
- 아프간인 한국방문 : 1,061명(‘13)
○ 투자 현황(‘13까지)
- 對아프가니스탄투자 : 150만불
○ 재건지원 주요현황
- ‘02.2 최초 병력파견, ’07.12 철수(220여명)
- ‘08.6 바그람 미군기지내 재건사업 개시(병원 운영)
- ‘10.7 파르완州에 독자적 PRT(지방재건사업) 활동 개시
- ‘11.1 독자 PRT기지인 차리카기지 입주
- ‘12.2 차리카기지 주요재건시설 개소
- ‘12.12 차리카기지 아프간 정부로 이양 (바그람 미군기지내 재건사업은 지속)
- ‘14.6 PRT 임무 공식 종료
출처 :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