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Republic of Azerbaijan)
○ 위 치 : 카스피해 연안 카프카즈 지역
○ 건국(독립)일 : 1991.8.30.(소련)
○ 면 적 : 86,600㎢(한반도의 2/5)
○ 인 구 : 940만(2014)
○ 기 후 : 아열대(수도권 지역), 건조 온대초원 기후 등 다양한 기후대 분포
○ 수 도 : 바쿠(Baku)
○ 주요도시 : 바쿠(Baku), 숨가이트(Sumgait), 간자(Ganja)
○ 국 기
○ 국가문장
□ 정치
○ 정부형태 : 공화국
○ 실 권 자 :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 총 리 : 아르투르 라시자데(Artur Rasizade)
○ 정부구조 : 대통령중심제
○ 행정구역
- 65개 지역, 69개 도시 및 13개의 도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 나히체반 (Nakhchivan) 자치 공화국은 7개 구와 1개 시로 구성됨
○ 외 교 : IBRD, EBRD, IMF, ADB 회원국, WTO는 미가입, 2013년부터 양자 및 다자협상 진전
□ 경제
○ 화폐단위 : 마나트(MANAT) (1$=1,0485 AZN, ‘15.)
○ 외환보유고 : 13,080백만 달러(2013)
○ 교역규모
- 수출 28.3십억 달러
- 수입 9.3십억 달러(‘14)
○ GDP : 753억 달러 (2014)
○ 1인당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NI per capita, PPP (USD) | 8,052 | 10,711 | 16,593 | 16,715 |
출처 : 세계은행 (2016.4)
○ 경제성장 : 2.8%
○ 주요산업 : 농업 5.3%, 2차 산업 64.5%, 서비스업 30.2%
○ 주요자원 : 석유, 천연가스, 수력전기
□ 사회·문화
○ 언 어 : 아제르바이잔어 (공용어), 러시아어(상용어)
○ 민 족 : 아제르바이잔인(90.6%), 레즈기인(2.2%), 러시아인(1.8%)
○ 종 교 : 이슬람교(93.4%), 러시아 정교(2.5%)
○ 교 육 : 교육기관은 초등학교, 중등학교, 직업학교 등을 포함하며, 8년의 의무 교육 실시
○ 복 지 : 최저 생활 보장 제도, 출산지원금 및 휴가, 실업 보험금, 식량 보조금 및 일부 세금 면제 등 제공
○ 축제 / 명절
- 1월 1일 : 신년
- 3월 8일 : 여성의 날
- 3월 20 ~ 3월 21일 : 봄맞이 축제일(Novruz bayram)
- 5월 9일 : 파시즘에 맞선 승리의 날
- 5월 28일 : 공화국의 날
- 6월 26일 : 군인의 날
- 10월 18일 : 독립기념일
- 11월 12일 : 제헌절
- 11월 17일 : 국가 재건의 날
- 12월 31일 : 전 세계 아르제바이잔인의 날
출처 : KOTRA, 외교부, The World Bank
□ 일반
○ 아제르바이잔은 남부 아열대 지역에 위치하며, 카스피해 연안과 근접하여 지역에 따라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함(대륙성 기후)
출처 : FAO AQUASTAT, 2008
□ 기온
○ 아제르바이잔 저지대는 매우 건조하며, 평균 여름 기온은 22 °C 이상이다. 산악 지역에서 기온은 겨울에는 0 °C까지 떨어지며 나히체반에서는 심한 서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 습윤열대 기후는 카스피해 인접 해안 부근인 Lankaran 저지대에서 나타난다.
□ 강수량
○ 연 평균 강수량: 447 mm
□ 자연재해
○ 기후 조건과 열악한 설비 등, 아제르바이잔은 지진,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 대비에 취약하다.
- 매년 홍수와 산사태로 피해를 입고 있으며, 높은 지진 활동이 큰 리스크 요인
출처 : PreventionWeb, 2014
□ 지표수·지하수
○ 재생가능한 수자원은 연간 약 32.52 km3이다.
- 연간 지표에 내린 강우량은 5.96 km3이며, 지하수에 충전되는 양은 6.51 km3이다. 연간 지표류 25.38 km3 중, 11.91 km3는 조지아에서, 7.50 km3는 이란에서, 5.97 km3는 아르메니아에서 유입됨.
- 터키, 조지아, 아르메니아, 이란, 아제르바이잔을 흐르는 Kura-Araks 강은 국제 하천으로, 용수 확보 및 공유와 관련하여 토의가 필요함
○ 아제르바이잔은 총 4개의 하천 유역이 있으며, 이 중 2개는 다국적 하천이다.
- Kura-Araks 하천 유역 (연간 총 25.38 km3): 아제르바이잔을 흐르는 가장 큰 유역이다. Kura 하천은 터키 북동 지역에서 시작하여,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을 거쳐 흐른다. 전체 길이는 1,515 km이며 그 중 900 km가 아제르바이잔에 위치함. 조지아에서 연간 11.91km3가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raks 하천 또한 터키 북동 지역에서부터 흐르며, 터키아 아르메니아, 터키와 아제르바이잔, 이란과 아제르바이잔, 이란과 아르메니아 간에 경계선을 만든다. 약 100 km 하류에 Kura 하천이 합류하며 카스피해가 있는 남동쪽으로 흐른다.
- Samur 하천 유역: 북동 지역에 위치, 연간 총 유량은 2.36 km3이며, 아제르바이잔은 이 중 약 절반을 이용할 수 있다.
- 북동부 카스피해 해안 하천 유역: Samur 하천 유역과 Kura 하천 유역 사이에 위치
- 남동부 란카란 지역 카스피해 해안 하천 유역: Kura 하천 유역의 남부.
출처 : FAO AQUASTAT, 2008
□ 지표수
○ 카스피해 해안 지역의 약 30%가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절반이 넘는 100 km 이상의 하천이 오염됨. 아프셰론 반도와 Kura-Araks 저지대의 호수 (200 km2 이상)는 위태로운 상태임.
- 수자원 오염의 주원인은 공업, 농업 등이다 (UNEP/GRID-Arendal, 2005).
출처 : FAO AQUASTAT, 2008
□ 하수, 배출수
○ 2005년, 생산된 폐수는 약 659백만m3 이며, 폐수의 주요 원인은 세탁 섬유, 면실유 생산, 어류 양식 및 포도 공정 산업이다.
- 161 백만 m3의 폐수가 재사용됨
출처 : FAO AQUASTAT, 2008
□ 음용수
○ 아제르바이잔의 지하수는 수질 상태가 몹시 좋아 음용수로 이용됨
- 특히, 아제르바이잔에 위치한 나히체반 자치공화국은 미네랄지하수가 풍부함
출처 : FAO AQUASTAT, 2008
□ 물시장 현황
○ 아제르바이잔의 2016년 물 시장 규모는 $ 1,255 백만으로 자본 시장 $ 857
백만, 운영 비용 시장이 $ 398백만으로 추정된다.
□ 수자원
○ 아제르바이잔 댐의 총 저수 용량은 약 21.54 km3이다. 이 중 21.04 km3가 대형댐에서 얻어짐.
- 4개의 큰 저수지는 Kura 하천의 Mingacevir, Shamkir댐과 Araks 하천의 Araks댐, 그리고 아르메니아의 Terter 하천의 Sarsang 댐이 있다.
○ 관개 시설의 약 40-45%가 수리가 필요함
출처 : FAO AQUASTAT, 2008
□ 상수도현황
○ 아제르바이잔의 물 인프라 관련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인프라 및 펌핑 장비 훼손
- 양수식 관개에 과다한 의존
- 운영 및 유지 비용에 대해 극도로 적은 사용자 부담
- 불충분한 물 배분 (UNECE, 2004)
출처 : FAO AQUASTAT, 2008
□ 하수도현황
○ 거주 지역에 하수도 시스템과 폐수 처리장이 제대로 설비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심각한 물 오염을 유발하고 있음
- 폐수 처리장은 도시 16 곳에 설치되었으나, 대다수가 고장(2005년 기준)
출처 : FAO AQUASTAT, 2008
□ 상하수도 법령현황
○ 물 법규(The Water Code): 1997년 설립, 아제르바이잔의 물 관리의 기초로서, 물 사용·보존에 관해 다음과 같은 원칙을 규정함
- 경제 개발 및 환경 보호
- 좋은 수질 상태의 물을 주민에게 제공
- 하천 유역의 물 관리
- 물 보전
○ 상하수도법(The Law on Water Supply and Wastewater): 1999년, 물 분야의 합법적 규정을 제정함
○ 개수·관개법(The Law on Amelioration and Irrigation): 1996년, 개수·관개법은 개수 및 관개 시스템의 기획, 설계, 건설 및 운영에 관하여 규정한 법이다. 기획과 건설 단계는 기술 자격을 증명, 인가받을 필요가 있음.
○ 환경보호법(The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1999년 제정, 환경 보호를 둘러싼 법적, 경제적, 사회적 기초를 규정하였다. 자연 자원 사용 관련 항목 중, 물과 가정 및 공업용수의 오염에 대응한 보호법을 포함. 뿐만 아니라, 자연 자원 사용에 대한 요금제를 도입하였다.
출처 : FAO AQUASTAT, 2008
□ 상하수도 정책현황
○ 2003년 11월 “아제르바이잔 사회·경제 발전 강화” 시행령에 따라, 농업 분야 개혁을 추진하고 있음(Heydar Aliyev Foundation. 2008)
출처 : FAO AQUASTAT, 2008
□ 상하수도 요금체계
○ 1997년 이후, 농업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에 요금 부과
- 2003년 6월, 수도 요금 증가: 요금은 물 자체에 대한 요금이 아니라, 기술적 업무비용을 포함
○ 하수도 요금은 1992년에 도입되었으며, 요금은 매우 낮은 편이다(UNECE, 2004)
출처 : FAO AQUASTAT, 2008
□ 상하수도 예산현황
○ 다양한 부문에서 나온 2.8 십억 manat (3.6 십억 US dollars)이 지금까지 상수 및 하수 시스템에 투자되었다. 이 중 1.8 십억 manat은 지방 예산이고, 779 백만 manat은 the State Oil Fund에서 그리고 196 백만 manat은 국제 자금 기구들에게서 나왔다.
출처 : Azerbaijan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6
□ 물관련 조직현황
○ 생태·자연자원부(Ministry of Ecology and Natural Resources): 수자원 보존 및 오염 대책을 담당. 3-5년간 유효한 폐수 허가를 발행함. (http://www.eco.gov.az/en/)
○ 생태·자연사용위원회(Committee on Ecology and Nature Use): 염화작용 및 수질오염 모니터링
○ 개수·물관리국가위원회(State Committee on Amelioration and Water Management): 물 사용 모니터링, 지표수 허가증 발행을 담당. 또한, 수도 요금을 부과하며, 관개용 시설 관리 및 유지
○ 보건부(Ministry of Health): 식수 수질을 관리 (http://www.pharma.az/en)
출처 : FAO AQUASTAT, 2008
□ 사업
○ 국가 물 공급·위생 프로젝트 (National Water Supply and Sanitation Project)
- 사업 기간: 2007/06/14~2016/12/13
- 총 비용: 310 백만 달러
- 개요 : 국가 물 공급·위생 프로젝트의 목적은 수도와 아제르바이잔 지역 센터 20 곳의 위생 서비스 이용성, 수질, 신뢰성 및 지속가능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출처 : 세계은행, 2007
□ 해외원조
<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 | |||
단위 : 백만US$ | |||
2012 | 2013 | 2014 | 합계 |
284.6 | -73.4 | 215.2 | 426.4 |
출처 : OECD DAC OECD DAC
□ 한국과의 협력
<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 |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4.07 | 11.29 | 6.20 | 10.32 | 16.67 | 48.55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