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아르메니아(Armenia) 혹은 아르메니아공화국(Republic of Armenia)
○ 위 치 : 아시아 서부 러시아 남부
○ 건국(독립)일 : 1990년 8월 23일 소비에트 연방에서 분리 독립
○ 면 적 : 29,743㎢
○ 인 구 : 약 3,013,900명
○ 기 후 : 아열대성 기후
○ 수 도 : 예레반
○ 주요도시 : 아슈타라크, 아르타샤트, 아르마비르, 가바르, 흐라즈단, 바나조르, 규므리, 카판, 이제반, 예게근다조르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아네모네(Anemone)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제(중임제, 임기 5년)
○ 실 권 자 : 대통령 : 세르지 사르키샨
○ 총 리 : 호비크 아브라하?
○ 정부구조 : 아르메니아의 정치 체제
- 아르메니아의 행정부
· 아르메니아의 대통령
· 아르메니아의 내각
· 아르메니아의 지방정부
- 아르메니아의 입법부
- 아르메니아의 사법부
· 아르메니아의 법원
· 아르메니아의 헌법재판소
· 아르메니아의 사법회의
· 아르메니아의 검찰총장
○ 행정구역
- 아르메니아의 행정 구역은 아르메니아어로 마르제르 또는 줄여서 마르즈라고 부른다. 아르메니아는 10개의 주와 1개의 특별시(수도)로 구성되어 있다.
· 아라가초튼 - 아슈타라크
· 아라라트 - 아르타샤트
· 아르마비르 - 아르마비르
· 게가르쿠니크 - 가바르
· 코타이크 - 흐라즈단
· 로리 - 바나조르
· 시라크 - 규므리
· 슈니크 - 카판
· 타부시 - 이제반
· 바요츠조르 - 예게근다조르
· 예레반 - (특별시)
○ 외 교
- 아르메니아 외교부가 표방하는 외교정책 목표는 안보 강화, 국가 발전에 우호적인 외적 조건 유지, 국제무대에서의 아르메니아 입장 홍보, 아르메니아와 해외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 시민들의 이익 보호, 국제기구 및 국제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 심화, 우호협력국가들과의 협력 강화, 지역문제 해결, 아르메니아의 입장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 확보 등에 있다.
- 아르메니아는 주요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러시아와는 특수한 협력관계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하고 있다. 한편 미국과는 우호협력관계를 발전시키고, 유럽과는 조직 및 기구들과의 협력의 틀 내에서 결속을 추진하고자 한다. 주변국들과는 관계 정상화 등을 추구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아르메니아드람(Armenia Dram, AMD)
○ 외환보유고 : 2,253 (USD - 백만) (2014)
○ 교역규모
- 수출 : 153.60 (USD - 백만) (2016)
- 수입 : 254.30 (USD - 백만) (2016)
- GDP : 108억$ (2016)
- 1인당 GDP : 3,602$ (2016)
- 경제성장
| 2014 | 2015 | 2016 |
GDP growth (annual %) | 2.3 | 4.5 | 4.4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아르메니아의 산업 부문별 경제 현황
아르메니아의 농업
아르메니아의 광업
아르메니아의 제조업
아르메니아의 건설업
기타 분야(관광업, 자동차 소매업 등)
- 주요자원 : 주요 광물자원은 대리석, 현무암, 화강암, 몰리브덴, 펄라이트, 납, 보크사이트, 아연, 구리, 금, 은 등이다.
□ 사회·문화
○ 언 어 : 아르메니아어, 러시아어
○ 민 족 : 아르메니아인 97.9%, 쿠르드인 1.3%, 러시아인 0.5%, 기타 0.3%(아제르바이잔인, 그리스인, 우크라이나인)
○ 종 교 : 아르메니아 정교 94.7%, 기독교 4%, 기타 1.3%
○ 교 육
- 교육은 7세 이상 9년간 의무교육이고 무상으로 실시된다. 문맹률 0.6%(2001년)로 7세 이상 국민 거의 대부분이 읽고 쓸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제2국어로 러시아어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민의 대다수가 아르메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어도 이해하고 있다. 영어·프랑스어·그리스어·페르시아어 등 다른 언어로 가르치는 학교도 몇몇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아르메니아어로 된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 예레반국립대학(Yerevan State University), 국립공과대학(State Engineering University) 등 20여 개의 고등교육 기관이 있으며, 대학에서는 언어·철학·역사·문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기술 및 직업훈련 학교들이 많아 아르메니아 노동력의 20%가 어떤 형태로든지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며, 60% 이상이 중등교육 후 기술훈련을 받은 사람들이다(1990).
○ 복 지 : 의료시설과 사회서비스가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된다.
출처 : KOTRA, 외교부, Trading Economics
□ 일반
○ 아르메니아는 산악지대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건조한 아열대의 험준한 고산지대에 6개의 기후가 펼쳐진다.
□ 기온
○ 매년 평균온도는 5.5℃이다. 아르메니아의 여름은 7월경 16~17℃로 비교적 적당하나, Ararat Valley는 24~26℃로 높다. 겨울의 평균온도는 -7℃에 달하는데 꽤 추운 날씨다.
□ 강수량
○ 매년 총 강수량은 592mm이다. 몹시 건조한 Ararat Valley와 Meghri지역은 평균 강수량이 200~250mm이다. 고산지대의 경우 최고 강수량은 1000mm이상으로 측정된다.
출처 : AQUASTAT - FAO
□ 자연재해
○ 아르메니아의 자연재해 상황을 보면, 아르메니아는 아라비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여 진도 5.0~7.0의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1988년 12월에 발생한 지진(진도 6.8~7.0)으로 4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산악지대의 특성상 산사태 등이 자주 발생한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아르메니아의 모든 강은 Araks와 Kura 강의 지류들이다. 대부분의 강들은 작고 빠르며, 녹은 눈이나 수원, 그리고 지하수로부터 나오는 물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강의 흐름은 (국가 내에서 나오는) 강수량이 16.7십억 m³, 증발량이 10.8십억 m³정도로 총 6.8십억 m³로 추정되었다. 이 외 쓸 수 있는 1.19십억 m³는 국경의 Araks와 Akhuryan 강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온다.
□ 지하수
○ 아르메니아는 또한 상당한 지하수 자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남는 전체 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하수는 4십억 m³로 추정된다. 이 중 약 96%가 음용수로 쓰이며, 국가에서 쓰이는 물의 40%가 지하수로부터 나온다. 현재, 조사와 운영의 부족으로 지하수에 대한 가용성과 질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에, 지하수 조사는 20년이 넘는 기간동안 멈춰있다. 그리고 지난 4~5년에 다시 시작했다. 가장 최근에 이루어졌던 1980년대 지하수 자원 평가에는, 총 지하수 자원을 4.0십억 m³로 추정하였으며, 이 중 1.6십억 m³를 수원지에서, 1.4 m³를 배수지에서, 1.0십억 m³를 심층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하였다.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지표수 및 배수처리 폐수
○ 수질의 저하와 관련된 고민들이 국가 전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 가지 주요 원인으로는 처리되지 않거나 덜 처리된 폐수를 지표수 강류로 배출하는 것이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총 폐수 규모는 두배가 되었고, (연간 375백만 MCM에서 813백만 MCM) 처리되지 않는 폐수는 7배로 늘어났다. (42백만 MCM에서 307 MCM으로) 이러한 증가의 원인 중 몇몇은 개선된 측정과 양어장으로부터 나온 폐수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모든 폐수 처리 플랜트들은 소비에트 시절에 지어졌으며, 지금은 구식이 되어 개보수의 필요가 생겼다. 그리고 운영하기 위한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비싸다. 대부분의 플랜트들이 운영을 멈추고 있으며 소수의 플랜트들만이 기계적 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광공업의 성장이 또 하나의 오염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금속)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음용수
○ 대체로, 아르메니아의 물은 그냥 마셔도 될 정도로 안전하다. 기본적으로 물은 염소 처리 되어있고, 수돗물은 마셔도 된다. 그러나 대장균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복통을 일으킬 수도 있다.
출처 : Is the water safe to drink in
□ 수자원
○ 강의 범람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다루기 위해서, 아르메니아는 총 용량이 14억 입방미터인 87개의 댐을 건설했다. 대부분의 댐들은 관개에 대한 단일목적을 가지고 있다. 35개는 100만 입방미터 이상의 용량을 가지고, 3개는 10000만 입방미터 이상의 용량을 가진다. 9개의 미완성 댐이 있고, 28개의 댐이 구상 중에 있으며, 더 나아가 소비에트 기간 중 준비되어 계속해서 착수되어 있는 67개의 댐이 있다. 아르메니아의 정부에 따르면, 중력 방식에 펌프에서 관개 확장 및 변환을 위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댐은 KAPS, Vedi, Yeghvard 및 Selav-Mastara가 있다. 호수 Sevan은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큰 민물인데, 중요한 목적으로 관개, 수력발전, 휴양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상수도현황
2009 대 PPP 전에 물 공급 유틸리티에 대한 성과 측정
물과 하수도 회사 | 물 공급 지속 (시간) | 수질 요건을 준수 | 에너지 소비 (백만 kWh) | 수집 효율 (%) | 수량계 설치 (소비자 %) | 측정되지 않는 물 (%) | ||||||
PPP 전 | 2009 | PPP 전 | 2009 | PPP 전 | 2009 | PPP 전 | 2009 | PPP 전 | 2009 | PPP 전 | 2009 | |
Yerevan | 4-6 | 20.4 | 94.5 | 97.8 | 240.3 | 109.6 | 21 | 97.6 | 0.8 | 96 | 72 | 81.1 |
Armenia | 4-6 | 12.8 | 93.8 | 98.4 | 64.4 | 46.6 | 48 | 84.1 | 40 | 72.3 | 74 | 83.6 |
Shirak | 4.7 | 10.2 | 98.1 | 99.6 | 0.9 | 1.2 | 49 | 78 | 12 | 50 | 85 | 83 |
Lori | 4 | 9.5 | 88 | 92 | 0.96 | 0.92 | 58 | 80 | 67 | 85 | 77 | 7 |
Nor Akung | 4 | 22.3 | 100 | 100 | 7.2 | 4.0 | 47 | 97 | 20 | 93 | 87 | 70 |
출처 : World Bank 2011b.
Note : PPP = 공공 민간 파트너 쉽
□ 하수도현황
○ 오수 수집 및 처리 시스템은 충분히 운영되지 않고 있어서 오수는 땅이나 강에 직접적으로 버려지며 이는 비위생적인 문제나 수질 문제를 일으킨다. 현재, 인구의 68%는 하수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20개의 오수 처리 시설이 존재하고, 모든 시설은 1990년대 이전에 지어져 운영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에 시설을 보수하고 현대화하는데 투자가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물관련 법령·정책 현황
○ “Water management”에 따르면, 물 분야의 법률이나 제도적 구조는 2002년경 National Water Code를 채택했다. Water Code는 물 분야에서 3가지 중요한 기능을 규정하는데 다음과 같다.
수자원 관리, 물 시스템 관리, 물 공급과 폐, 오수 서비스의 규제
출처 : AQUASTAT - FAO
□ 상하수도 요금체계
㎥당 취수 요금(아르메니아 댐)
| Sevan 호수를 제외한 지표수 | Sevan 호수의 지표수 | 마시기 적합한 지하수 | 마시기 적합하지 않은 지하수 |
어업 | 1 | 1.5 | 1 | 1 |
산업 | 0.5 | 1.5 | 1 | 1 |
음용수 (가구) | 0.5 | 1.5 | 1 | 1 |
음용수 (공급회사) | 0.025 | 1.5 | 0.05 | 1 |
관개 | 0 | 0.2 | 1 | 0 |
□ 상하수도 예산현황
○ 수자원 운영, 조사, 준수 보장 기관들(Water Resources Management Agency [WRMA], Basin Management Organizations [BMOs], Armenia State Hydrometeorological and Monitoring Service,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Center, Hydrogeological Monitoring Center, State Environmental Inspectorate)은 함께 매년 약 AMD 500백만($ 1.2백만)을 물 관련 활동을 위해 받는다. 이 기관들에서 할당된 모든 업무 및 임무를 완벽하게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돈은 약 AMD 1.7십억으로 추정된다.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물관리 로드맵
○ 직접적인 물 관련 로드맵은 없지만 화석 연료를 이용한 발전의 비율을 줄이고 수력발전, 풍력, 태양열 발전의 비중을 높이고자 나온 2017년에서 2020년까지의 로드맵은 존재
출처 :‘Armenian Roadmap for Renewable Addresses Development Challenges', Renewable Energy World, 2013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National Water Council (NWC) : Prime Minister에 의해서 위임된 물 분야에서 가장 높은 자문기관이다. 이 기관은 물 관리 문제에 대해서 충고하고 정책, 법령문서, National Water Program에 권고를 한다.
○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gency : 본 기관은 물 사용 허가를 통한 수자원 사용을 조절한다.
○ The Vorogum-Jrar Closed Joint Stock Company (CJSC) : 관개와 배수 서비스 제공에 책임이 있다. 이 회사는 강에서 물을 끌어올리거나 다른 곳으로 흘려보내고, 중요 수로들을 관리한다.
○ the State Committee on Water Systems (SCWS) : 지방자치 소유와 관개수 제공, 하수, 폐수 처리 시스템의 관리와 운영 책임이 있다. CJSC의 개선도 포함하는데 이것은 배수 시스템의 운영, 관리도 포함한다.(www.scws.am/)
○ The Armenian State Hydrometeorological and Monitoring Service (Armstatehydromet) and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Center (EIMC): 지표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한다.
○ The Hydrogeological Monitoring Center: 모든 지하수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출처 : AQUASTAT - FAO
□ 병물 사업
○ BMO의 제도적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의 발전
○ 한 유역의 관리지역에 수로 감시 체계의 발전과 실험
○ 현재 사용되는 물의 허가 규제와 기준 설립의 향상
○ State Water Cadastre를 위한 수자원 코드 체계의 발전과 도입을 포함한 단기 프로그램의 발전과 향상
○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향상 그리고 National Water Program의 평가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 해외원조 및 외국인 투자
○ 아르메니아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독립한 이후로, 몇몇의 국제 재무 기관들과 쌍무 기부자들이 기술적, 재무적으로 수자원에 지원하였다.
the World Bank (WB)
International Financial Corporation (IFC),
Asian Development Bank (ADB),
Eurasian Development Bank (EDB),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European Union/European Commission (EU/EC),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OSCE).
The bilateral donors include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Millennium Challenge Corporation (MCC),
KfW Development Bank (KfW),
German Agency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GIZ),
Japanes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uthority (Sida),
Agence Francaise de Developpement (AFD),
Kuwait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 (KF),
the Government of Norway (GoN).
○ 이 중 가장 많은 투자와 아르메니아의 수자원 부문에 참여한 긴 역사를 지닌 곳은 WB, EBRD, USAID. ADB, KfW, JICA로 최근 몇 년간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AFD와 KF는 아르메니아의 새로운 기부자들이다.
○ 아르메니아 소규모 마을에 안전한 식수 공급을 목적으로 European Investment Bank (EIB)에서 상하수도 및 위생설비 복구, 개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규모는 EUR 88백만이며 2013년에 사업 평가를 진행하였다.
출처 : “Towa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Armenia, Winston Yu 외 2명, World Bank, 2015, ‘아르메니아 상하수도 및 위생설비 복구, 건설 사업’, EIB,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