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아랍에미리트연합국(United Arab Emirates)
○ 위 치 : 아시아 아라비아반도 동부, 페르시아만 연안
○ 건국(독립)일 : 1971년 12월 2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83,600㎢(97% 사막지대, 섬 제외)
○ 인 구 : 약 9,856,000명
○ 기 후 : 고온 다습 아열대성기후 및 사막성 기후
○ 수 도 : 아부다비(Abu Dhabi)
○ 주요도시 : 아지만, 두바이, 푸자이라, 라스알카이마, 샤르자, 움알쿠와인
○ 국 기
○ 국가문장
○ 국 조 : 매(Falcon)
□ 정치
○ 정부형태 : 7개 에미리트로 구성된 연방대통령제
○ 실 권 자
- 대통령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하얀
- 총리 : 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 정부구조 : 아랍에미리트의 정부 구조
- 아랍에미리트의 행정부
- 아랍에미리트의 입법부
- 아랍에미리트의 사법부
○ 행정구역 : 아랍에미리트는 7개 토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아부다비 토호국 - 아부다비
2. 아지만 토호국 - 아지만
3. 두바이 토호국 - 두바이
4. 푸자이라 토호국 - 푸자이라
5. 라스알카이마 토호국 - 라스알카이마
6. 샤르자 토호국 - 샤르자
7. 움알쿠와인 토호국 - 움알쿠와인
○ 외 교
- 비동맹 노선 및 역내 협력 강화
· 아랍에미리트는 비동맹 중립정책을 통해 외세로부터 정치·경제적 독립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 문제 불간섭, 주권 독립 존중, 무력에 의한 점령 반대노선을 지켜가고 있다.
· 아랍에미리트는 아랍연맹(AL) 및 이슬람회의기구(OIC)와의 밀접한 협력 관계를 기초로, 특히 걸프협력이사회(GCC) 회원국과는 한가족이라는 인식 하에 협력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 또한 막대한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주변의 중동·아랍국가에 대한 경제 지원을 통해 이슬람권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의 대외원조 규모는 1971년 연방이 창립된 이래 약 1,630억 디르함(약 445억 달러)에 달한다. 이 중 아랍 및 이슬람 국가에 대한 원조가 약 87%를 차지하였다.
· 아랍에미리트는 외국인 체류자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도, 파키스탄 등과도 원만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친서방 노선 유지 및 외교 다변화 노력
· 아랍에미리트는 국익을 우선하는 실리 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북한, 태평양 및 대서양 도서국가, 아프리카 등 미수교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원조를 확대하는 정책 등을 통해 자국의 위상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또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사무국 유치를 비롯해 국제연합(UN)과 같은 국제무대에서의 영향력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 아울러 친미·친서방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과의 안보 협력 그리고 영국·프랑스 등 유럽연합(EU)국가와의 정치·경제적 협력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 외환보유고 : 296.52 (AED - 억) (2016)
○ 교역규모
- 수입 : 896000.00 (AED - 백만) (2015)
- 수출 : 1224300.00 (AED - 백만) (2015)
○ GDP : 3,251억$ (2016)
○ 1인당 GDP : 32,989$ (2016)
○ 경제성장
| 2013 | 2014 | 2015 |
GDP growth (annual %) | 4.3 | 4.6 | 3.9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UAE는 석유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다. 이로 인해 국제유가 및 주변 정세에 매우 민감하다. 2010년 석유산업은 GDP의 31.5%, 재정수입의 75.9%, 수출의 30.1%를 차지할 정도로 UAE 경제에 있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UAE는 2010년 말 기준, 원유 매장량은 세계 6위, 천연가스 매장량은 세계 7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막대한 매장량을 바탕으로 원유 및 천연가스 관련 산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가고 있다.
- 석유산업뿐만 아니라, 지리적 이점 및 정부의 개방정책을 바탕으로 무역산업도 활황을 보이고 있다. UAE는 낮은 조세부담, 우수한 물류 및 금융 인프라, 정부의 적극적인 개방정책 등에 힘입어 중동 최대의 중계무역국가로 성장하였다. 현재 UAE를 통해 전세계 150여 개 국가로 재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 주요자원
- 아랍에미리트는 세계 원유 생산량의 3.3%를 생산하고 있는 세계 6위의 원유 부존국이다. 2010년, 아랍에미리트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은 97.8 billion 배럴이다.
- 또한, 아랍에미리트는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의 1.6%를 생산하고 있는 세계 7위의 천연가스 생산국이기도 하다. 2010년 기준으로 아랍에미리트는 6.0 trillion m3 의 천연가스 부존지를 확인했으며, 이는 세계 총 매장량의 3.2%에 달하는 규모이다.
- 비석유분야에서 아랍에미리트는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파운드리 합금(aluminum foundry alloy), 고순도의 알루미늄, 압출 빌렛(extursion billet) 생산국 중 하나이다. 알루미늄 제련 생산량의 3.4%를 차지한다.
- 이외에도 정유제품, 석고(gypsum), 석회(lime), 시멘트(cement), 황(sulfur), 강철(steel)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사회·문화
○ 언 어 : 공용어(아랍어), 상용어(영어)
○ 민 족 : 에미리트인은 전체 주민의 약 19%이다. 에미리트인 외의 아랍인과 이란인이 23%, 인도계를 중심으로 한 남아시아인이 50%, 동남아시아 및 유럽 등의 이주민이 8%를 차지한다.
○ 종 교 : 이슬람교 신자가 전체의 76%를 차지하며, 힌두교가 10%, 기독교가 9%이며, 그 밖의 종교는 5% 미만이다.
○ 교 육
- 아랍에미리트의 기본 학제는 유치원 및 초등(6세~11세), 중등(12세~14세), 고등학교(15세~17세), 대학교로 구성되며, 9학년까지 의무교육이 제공된다. 여성의 95%, 남성의 80%가 대학 진학 또는 해외 유학을 선택한다.
- 아랍에미리트는 전체 예산의 약 25%를 교육에 투입하고 있어 문맹률은 약 9%로 중동 지역에서 최저 수준이다.
○ 복 지
- 아랍에미리트 자국민의 95%는 국가보험혜택을 누린다. 치과 및 약값 일부를 제외하고는 국가에서 의료비를 전액 제공한다.
- 아랍에미리트 국민들은 주택공급에 대해서 보조금이나 면제를 받을 권리가 있다. 주택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국민들에게 주택 혜택을 제공한다.
○ 축제 / 명절
- 이드 알 아드하(Eid al-Adha) : 이슬람력 제12월 10일에 지내는 이슬람의 축제.
- 라마단(Ramadan) : 이슬람교에서 행하는, 약 한 달가량의 금식기간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 이슬람 문화권에서 금식 기간인 라마단(Ramadan)이 끝나는 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대한 음식을 장만해 축하하는 축제
□ 일반
○ 아랍에미리트는 전 국토의 97%가 사막으로 고온 다습(습도는 50%~60%)한 사막기후를 보인다. 기후는 여름에 매우 더우며 건조하다. 사람들이 많이 사는 연안지역은 여름에 덥고 습한 날씨를 가진다.
출처 : AQUASTAT - FAO
□ 기온
○ 겨울에는 대체적으로 14℃에서 23℃정도의 온화한 날씨를 가진다. 내륙 사막지역은 50℃까지 올라가는 매우 더운 여름날씨를 지녔고, 겨울에는 약 4℃정도의 낮은 온도를 지닌다.
출처 : AQUASTAT - FAO
□ 강수량
○ 강수량 연평균 강수량은 대략 78mm이고, 남쪽사막 Liwa의 경우는 40mm, 북쪽 산맥지역은 160mm정도이다. 연 강수량은 겨울(12월~3월)에 80%이상을 차지한다.
출처 : AQUASTAT - FAO
□ 자연재해
○ 아랍에미리트에 심각한 지진,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최근에 발생한 사례는 없다. 2008년 9월 이란에서 발생한 지진 여진으로 현지의 고층건물이 조금 흔들린 사례가 있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수자원 | 용량(㎦/yr) | 년도 |
지하수(renewable, actual) | 0.1 | 2014 |
지표수(renewable, actual) | 0.2 | 2014 |
총 수자원(renewable, actual) | 0.3 | -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2015
□ 지하수
○ 연간 총 재생가능 한 수자원은 150 million ㎥이지만, 상수하천이 없다. 지하수자원은 동쪽지역 Bajada에 쇄설 상부 및 탄산 하부에 형성된다. 대수층은 Oman, Ras Al Khaymah산맥을 따라 넓은 지역에 선상지 퇴적물로 구성된다. 위쪽 대수층은 모래자갈, 토사로 구성되고 아래쪽 대수층은 석회석, 백운석, 이회토로 구성된다. 대수층의 두께는 200~800m이다.
□ 지표수·수처리·폐수·지하수
○ Bajada 지역의 Dammam, Umm er Radhuma 두 가지 대수층을 지닌 지하수질은 높은 염수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수준은 600 ~2000ppm이다.
출처 : AQUASTAT, FAO
□ 물시장현황
○ UAE 물 시장 규모
- 2010년 기준 중동 지역의 물 산업시장은 224억 1000만 달러인데 이 중 UAE는 38억 달러로 중동 전체 물 산업 시장 규모의 17를 차지함
- 중동 지역의 물 산업시장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이 58억 달러로 전체 중 26를 차지하고 있어 1위이며, UAE가 38억 달러, 17로 2위, 그 다음으로 터키가 36억 달러, 16로 3위를 차지하고 있음
○ 해수담수화 현황
- 전체 물 수요는 3.1㎦/년이며 수요 대비 공급이 크게 부족한 상황
- 2011년 기준 연간 1,700MCM의 물이 담수화를 통해 공급되고 있음
- UAE에서 2013년 기준 담수화는 전체 물 공급량의 79 차지
- 2014년 기준 UAE 아부다비에서 하루 120㎥의 담수를 확보하는 플랜트 가동하고 있음
- Hybrid 방식이 적용된 세계 최초 해수담수화 플랜트
출처 :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 수자원
○ 담수화
- Abu Dhabi는 거의 대부분 비농업적인 수요를 위해 세계에서 가장 담수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이다. 에미레이트의 담수 플랜트의 총 능력은 4백만 m³/d(세계 총량의 12%)를 능가한다. 이 수치는 앞으로 몇 년간 계속 증가할 것이다. 민간 부문은 주로 Independent Water and Power Project 개발 참여를 통해서 담수 공급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플랜트의 대다수가 열을 이용한 담수 과정들에서 잔열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소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ADWEA는 담수막 기술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비용이 더욱 싸기 때문에 미래의 담수화 프로젝트에선 이 기술을 사용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Gulf Coast의 Mirfa IWPP가 완성되면 Abu Dhabi에서 첫 담수막 플랜트가 될 것이다.
- 2013년에 정부는 각 재생 에너지 기반의 담수 플랜트를 개발할 4개의 상업적 파트너(Abengoa, Suez, Veolia Sidem 그리고 Trevi system)를 선정했다. 2015년 11월, 총 1500m³/d의 수용능력을 가진 이들의 4개의 시범 플랜트가 가동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2020년으로 계획된 두 번째 단계로 Masdar는 4개의 시범 플랜트에서 가장 좋은 기술을 적용한 100,000m³/d의 담수화 플랜트를 의뢰할 것이다.
○ 물 재사용
- 2012년, Abu Dhabi 안에서 제 3차 단계에서 다루어진 52%의 폐수(139백 만m³)는 재활용되어 공원, 골프 코스나 그 밖의 녹지에 배수되었고 나머지는 Gulf에 배출되었다. 물 전달 기반 시설의 미개발은 재활용 물의 사용 폭 확장에 있어 장애물이 되었다. 조경에 있어서 재활용 물 수요 증가로 2016년에는 수요가 공급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 송수 능력
- 2014년, Abu Dhabi Transmission and Despatch Company(TRANSCO)는 물 배급 네트워크를 위한 3,115km의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 그들은 2012년 200,000m³/d에서 2020년까지 370,000m³/d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북쪽 에미레이트 수요를 그들의 운영 범위에 포함시켰다. 이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TRANSCO는 Qidfa에서 Al Ain을 연결하는 현존하는 Fujairah Water Transmission System 네트워크 사용을 제안했다. TRANSCO는 또한, Al Mirfa와 Fujairah 플랜트의 송수 능력을 확장할 계획이다.
○ 저수지 및 저장시설
- Abu Dhabi의 물 네트워크는 총 능력 290만 m³를 넘는 123개의 저장용 저수지로 지원되고 있다. 2008년에서 2009년에 북쪽 에미레이트의 담수화 플랜트의 정지를 가져왔던 적조의 위협을 대비하기 위해, 물의 전략적 필요 보존량을 저장하기 위해 이들의 수용 능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2015년, 거주민들의 요구를 90일 동안 만족시킬 수 있는 양인 2천 3백만 m³의 담수 저장 용량을 가진 인공 샘이 Liwa에서 완성되었다. Dubai에선 2015년 Al Lusaily 저수지의 완성으로 전체 물 저장 능력이 3백만 m³에서 3백 6십만 m³으로 증가하였다.
□ 상수도현황
○ 급수구역 인구수 : 6,077,555 명 (2009, 78.5%)
○ 관망 연결수 : 1,475,481 개 (2014)
○ 상수도 시설 수용능력 : 2,683,302,346 m³/yr (2014)
○ 상수도 길이 : 11,501 km (2012)
○ 계량기 보급률 : 90.3 % (2012)
○ 누수율 : 26.2 % (2012)
□ 하수도현황
○ 하수도 인구수 : 6,774,713 (2009, 87.8%)
○ 하수도 연결 수 : 355,565 개 (2014)
○ 하수 생산 규모 : 322,881,000 (2014)
○ 하수 수집율 : 100 % (2009)
○ 2단계로 처리되는 하수 비율 : 1.9% (2014)
○ 3단계로 처리되는 하수 비율 : 98.1% (2014)
○ 하수도 길이 : 6,800 km (2012)
○ 하수처리장의 수 : 69 개 (2014)
○ 실제 하수처리장 수용능력 : 1,788,092 m³/d
□ 물관련 법령현황
○ 음용수, 폐수, 전기 서비스에 대한 사업 지속성 관리(First edition) (2014) : 긴급 상황에서도 Abu Dhabi 내 물, 폐수, 전기 서비스 관련 기관들이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긴급 상황 시 계획을 개발할 것을 의무화하는 규제
○ 수질 규제(Fourth Edition) (2014) : Abu Dhabi에서 허가 받은 기업들이 생산, 송수, 배분하는 음용수의 오염물질 최대 허가 수준을 정의한 규제
○ 재활용 물과 그 부산물 규제 2010 : Abu Dhabi 내에 있는 모든 WWTP들이 만족시켜야하는 재활용 물과 부산물의 질에 대한 표준
○ 산업 폐수 관리 규제 2010 : Abu Dhabi에 있는 산업용 및 상업용 점포에서 배출된 산업 폐수의 수거 및 처리를 통제하는 규제
○ 물 공급 규제 2009 : 소비자들에게 물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을 공급하고 맞추는 배분 기업들의 의무 사항을 구분하는 규제
○ 우물 시공의 통제 및 규제와 이에 대한 행정명령 (2006) : 지하수 보존을 위해서 우물시공을 규제
○ 고객 계량 규제 (2005) : Abu Dhabi 내에서 물 배분 기업들이 공급 및 설치하는 모든 계량기가 요구되는 정확성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최소 표준을 규제
○ 환경의 보호 및 개발을 위한 UAE 연방 법안 No (24) of 1999 : UAE 범위 안에서 적용되는 환경 규제 관련 법적 틀. 음용수와 지하수 보호 관련 부문을 포함한다.
○ Abu Dhabi 에미레이트의 물과 전기 부문 관련 법안 No (2) of 1998 (개정안) (Law No (2)) (1998) : Abu Dhabi 내 물과 전기 관련 운영 중인 공공기관을 규제하기 위한 법적 틀
□ 물관련 정책현황
○ 물 배송 네트워크는 대략 UAE의 인구의 79%를 맡을 수 있다.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TRANSCO는 2016년에서 2020년까지 다양한 송수 계획을 개발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그리고 많은 펌프장과 담수화 플랜트들 사이의 배송 라인을 강화할 예정이다.
○ 2010년, Abu Dhabi에서 생산 된 20%의 담수가 송수 및 분배 과정에서 손실되었다. 2030년까지 물 손실량을 반으로 줄이는 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정부는 배분 시스템 상의 누수를 줄이기 위한 수압 조절 기술을 사용하고, 수도꼭지와 손상된 파이프라인, 밸브의 수리 및 보수를 수행하며, 누수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 Abu Dhabi 내 물 손실을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노력으로, 2009년에 Abu Dhabi Construction Company(ADCC)와 Al Ain Distribution Company(AADC)가 자동적으로 분석하는 스마트 계량기 설치 사업을 시작했다. 이 계량기는 에미레이트 내의 거의 대부분의 거주지에 설치되었다. 2013년, Dubai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DEWA)는 2018년까지 Smart Networks Meter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Dubai 내 모든 거주지에 Smart water 계량기를 설치할 계획을 발표했다. 새로운 계량기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계, 전자 계량기를 대체할 것이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소비자들이 물과 전기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Abu Dhabi의 다음 세기 하수도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부는 Strategic Tunnel Enhancement Program(STEP)을 2016년에 완성하려 하는데, 이는 현재 국가의 하수도 길이를 3배로 늘리기 위해 AED 57억 ($ 16억)의 비용을 쓰는 계획이다.
□ 상하수도 요금체계
○ 2015년 1월부로, UAE의 시민들은 AED 1.7/m³ ($ 0.46/m³)로 가장 낮은 소비 단계에서 관대하게 요금을 책정하였는데, 하루 700L의 물을 사용하는 아파트와 7,000L를 사용하는 빌라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보다 더 많은 물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요금이 조금 더 증가하여 AED 1.89/m³ ($ 0.51/m³)로 책정된다. 이전에는 물이 시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 외국인 거주자와 상업적 사용자들만이 가장 낮게는 AED 5.95/m³ ($ 0.51/m³)만큼의 요금을 항상 지불하였다. 거주자들에게 수도요금을 적용하는 것은 보조금의 감소와 물의 효율적 사용 독려 그리고, 소비 감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키워줄 것이다.
○ Dubai의 경우 상수 변동 요금이 $ 2.45/m³이며 판매세, 하수 변동세, 고정세는 일절 받지 않아 총 요금은 $ 2.45/m³이 된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Abu Dhabi
□ 상하수도 예산현황
○ The Dubai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Dewa)는 어제 상수도 체계와 해당 시설에 Dh 654백만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DEWA는 두바이 전역에 73km, 600~1200mm의 상수도 전달 체계와 추가적인 300km, 100~450mm의 상수도 전달 체계에 투자할 예정이다.
○ 두바이는 121개 이상의 하수도 펌프장을 대체하여 Dh 12.5백만의 비용을 들여 차기 5년 간 새로운 deep tunnel sewerage system을 설치할 계획이다. 새로운 deep tunnel system은 하수 수집에 있어 중력을 이용한다고 두바이 지방 당국의 이사인 Hussain Nasser Lootah가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기술은 하수도 체계에서 상당히 운영비용을 감소시킬 것이고, 운영과 유지보수에서 주기적으로 전기가 필요한 펌프장을 대체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두바이가 좀 더 지속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출처 : 'Dubai plans for enhanced water supply network', The National, 2016
출처 :‘Dubai to get a new sewage system in coming five years', Gulf News, 2016
□ 물관리 로드맵
< Abu Dhabi 수자원 운영 방침 계획 >
Abu Dhabi의 물 관리 행동 계획의 개요 | |
기여하는 사업 | |
a. 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기후에 대한 전송 및 분배. 공기, 토양 및 해양 수질 | b. 모든 분야에 의한 모든 물의 종류를 효율적으로 실내 및 실외 소비하기를 보장; 빌딩, 산업, 농업, 편의시설, 삼림 |
모든 분야 - 생산, 전달, 분배, 소비 1. 세 가지 수자원의 통합관리 | |
유용 - 생산 2. 에너지 계획의 관점에서 물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클린 솔루션을 채택한다. | 빌딩 - 소비 8. 건축 환경에 높은 실내 및 실외 물 효율을 보장한다. |
유용 - 전달 및 분배 3. 담수 네트워크로부터의 물 손실 최소화 4. 물 재활용으로부터의 방출 최소화 | 산업 - 소비 9. 물 효율 산업의 설립을 장려 |
유용 - 생산, 전달 및 분배 5. 해양 및 육상 생태계의 담수의 영향과 재활용 물 관행을 제한 | 농업 - 소비 10. 식량 안보를 확보하면서 농업용 지하수 탈염, 물 재활용 등 물 사용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11. 농업에 의한 지하수의 염분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유용 - 소비 6. 적절한 수요 관리를 보장 | 편의시설 - 소비 12. 낮은 물 요구 사항의 설비 부문을 개발 |
환경 - 보존 및 사용 7. 지하수 보전과 사용을 위한 혁신적인 해결을 탐색 | 산림법 - 소비 13. 낮은 물 요구 사항의 임업 부문을 개발 |
출처 :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Goverment of Abu Dhabi, 2014
□ 물관련 조직현황
○ Ministry of Environment & Water (MoEW) : UAE 내의 수자원 개발 및 운영을 돕는 정책, 계획 전략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 (http://www.moccae.gov.ae/default.aspx)
○ Abu Dhabi Distribution Company (ADDC) : ADWEA의 자회사이며, RSB에게 Abu Dhabi 내에서 음용수 배분에 대한 자격을 받았다. 그들은 ADWEC와 대용량 물 구매 협약을 맺고 있다.
(http://www.addc.ae/enindex.html)
○ Abu Dhabi Sewerage Services Company (ADSSC) : Abu Dhabi 정부의 자회사로 실행위원회의 통제 산하에 있다. 이들은 Abu Dhabi 내에 생활 및 산업 용수 공급자로부터 나오는 폐수의 수거, 정화, 처리를 맡고 있다. 그들은 또한 관개 목적을 위한 재활용 폐수를 배분한다.
(http://www.adssc.ae/ar-ae/Pages/default.aspx)
○ Abu Dhabi Transmission and Despatch Company (TRANSCO) : ADWEA의 자회사이다. 이 회사는 IWPP로부터 Abu Dhabi에 있는 분배 업체들에게 물과 전기를 이송하는데 쓰이는 송수 및 송전 네트워크의 계획, 건설, 운영을 맡고 있다. (http://www.transco.ae/)
○ Abu Dhabi Water & Electricity Company (ADWEC) : ADWEA의 자회사이며, 에미레이트의 IWPP들에서 나오는 전기와 물의 단일 구입자이다. 이 회사는 연간 협약된 용량의 물 공급량만큼을 배분 기업들에게 판매한다. 그리고 에미레이트가 미래 수요를 만족시키는 충분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책임을 가지고 있다. (http://www.adwec.ae/)
○ Abu Dhabi Water & Electricity Authority (ADWEA) : ADWEA는 Abu Dhabi 내에 음용수와 전기에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모든 부분을 담당한다. 전액 출자된 자회사를 통해 고객들에게 음용수를 배분하고, 각 프로젝트의 첫 60% 지분을 통해 에미레이트의 IWPP 조달에 연관되고 있다.
(http://www.adwea.ae/en/home.aspx)
○ Al Ain Distribution Company (AADC) : ADWEA의 자회사이며, RSB로부터 Al Ain에 음용수와 전기를 배분하는데 허가를 받았다. (http://www.aadc.ae/en/default.aspx)
○ Environment Agency - Abu Dhabi : 어떻게 Abu Dhabi의 공기의 질 향상, 지하수 보호, UAE에 있는 사막에서의 생물 다양성과 해양 생태계 관리 조력을 위한 과학 기반의 정책 개발을 맡고 있는 정부 단체
(https://www.ead.ae/SitePages/Home.aspx)
○ Federal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FEWA) : Ajman, Ras Al, Khaimah, Umm Al Quwain 그리고 Fujairah의 에미레이트들 내에서 전기와 물의 생산, 운송, 배분을 맡고 있다.
(http://www.fewa.gov.ae/en/Pages/default.aspx)
○ Regulation & Supervision Bureau (RSB) : Abu Dhabi 내 폐기물, 폐수, 전기 부문에서의 독립적인 규제 기관. 안정적인 전기와 물 공급 및 폐수 처리에 있어서 개발과 유지를 확실히 하는데에 책임이 있다. (http://rsb.gov.ae/)
○ Sharjah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SEWA) : Sharjah 에미레이트 내 물과 전기의 생산, 운반, 배분에 책임이 있다.
(https://www.sewa.gov.ae/en/)
○ Independent Water and Power Plants (IWPP) : Abu Dhabi 정부와 민간부문 간의 합작회사. 이 플랜트들은 Power and Water Purchase Agreement 하에서 물과 전기의 생산과 판매를 한다.
□ 사업
○ 사업
- 두바이 수전력청(Dubai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DEWA)은 총 320만 달러 규모 수도망 사업을 착수하였다.
알쿠드라(Al Qudra) 부터 솔라 파크(Solar Park)까지 총 8.3km에 달하는 지역에 걸쳐 진행되는 해당 사업이 완료되면 솔라 파크 주변 지역의 물수요가 충족될 예정이다.
DEWA는 증가 추세인 수도 서비스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아랍에미리트 수도 효율 및 전송 용량을 증대할 방침이다.
예비수도 공급계획 및 지속가능한 두바이 개발방침과 방향을 함께하는 이번 사업을 통해 대상 지역에 지름 60cm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Reinforced Epoxy, GRE) 파이프가 설치된다.
- 아랍에미리트 환경기업 Utico 사는 증가 추세인 자국 수자원 및 전력 수요량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수도 사업에 약 3억 2,600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투자를 통해 라스알카이마(Ras Al Khaimah)-샤르자(Sharjah) 간 수도 공급 및 상수 저장 사업, 라스알카이마 담수화시설 건설 사업 등이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해당사는 약 1억 1천만 달러 규모의 라스알카이마-샤르자 수도 공급 사업이 착수되었다고 밝혔으며, 이 사업을 통해 양방향 송수 규모 20만㎥, 저장 용량 최대 40만㎥인 시설이 건설될 전망이다. 18~32개월간 2단계를 거쳐 완공될 해당 시설은 2017년 6월 가동되어 150만 명 이상의 지역 주민에 지속적인 수도 공급을 가능케 할 예정이다.
Utico 사 측은 “라스알카이마, 움알쿠와인(Umm Al Quwain), 아지만(Ajman), 샤르자(Sharjah) 지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해 가정·산업용수 수요량이 가중되었다”라며,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라스알카이마와 샤르자 지역 주민 및 기업체에 계속적인 수도 공급이 이루어질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해당사는 스페인 Grupo Cobra 사와 약 2억 달러 규모의 담수화 사업을 공동 진행할 방침이다. 해당 사업을 통해 라스알카이마 지역에 약 8만㎥ 규모의 담수화시설이 구축되어 2018년 가동될 예정이다.
출처 :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 해외원조
○ 외국인 투자
- GE Water & Process
Technologies나 Hitachi Zosen Corporation, 한국의 두산 중공업, 포스코 E&C와 같이
다양한 해외 기업들이 EPC 계약자나 공학 자운, 시스템 통합업체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