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시리아(Syria)
○ 위 치 : 아시아 서부 지중해 연안
○ 건국(독립)일 : 1944년에 프랑스로부터 실질적 독립
○ 면 적 : 185,180km² (88 위)
○ 인 구 : 약 18,564,000명 (61위)
○ 기 후 : 지중해성기후, 내륙성기후, 사막성기후
○ 수 도 : 다마스쿠스(Damascus)
○ 주요도시 : 다마스쿠스, 쿠네이트라, 다라, 수와이다, 홈스, 타르투스, 라타키아, 하마, 이들리브, 알레포, 락까, 데이르에조르, 하사카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아네모네(Anemone)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
○ 실 권 자 : 대통령 : 바샤르 알아사드
○ 총 리 : 이마드 카미스
○ 정부구조
- 시리아의 헌법
· 시리아의 헌법은 1973년 1월 31일 국민투표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사회주의 계획 경제와 인민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한다
- 시리아의 대통령
· 시리아 대통령의 임기는 7년이고, 국회인 인민평의회의 지명(재적 의원 2/3 이상 득표 필요) 및 국민투표(51% 이상 찬성 필요)로 선출한다. 바샤르 알아사드(Bashar al-Assad) 대통령은 2000년 7월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며, 2007년 5월 재선되었다. 헌법에는 국교를 규정하지 않은 대신 대통령은 이슬람교도(무슬림)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알라위파(Alawi派)다. 알라위파는 이슬람 시아파의 한 분파로서 시리아 라타키아(Latakia)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 시리아 대통령은 국가원수인 동시에 행정부의 수반으로 부통령, 총리 및 각료의 임면권과 강력한 행정권을 행사한다. 그리고 헌법상 3군 총사령관 및 바스당(Baath黨) 서기장을 겸직한다. 바스당 서기장직은 현 대통령인 바샤르 알아사드의 아버지인 하페즈 알아사드(Hafez al-Assad) 전 대통령에게 영구 부여되었으며,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바스당의 지역서기장(Regional Secretary General)직을 수임하고 있다.
- 시리아 의회
· 시리아 의회를 인민평의회(People’s Assembly)라고 부르는데, 임기 4년의 25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정당별 득표에 따라 의석수를 배분한다. 집권 바스당(Baath黨)이 1972년 7개 정당 및 각종 직능 단체(총 10개 정당 및 단체로 구성)를 망라하여 국민진보전선(NPF, National Progressive Front)을 결성함으로써 국회를 실질적으로 지배한다. 바샤르 알아사드(Bashar al-Assad) 대통령이 당 서기를 맡고 있다. 2007년 4월 선거 때 총 250석 가운데 국민진보전선이 170석, 무소속이 80석을 차지하였다.
- 시리아의 사법제도
· 시리아의 법원은 일반법원과 행정법원으로 대별되며 최고법원은 헌법 재판소(supreme constitutional court)다. 2008년 3월 상사 재판소(commerce courts)가 설립되었다.
- 시리아의 지방행정
· 시리아는 전국을 14개 주(governorate)로 구분한다. 주지사는 내무부 장관 제청으로 각의에서 임명한다. 주의회는 선출 의원으로 구성된다. 쿠네이트라(Quneitra) 주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이 골란(Golan) 고원에 해당하여 이스라엘에 병합되어 있는 상태다. 주 아래에는 총 60개의 군(distric)과 현(sub-district)이 소재하고 있다
○ 행정구역
- 시리아는 14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는 60개 구와 마을로 나뉜다.
1. 다마스쿠스 주
2. 리프디마슈크 주
3. 쿠네이트라 주
4. 다라 주
5. 수와이다 주
6. 홈스 주
7. 타르투스 주
8. 라타키아 주
9. 하마 주
10. 이들리브 주
11. 알레포 주
12. 락까 주
13. 데이르에조르 주
14. 하사카 주
○ 외 교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시리아는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단독 수교국이다. 대한민국은 시리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시리아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 및 대한민국 정부와 이스라엘의 관계를 고려하여 수교에 미온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리아는 아직까지 대한민국의 미수교국으로 남아 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 시리아는 여행금지 국가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2011년 초반까지는 여행경보 미지정으로 자유로운 어학연수도 가능한 나라였지만 아랍의 봄에 의한 시리아 내전, IS의 발호 등으로 여행 경보가 급격히 격상되었다.
- 이스라엘과의 관계
· 이스라엘과 시리아 양국 정부는 2008년 5월 이후, 터키의 중재로, 간접 평화교섭을 재개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여름 에후드 올메르트 총리가 사의를 표명하여 교섭도 중단되었고 게다가 같은 해 말, 이스라엘의 가자 공격을 이유로 시리아는 교섭동결을 표명하였다. 최대의 초점은 골란고원의 귀속문제인데, 시리아와 이란 간의 관계, 시리아가 지원하는 레바논의 시아파 조직 헤즈볼라의 무장문제 등도 교섭 과제이다. 미국의 오바마 정권은 시리아와의 관계 수복을 도모하여, 평화교섭재개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열의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09년 3월에 발존한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정권도 교섭재개의 원칙을 향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정권은 골란고원 반환에 소극적이고, 시리아도 또한 이 정권에 강한 불신감을 표명하고 있는 등, 교섭재개를 향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아직 없다.
- 러시아와의 관계
· 러시아와의 관계는 1971년에 전략적 동맹관계를 맺었으며, 밀접하게 활발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시리아 파운드(S£, Syrian Pound)
○ 외환보유고 : 4,774 (US$ m) (2012)
○ 교역규모
- 수출 : 84431 (SYP - 백만) (2010)
- 수입 : 75036 (SYP - 백만) (2010)
- GDP : US$ 44,765백만 (2012년 기준)
- 1인당 GDP : 4600달러 (2009년 기준)
- 경제성장
| 2014 | 2015 | 2016 |
GDP growth (annual %) | 3 | 3.5 | -2.30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1시리아의 시멘트 생산량은 2010년 말 기준 연간 10 million Mt 규모였다. 2010년, General Organization for Cement and Building Materials (GOCBM)사는 시리아 내에서 8개의 시멘트 플랜트를 운영해오고 있었고, 약 5 Mt 이상의 시멘트를 생산하였다. 국방부가 운영하는 시 멘트 플랜트는 약 293,000 Mt 을 생산하였다.
· GOCBM는 Tartus 플랜트의 시설 확장을 진행 중에 있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Pharon Commercial Investment Group사가 $50 million 규모의 차관을 연간 400,000 t의 생산량과 맞바꾸는 조건으로 제공한 바 있다.
· First Glass사의 a $164 million 규모의 판유리(flat-glass) 플랜트는 이란 Kaveh Glass Industry Group의 자회사로, 연간 10,000 t 의 유리를 생산하였다.
· 시리아의 인광석 생산 규모는 약 3.8 Mt(2010)로 추정된다. 이는 2.1Mt을 생산한 2009년 대비 70% 이상 성장한 규모로, 국제 시장에서 인광석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리아는 인광석 생산을 확장하기 위해 인도와의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내전 격화로 무산되었다.
- 주요자원 : 시리아는 세계 인광석(Phosphate rock)의 2% 가량을 생산하는 국가로, 세계 9위의 인광석 생산국이다. 시리아는 시멘트, 대리석, 천연 아스팔트, 질소비료, 인 비료, 소금, 강철, 석고, 산업토(産業土)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공용어), 쿠르드어, 아르메니아어, 시리아어
○ 민 족 : 아랍인 90%, 쿠르드인(9%), 아르메니아인, 투르크멘인
○ 종 교 : 이슬람교 수니파 70%, 알라위파 등 이슬람교 시아파 14%, 드루즈교 3%, 기독교 13%
○ 교 육 : 가난한 나라일지라도 교육에 대한 정부의 지출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 시리아 또한 교육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늘어가고 의무교육은 9년이지만 남녀의 평등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지속된 내전과 이슬람 세력과의 충돌로 인해 교육적인 부분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복 지 : 현재 시리아는 5년 넘게 지속된 내전을 통해서 많은 피난민들이 생겼다. 피난민들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으로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UNHCR)은 주로 굶주림에 대한 식량 문제를 해결한다.
○ 축제 / 명절
- 이드 알 아드하(Eid al-Adha) : 이슬람력 제12월 10일에 지내는 이슬람의 축제.
- 라마단(Ramadan) : 이슬람교에서 행하는, 약 한 달가량의 금식기간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 이슬람 문화권에서 금식 기간인 라마단(Ramadan)이 끝나는 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대한 음식을 장만해 축하하는 축제
출처 : KOTRA, 외교부, Trading Economics
□ 일반
○ 시리아 중심부는 건조한 대륙성기후로 밤낮의 온도 차가 크고, 지중해 연안은 여름에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겨울에는 강수량이 많은 온난 다습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 기온
○ 내륙 지방은 건조하고 겨울에는 추운 날씨를 보인다. 시리아의 수도인 다마스쿠스(Damascus)의 평균 기온은 1월 2℃~12℃, 8월은 18℃~37℃이다.
□ 강수량
○ 사막 지대를 제외한 지역의 강우량은 연평균 250㎜ 이하이며, 서부 지역의 경우 750㎜에서 최고 1000㎜로 ‘비옥한 반월 지대(Fertile Crescent)’를 형성하고 있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자연재해
○ 시리아에는 먼지가 많으며 계절적으로 정기적인 모래 폭풍(짙은 황사현상)이 발생한다. 시리아는 지진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진 위험이 있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시리아는 7개의 주요 수분으로 나누어진다 : Barada, Awaj, Al-Yarmouk, Orontes, Dajleh, 그리고 Khabour, Euphrates와 Aleppo, Desert, Coastal 수분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수분은 그들만의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분들에서, 시리아는 21개의 주요 강을 가지고 있고, 이들 중 12개는 지역에서 타국과 공유하고 있으며, 몇몇은 계절적으로 발생하는 강이다. 시리아는 이웃 나라인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터키와 함께 지역의 공유되는 물의 운영을 쉽게 하기 위해서 여러 조약들을 체결했다. 터키, 시리아, 이라크 사이에서 공유되는 Euphrates 강에 대해서, 터키가 최소 시리아에게 500m³/s만큼 방출할 것을 약속하였다. 시리아는 이중 42%만을 사용하며 이라크로 나머지를 보내게 되는데, 이는 연간 시리아가 Euphrates에서 물을 사용하는 용량이 약 6623 MCM이라고 할 수 있다.
○ 시리아는 연간 Tigris 강에서 약 1250 MCM만큼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는 협정을 만들었다. 두 조약은 레바논과 함께 만들어졌다. Orontes 강과 관련된 첫 협약은 1994년에 나왔다. 이 협약은 레바논이 평균 강류가 연간 400 MCM 이상일ㄸ 때 연간 80 MCM은 사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20%를 사용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2002년에 맺은 두 번째 협정은 평균 강유량이 150 MCM인 Al-Kabir Al- Janubi 강에 대해 나와있다. 이 협정은 수문학적 순환에 대해 시리아가 60%, 레바논이 40%로 물을 나누고 있다. 이러한 협정들에 따라, 연간 시리아로 들어오는 총 수자원은 320 + 90 = 410 MCM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 시리아는 8개의 호수들을 가지고 있다 : Al-Assad, Jabbul, Qattineh, Autayba, Khatunieh, Mzereeb, Al-Baath와 Masada이다. Al-Assad 호수는 가장 큰 호수로 674km²이며, 반면 Masada 호수는 가장 작은 호수로 1km²이다. 시리아는 거대한 댐 하나(Euphrates), 중간 규모의 댐 7개(Al-Rastan, Katineh, Teshreen, Al-Baath, AlKabeer, Al-Shemali, Basel Al-Assad와 Mouhardeh), 그리고 약 이러한 수분들에 흩어져 있는 약 140개의 지표 댐이 있으며, 이들은 가정용수와 농업용수로 사용될 빗물을 모은다.
출처 : "Syrian Water Resourc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haldoon A.Mourad and Ronny Berndtsson, 2011, Libertas Academica
□ 지하수
○ MoI는 연간 용천수를 약 1350 MCM으로 추정하며 총 재생 지하수를 약 4811 MCM으로 추정했으며, 이는 모든 용천수와 합법적 우물을 포함한 값이다. 지하수 흐름은 반면에, 약 터키와 레바논으로부터 각각 1200 MCM, 130 MCM이 유입되었다. 하지만, 연간 약 90 MCM, 250 MCM이 시리아를 떠나 요르단과 다른 지역으로 간다.
출처 : "Syrian Water Resourc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haldoon A.Mourad and Ronny Berndtsson, 2011, Libertas Academica
□ 지표수
○ Syrian National Environmental Action Plan of 2003에 따르면 지표수와 지하수가 많은 지역에서 가정하구와 산업폐수로 인해 오염되었다. 예를 들면, Barada 강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의 농도와 암모니아가 1995에서 2000년 사이 모아진 샘플이 86%로 나타나면서 시리아의 표준을 초과하였다. 수분의 우물과 용천수는 하수 배출로 인해 세균 요염이 되었다. Damascus 근처의 Ghouta에 있는 몇몇 우물의 질산염 농도는 음용수 표준에 제시되어 있는 제한을 초과하였다. 무두질 공장들에 의한 폐수 배출로 Al Daiyani 강의 초산크롬의 농도는 리터 당 10mg에 도달했으며 모든 Barada 수분에 위치해 있는 Al Zablatini 구역의 우물에서 허용치의 10배를 초과한다고 조사되었다.
- Orontes 강의 물 샘플에 대해 암모니아, 부유 물질, 생물
출처 :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Syria", Wikipedia
□ 지하수
○ 학적 산소 요구량을 조사한 연구에서 각각의 농도가 허용치를 초과하였으며, 특히, 강의 하류가 심각한 것으로 보았다. 상류에서 물의 수질은 적합했다. Aleppo 전역에 흐르는 Quweiq 강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암모니아, 중금속은 허용치를 초과하였다. 음용수로 사용되는 해변 지역의 우물들은 하수 배출과 비료 사용으로 인해 높은 질산염과 암모니아의 농도가 나타났다. 또한, 해수가 지하수원에 들어오면서 물의 염류집적도 또한 몇몇 우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 음용수
○ 시리아에 있는 도시 대부분의 물은 마시기에 안전하다. 이건 물이 염소 처리되어 있고, 수돗물을 통해서 마시는 물이 아무 문제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몇몇의 대장균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몸의 면역력이 강하지 않다면 적은 양일지라도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
- 시리아의 농촌 지역은 도시와 다르게 물이 오염되어 있어서 수돗물을 바로 마실 정도로 안전하지 않다.
출처 : Is the water safe to drink in
□ 수자원
○ 시리아에는 총 165개의 댐이 있으며 총 저수능력은 19.6km³이다. 그 중 가장 큰 댐은 Euphrates에 있는 Ar-Raqqah 근처에 있는 Tapqa 댐이며, Assad 호수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댐의 목적은 수력발전, 관개용수, Aleppo 지역의 음용수 저장이다. 중간 규모의 댐은 Al-Rastan (0.2km³), Lake Homs Dam(Qattinah, 0.2km³), Mouhardeh (0.07km³)와 Taldo(0.02km³)가 있다.
○ 2007년 기준, Orontes River에는 총 49개의 댐이 있으며 총 저수용량은 1.5km³이거나 평균 연간 강유량의 3배 이상이다. 42개의 댐은 Yarmouk에 있으며 총 저수 용량은 0,3km³이다. 21개의 댐은 해변에 위치해있으며 총 저수 용량은 0.6km³이다.
○ 시리아 내 가정용수의 대부분은 지하수, 우물, 용천수를 이용한다. 하나의 예외는 Aleppo 지역인데 이들은 가정용수를 Assad 저수지에서 수도를 통해서 받아 사용한다. 하지만, Homs의 도시들은 Lake Homs로부터 수도를 통해 Orontes 강의 지표수를 공급받는다.
출처 :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Syria", Wikipedia
□ 상수도현황
○ 시리아의 주요 상수도 시설은 내전으로 인해 거의 파괴되었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
□ 하수도현황
○ 많은 도시와 시골 지역에 하수 처리 플랜트가 없다. 그리고 몇몇 농부들이 관개에서 하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질산염 축적에 의한 지표수와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출처 : Water Status in the Syrian Water Basins, Scientific Reserch, 2012
□ 물관련 법령현황
○ 1924년부터 140개 이상의 물 관련 법안이 통과되고 있다. 물 사용 우선권은 따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물 사용 우선권에 대해 관련된 여러 부서들 사이의 합의가 있다. 음용수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있고, 농업용수, 산업용수가 그 뒤를 잇는다. 우물 시공과 지하수 오염의 금지도 통과되었지만 그것들의 강화를 위한 명확한 차후 단계가 없다.
출처 : "Syrian Arab Republic- Water Management", AQUASTAT
□ 물관련 정책현황
○ 물은 시리아 법에서는 시장과는 별개인 “공공재”로 정의된다. 지표수나 지하수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는 MOI에서 나오는 물 사용 라이센스의 발급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라이센스가 없이 공공 지표수에 펌프를 설치하는 누구든 벌금을 받게 된다. 이 라이센스는 라이센스의 조건을 사용자가 준수하지 않거나, 라이센스 소유자들이 그들이 제시한 목표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면 박탈당할 수 있다. 현재, 라이센스는 배출, 우물 수에 관련하여 명시하고 있으며 우물 최대 깊이를 150m로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센스는 1~3년 혹은 10년 주기로 발급된다. 새로운 우물을 금지하는 매우 강한 법은 5년 이상이 있다. 이 법은 문제가 있는 우물의 개보수는 허용하지만, 새롭게 시공하는 것은 금지한다. 하지만 이 법의 강제성이 약해졌다.
출처 : "Syrian Arab Republic - Water Management", AQUASTAT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농업 부면에서, 물 요금은 전적으로 농민들에 의해서 모아지며 관개수 배분 네트워크의 비용과 운영 및 보수 유지 네트워크를 위한 비용을 합친 비용의 일부분을 보완한다. 이 요금은 $ 70$/ha로 작물의 종류나 사용하는 물의 양과는 관계가 없다. 명백하게, 이는 물 보존에 있어서 어떠한 장려책도 제공하지 않는다.
○ 공공 관개 시스템의 수혜자들은 몇몇 투자에 대해 보충을 하기 위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이 요금은 30년간의 내용연수동안 들어가는 개발비용은 고려하여 계산된다. 하지만, 이자가 부과되거나 인상이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부과되는 양은 ha당 $40에서 $140으로 적은편이다. 이렇게 지불된 요금은 몇몇 규제법으로 통제되며, 시행령은 관개 프로젝트들의 비용을 복구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 관개와 배수 네트워크의 운영 및 보수유지 비용은 지속 관개의 경우 ha당 $ 70, 겨울 관개는 ha당 $ 12의 고정 요금으로 지불된다. 이 요금은 Prime Minister에서 만든 시행령 no.5 of 21/11/1999에서 결정되었다. 기대했던 대로 실제 운영 및 보수유지 비용은 펌프 관개(ha당 $ 110)가 중력 관개(ha당 $ 35이하)보다 상당히 높다. 이러한 요금의 지불 비율은 세계 기준에서도 높은 90%에 근접한다.
출처 : "Syrian Arab Republic - Water Management", AQUASTAT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Ministry of Irrigation (MOI)는 수자원 운영 부문에서의 주요 기관이다. 이 기관은 수자원 운영과 하수의 오수를 포함한 국가의 모든 관개수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MOI는 또한 Water Safety Commitee를 통해 수질을 통제하고 감시하는 것도 맡고 있다.
○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Agrarian Reform (MAAR)은 물의 합리적인 사용, 농업 목적 및 물 소비 최소화, 현대 관개 기술의 사용 독려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다.
○ The Ministry of Local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 (MLAE)은 모든 환경적 문제들을 다루는 것을 담당한다. 게다가, 지역 단계에서의 모든 정부적 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관련된 업무를 가지고 있다. MLAE는 필요한 표준의 제시와 사용되는 모든 물의 수질을 감시를 통해서 환경보호를 담당하고 있다.
○ The Ministry of Housing and Construction (MHC)는 상수와 위생시설 부문에서의 정부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 계획, 실행을 맡고 있다. 이들의 물 및 위생시설 관련 14개의 기관들을 통해, 이들은 물 공급과 위생시설 서비스를 공급하는 일도 맡고 있다.
출처 :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Syria", Wikipedia
□ 병물 사업
○ 티그리스 강 관개 프로젝트
- 티그리스 강 관개 프로젝트는 시리아 정부의 향후 5개년 계획에 포함된 전략 프로젝트 중 최우선 순위임. 티그리스 강 프로젝트를 통해 최근 5년간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산물 주산지인 북동부 지역에 음용수 및 관개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인 식량 공급원 확보에 목적을 두고 있음. 특히 강물을 이용함으로써 계속 고갈돼가는 지하수원을 보호하려는 목적도 있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의 댐과 신규 수처리 관련 시설의 통합 관개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임.
-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추산 비용은 약 22억 달러이며, 프로젝트가 완성될 경우 티그리스 강의 12억5000만㎥의 물을 사용해 북동부지역 주민에게 음용수를 공급할 뿐 아니라 약 21만 헥타르 지역에 관개용수를 공급할 것으로 기대함. 북동부지역 Al-Hasake 주는 밀과 다양한 전략 작물의 주 생산지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정부는 이 지역에서 연간 밀 생산량을 50만t으로 끌어올릴예정임.
- 정부는 5개년 계획을 통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개발에 뒤처져 있던 북동부지역에 균형 있는 개발을 하고자 함. 따라서 경제 및 사회 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렴하고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함. 지역 자원을 사용하며 북동부지역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하며 경제환경 개선에 주력할 예정임.
- 시리아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2025년에 필요한 물의 양은 약 5550억㎥임. 인구 증가와 수자원의 고갈로 2025년에 이르면 안정적으로 식량을 확보할 수 있는 비율은 전체 필요량의 24%에 불과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어 수자원 확보 노력이 시급함. 수자원 확보 노력의 일환으로 2011년 2월부터 시리아는 터키와 공동으로 양국의 국경지역에 있는 오론테스 강에 약1억1500만㎥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댐을 건설함.
○ 하수처리 프로젝트
- 시리아의 중부도시 Hama에서 두 곳의 정수 처리공장을 목적으로 추진 중인 Baida 개발 프로젝트는 2011년 4월 완료됨. 지역주민에서 상수를 공급하는 이 프로젝트에 소요된 비용은 약 1600만 시리아 파운드임. 두 곳의 정수 처리능력은 일일20시간 가동 기준으로 약 100㎥에 이름. 이 지역의 물에 많이 함유된 염분의 농도를 낮추고 Al-Baida 지역 주민 및 가축에 식용수를 공급하게 됨.
- 시리아의 하수처리 프로젝트를 관장하는 Ministry of Housing and Construction에 의하면 2011년에 신규로 추진될 프로젝트는 총 31개소에 최소 35억 시리아 파운드(약 7억5000만 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함. 총 하수 처리규모는 일일 6만7500㎥로 이들 지역의 67만5000명이 혜택을 입게 됨. 시리아의 북부 지역인 Idlib 주에서는 총8개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돼 사용 인구 및 처리량에서 가장 큰 규모임. 규모가 가장 큰 관계로 예상 비용은 아직 미확정임. 두 번째로 큰 규모는 시리아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Homs 주에서 진행하며 세 번째는 최근 5년간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북동부의 Hasakeh 주에서 진행될 예정임.
출처 : “시리아 관개 및 하수 처리 프로젝트 확대”, KOTRA,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