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스리랑카
○ 위 치 : 북유라시아(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 건국(독립)일 : 1948.02.04
○ 면 적 : 65,610㎢(한반도의 1/3)
○ 인 구 : 약20,359,439명
○ 기 후 : 고온다습한 열대성기후
○ 수 도 : 콜롬보(Colombo, 약 70만명, 수도권 약 230만명)
○ 주요도시 : 캔디(Kandy), 갈레(Galle), 쟈프나(Jaffna), 트링코말리 (Trincomalee), 아누라다프라(Anuradhapura)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연꽃(Nelumbo nucifera)
○ 국 조 : 스리랑카 멧닭(Sri Lanka Junglefowl)
□ 정치
○ 정부형태 : 공화제
○ 실 권 자 : 대통령 :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Maithripala Sirisena)
○ 정부구조 : 의원 내각제를 가미한 대통령 중심제
○ 행정구역 : 9개의 주, 25개의 구
○ 외 교 : (국제기구가입)UN('55.12), ICAO, ITU, FAO, UNESCO, UPU, WHO, WMO, IMCO, ILO, IMF, ESCAP, SAARC, 비동맹
□ 경제
○ 화폐단위 : 루피(Rupee) (1$=139Rupee, ‘15.9)
○ 외환보유고 : 6,452 (백만 US$) (2014)
○ 교역규모
- 수출 : 10,898백만불
- 수입 : 19,212백만불('14)
- GDP : 848억$ (2016)
- 1인당 GDP : 3,991$ (2016)
- 경제성장
| 2013 | 2014 | 2015 | 2016 |
GDP growth (annual %) | 5.91 | 1.3 | 4.4 | 5.5 |
- 주요산업 : 농업 12.6% / 제조업 29.8% / 서비스업 57.6% (‘10)
- 주요자원 : 차, 고무, 코코넛, 보석
출처 : trading economics
□ 사회·문화
○ 언 어 : 싱할라어, 타밀어, 영어(3개 공용어)
○ 민 족 : 싱할라족(Sinhalese, 74.9%), 타밀족(Tamil, 15.4%), 무어족 (Moor, 9.2%), 기타 (0.5%)
○ 종 교 : 불교(69%), 힌두교(11%), 이슬람교(7.6%), 기독교(7.5%)
○ 교 육 : 의무교육 10년(6세-15세)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위키백과, IMF, Google
□ 일반
○ 스리랑카는 열대도서국가로 기후는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기후이다.
출처 : 외교부
□ 기온
○ 연평균 기온은 26℃~30℃이다. 사계절의 구분이 없으며 강설도 없다. 수도 콜롬보(Colombo)의 월평균 기온은 24℃~31℃이다.
출처 : 외교부
□ 강수량
○ 연강수량은 2365mm이고 비교적 건조한 편에 속하는 동북해안의 연강수량은 600mm~1800mm이다. 남서부지방은 2000mm~4000mm정도이나, 습윤지대인 중부지방은 5000mm 이상이다. 강수량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지역에 따라 강우량과 시기의 차이가 크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지하수
○ 스리랑카의 재생가능한 수자원은 2011년 기준 52.8㎦이며, 그 중 지하수는 7.8㎦, 지표수는 52.0㎦으로 지표수의 사용비율이 96%를 차지함
< 수자원 현황(2011) > | |
수자원 | 재생가능한 수자원(㎦/yr) |
지하수 | 7.80 |
지표수 | 52.0 |
총 재생가능한 수자원 | 52.8 |
□ 물시장 현황
○ 물 분야의 투자시장 규모는 약 2억5천7백만 달러이며, 투자 및 관리비의 대부분은 공공부문 용수에 소요됨. 공공/공업용수 및 폐수분야 투자 중 설계, 토목관련 투자비율이 58.5%이며, 장비투자가 21.0%에 해당함
|
<물 산업 분야 운영 및 지출 비용 현황(2013년 기준)> |
○ 스리랑카의 공공식수의 투자 금액은 점차 증가할 것이며, 2018년 약 2억 달러 이상일 것으로 전망됨. 수처리 시설, 배수관망분야, 수자원분야 투자증가 양상이 유사하게 나타남
공공식수 자본 지출 전망($ million) |
|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출처 : 워터저널(water journal)
□ 상하수도 정책현황
○ 국가개발계획 정책 중 도시 지역 90% 이상의 인구에게 깨끗한 물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새천년개발목표(MDGs)에 따라 2015년까지 전체 인구의 93%, 2025년까지 전체 국민에게 적절한 위생 시설 공급 목표
○ 스리랑카 국토종합계획 2030
- 2030년을 목표로 장기적인 국가개발 종합계획 및 지역별 개발계획 수립
- 상하수도부가 주무부처이며, 수자원국에서 상수도 공급을 담당하고 하수도는 지자체가 담당하고 있음
- 전후 복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동북부 지역에 하수도 관련 국제 원조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으며, 남부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상하수도 인프라 사업 활발한 추진
- 2013년 기준 상수도 보급률은 39%이며, 15년까지 상수도 보급률을 45.7%로 늘릴 계획에 있으며, 하수 처리율은 2.3%(목표 2.5%)임. 향후 스리랑카 인프라 개발계획에 따라 하수분야의 수요 증가가 예상됨
○ CKDu 프로그램
- 스리랑카 건조지역인 북부 중앙,북서쪽 일부 지역, 우바(Uva), 중앙, 동쪽지방, 북쪽지방에서 수질오염으로 인한 만성신부전증 질병으로 매년 200명 이상 사망함에 따라 깨끗한 물 공급을 통해 질병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립
- 지하수 정화를 위한 소규모 역삼투 처리장 건설 및 물공급차(water bowser)를 이용하여 공동체에 물 공급
- 특정 지역에 기존 파이프 물 공급 체제 서비스 확대
- 물 공급차를 이용한 물 공급이 비경제적인 지역에는 빗물 이용 촉진
출처 :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스리랑카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물관련 조직현황
○ 재정부(Ministry of Finance)
- 식수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투자를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외 자금을 확보하고 보조금을 제공하고,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함
- 상하수도부(Ministry of Water Supply& Drainage)
-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식수 공급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관련 법안 및 정책 수립을 수행함.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물 공급과 하수관리 운영을 담당하며 프로젝트가 필요한 지역을 파악하고 관련 연구 및 실행을 지원함
- 수자원국(National Water Supply & Drainage Board, NWSDB)
- 도시와 소도시의 물 공급 시스템 운영 및 유지를 담당하고 관련된 지자체 및 지역활동 시민단체(Communication Base Organizations, CBOs)에 기술적인 지원과 안내를 제공하며 도시와 지방의 물 공급 프로젝트를 실행함
< 스리랑카 수자원 기구 > |
|
○ 스리랑카공공시설위원회
(Public Utilities Commission of SriLanka, PUCSL)
(http://www.pucsl.gov.lk/english/)
- 도시와 농촌 지역에 공공용수 공급 시스템의 수도관(pipe-borne water)을 공급하며, 관개수와 생수 보급은 포함하지 않음
출처 :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스리랑카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총 9개 주(중앙 주, 북중부 주 등)에서 각 구역별로 소/중/대규모의 물 공급 프로젝트가 스리랑카정부 자금, 국제원조기금을 활용하여 진행 중에 있음.
- 2013년 6월 기준 61개의 중소규모 프로젝트, 대규모 기준 36개로 진행
출처 :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스리랑카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GoSL 펀드 중소규모 물 공급 프로젝트 현황
|
출처 : http://www.waterboard.lk/scripts/ASP/SMWSP_Projects
○ 국제원조기금을 활용한 대규모 물 공급 프로젝트
|
출처 : http://www.waterboard.lk/scripts/ASP/LSWSP_Projects)
○ 국제원조기금을 활용한 대규모 하수 프로젝트
|
□ 해외원조
○ 유상원조(EDCF)
- 2000 Galle광역시 상수도개발사업 26.67백만불
- 2004 Galle 광역시 상수도개발사업(2차) 14.80백만불
- 2006 Galle 광역시 상수도 개발사업(2차) 보충융자 6.44백만불
- 2008 Ruhunupura 상수도 개발사업 76.34백만불
- 2013 데두루오야 상수도 개발사업 58.16백만불
- 2013 루완웰라 상수도 개발사업 20.53백만불
○ 무상원조(KOICA)
- 스리랑카 발라체나이 지역 홍수피해 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설치사업(‘06-’09/ 390.71만불)
- 디길리오야 다목적댐 타당성조사 및 실시설계 사업 (‘13-’15/ 250만불)
○ 2015년 지원계획
- (EDCF) Ruhunupura 상수도 개발사업 프로젝트 881억원 2008-2015 84억원
- (EDCF) 데두루 오야 상수도 사업 프로젝트 626억원 2014-2017 115억원
- (EDCF) 루완웰라 상수도 사업 프로젝트 626억원 2014-2017 40억원
출처 : ODA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