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 (Kingdom of Saudi Arabia)
○ 위 치 : 아라비아 반도
○ 건국(독립)일 : 1932년 9월 23일 (사우디 왕국 선포일)
○ 면 적 : 215만 km²(아라비아반도의 4/5차지,한반도의 10배) (2014)
○ 인 구 : 총 3,077만 명(사우디인 2070만명, 외국인 1010만명) (2014)
○ 기 후
- 리야드 등 내륙지역 : 일반적으로 고온 건조
- 젯다 등 홍해연안과 담맘 등 걸프연안: 고온다습 (평균 섭씨 32~34도, 최고 54도, 최저0도)
○ 수 도 : 리야드(Riyadh)
○ 주요도시 : 리야드 (583만), 제다 (350만), 메카 (160만), 메디나 (110만), 담맘 (80만)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대추야자
○ 국 조 : 매
□ 정치
○ 정부형태 : 전제 군주제(정교 일치)
○ 실 권 자 : Salman bin abdulaziz al-saud (2015. 1. 23.취임)
○ 정부구조
- 아랍 및 이슬람 주권국으로서 정의되며, 국교는 이슬람, 헌법은 쿠란과 순나에 기초
- 국왕은 총리직을 겸하고 샤리아(이슬람 법)과 국가 일반정책들의 적용을 보장하도록 하며 국가의 보호와 방위를 지휘/감독하는 입법, 사법, 행정의 3권을 행사하며 종교수장을 겸직
○ 행정구역
- 사우디아라비아는 13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1. 바하 주 (바하)
2. 북부 변경 주 (아라르)
3. 자우프 주 (자우프)
4. 메디나 주 (메디나)
5. 카심 주 (부라이다)
6. 리야드 주 (리야드)
7. 동부 주 (담맘)
8. 아시르 주 (아브하)
9. 하일 주 (하일)
10. 지잔 주 (지잔)
11. 메카 주 (메카)
12. 나지란 주 (나지란)
13. 타부크 주 (타부크)
○ 외 교
- 사우디아라비아는 전통적 외교 정책 기조인 주권 존중, 독립, 내정 불간섭 원칙에 입각하여 모든 국가들과 선린 우호 관계 유지, 양자 지역 간 상호협력 증진, 적대 행위금지, 지역 및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계승하고 있다.
- 지리적으로 동서양이 교차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동 타국가에 비해 안정된 정부와 활발히 성장하는 사회와 경제를 바탕으로 아랍 및 이슬람 국가들의 중심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또한 국제 및 지역기구에서 아랍, 이슬람 세력을 대변하고 해당 국가들에 대한 정치, 경제적 지원강화를 통해 사우디의 위상제고를 추진하고 있다.
- 특히, 대미의존도 감소를 위해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등 소위 동방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Saudi Arabian Riyal(SAR)
○ 외환보유고 : $US 6,800억 (2015.12)
○ 교역규모
- 2013년 수출 5440억 달러, 수입 1,681억 달러를 총 교역액은 5,440억 달러를 기록했다.
- 무역수지는 2077억 달러 흑자로 최근 4년간 지속적인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 2013년은 2012년 대비 수출은 3.2%감소, 수입은 8%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10.7% 감소했다.
○ GDP : GDP 7,574억 (2015)
○ 1인당 GDP : GDP 6,183억$ 세계20위 (2016 IMF 기준)
○ 경제성장 : 실질경제성장률 2.8%(2015)
○ 주요산업 : 제조업 60%, 서비스업 38%, 농업 2% ('14)
○ 주요자원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의 확인된 유전들 중 2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정부는 자국 내 채굴에 관한 배타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
· 2010년, 저품위의 철광석, 보크사이트(bauxite)를 비롯하여 시멘트, 점토, 에탄(ethane), 메탄(methane), 프로판(propane), 직접환원철(direct-reduced iron), 납(lead), 화산회(pozzolana) 등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산업은 국가예산의 80%, 수출액의 90%, GDP의 4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 1위의 석유, 천연가스 생산국이자 세계 8위의 정유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사회· 문화
○ 언 어 : 아랍어
○ 민 족 : 아랍족(아랍 90%), 제다(350만), 메카(160만), 메디나 (110만), 담맘(80만)
○ 종 교 : 이슬람교(수니파 90%, 시아파10%)
○ 교 육
- 사우디아라비아의 학교교육은 종교교육에 편중되어서 생활경제 여건이나 산업분야와는 괴리되어 있다.
- 사우디 왕국에서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고급인력과 기술인력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우디정부는 1990년대부터 산업전반에 걸친자국화정책(Saudization)을 추진하면서 교육에 있어서도 직업, 전문교육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고등교육은 국립 및 사립대학 모두 고등교육부에서 관장한다. 한편 고등교육위원회는 고등교육의 전반적인 정책을 제안하고 학술연구에 대한 국가정책의 제안 및 적용을 감독한다.
○ 복 지
- 1970년대 석유 붐 기간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수출로부터 엄청난 재원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세금제도를 통한 정부의 재원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 그 결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실상 모든 간접세를 포함하여 자국민에게 부과 되었던 각종 세금을 철회하였다.
· 사우디 등 걸프 지역 산유 부국은 국민의 지출 부담을 줄여 왕가에 대한 우호적인 민심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 재정으로 보조금을 지급, 생활필수품과 에너지 가격을 낮게 유지하는 정책을 편다.
○ 축제 / 명절
- 자나드리아 페스티벌
- 이드 알아드하
출처 : KOTRA, 외교부, IMF
□ 일반
○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으로 남서부 홍해 연안의 예멘 접경 지역인 아시르 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고온건조
○ 내륙지방 : 고온건조
○ 홍해 및 걸프 연안 등 해안지방 : 습한기후 병존
○ 중부 및 북부 내륙지방 : 사막성 기후, 기온은 연평균 32~38도, 여름철에는 45~50도로 매우건조
출처 : KOTRA 국가개황
□ 기온
○ 연교차가 매우 심한 편
- 연중 최저 기온 섭씨 0에서 최고기온은 섭씨 50도를 넘기도 함
-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일교차도 매우 심하고 겨울 시즌에는 해가 지고 나면 추위를 느낄 정도
출처 : KOTRA 국가개황
□ 강수량
○ 강우량이 극히 적은 사막성 기후
- 비가 제일 많이 오는 제다(Jeddah)의 강수량은 연평균 284mm에 불과, 비가 적은 아라르는 연간 총 6.3m
출처 : KOTRA 국가개황
□ 자연재해
○ 진도 3~5 규모의 지진이 연중 1~2회 정도 발생하나 기록될 만한 큰 피해는 없었음
○ 가끔 심한 샌드스톰(모래폭풍)이 불어오는 경우도 있음. 샌드 스톰이 불때면 돌풍과 강우가 동반
○ 동절기에는 열대성 소나기가 내리는데, 그 횟수가 증가하고 있음.
출처 : KOTRA 국가개황
□ 지표수·지하수
○ 지하수는 사우디아라비아 총 급수량의 약 40%를 차지하지만 지나친 양수로 인해 용수가 마르고 대수층에 대량의 해수가 스며들어 오염되자 사우디 정부는 지하수 이용을 크게 줄이고 있음
- 사우디 정부는 처리된 폐수(TSE)와 담수화 사용량이 늘어난 가운데 보다 효율적인 농법이 도입되면 지하수 이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주장
출처 :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 지표수
○ 나트륨의 비율은 19~66%로 평균 46%이며, 이는 대부분의 지역의 물이 관개에 있어서 필요한 물의 적합성을 나타낸다. Nemerow의 공해 지표는 1~11의 범위로 평균 5이며, 이는 대부분 도시들의 물이 좋은 상태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래도 해당 연구 지역의 물을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지 않고 생활에 이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츌처 : Evaluation of the suitablity of surface water from Riyadh Mainstream Saudi Arabia for a variety of uses, Ahmed A. Al-Othman, 2015
□ 하수, 배출수
○ 이전에 배수는 높은 염분을 가진 물이었으며, 높은 수준의 질산염과 인산염 성분을 가지고 있었고, B concentration은 허용 제한치 이상이었다. 그래서, 배수의 재사용은 오직 특별한 상황에서만 추천되었다. 추가 연구에서는 미생물학적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출처 : Evaluation of drainage water quality to be reused for irrigation purposes in riyadh area, Saudi Arabia, Ahmed A. Al-Othman, 2008
□ 음용수
○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몇몇 지역에서는 음용수로 쓰이는 지하수가 불소 허용치인 0.7~1.2mg/L를 초과하여 자연적으로 오염되고 있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ion in Saudi Arabia
□ 물시장 현황
○ 사우디아라비아는 급격한 인구증가와 막대한 수자원 낭비로 자원고갈 직면
-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자원은 미국의 1/75이나 일인당 물소비량은 1/2 이상
- 사우디아라비아의 1인당 1일 물사용량은 235리터에 달함
- 인구는 2010년 2750만에서 2015년 3050만, 2020년 3350만 명으로 급증 예상
- 사우디아라비아의 음용수 점유율은 담수 50%, 지표수 10%, 지하수 40%로 파악됨.
- 연간 물 사용량은 25억㎥, 절반가량인 11억㎥은 담수 생산으로 충당
출처 : 환경부
□ 수자원
○ 사우디는 사막기후의 특성상 년 중 강우량이 매우 낮고, 영구하천과 대규모 물 공급원이 없어 강우, 지하수, 담수 그리고 매우 부족한 지표수로 물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는 실정이다.
- 사우디의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물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었으며, 건조한 사막기후에 따른 낮은 강수량으로 대부분의 물 수요는 지하수에 의존하여 왔고, 점차 고갈상태에 직면하게 될 위험에 처해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지하수 매장량은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85~1990)기간 중 측정한 기록이 정부 발표의 유일한 수치로 약 5,000억㎥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사용하면서 현재의 매장량은 훨씬 적은 것으로 추정 된다.
출처 : KOTRA,중동3국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및진출전략수립보고서
□ 상·하수도 현황
○ 상·하수도 시설이 부족하여 수요에 크게 미흡한 수준인데, 상수도 비율은 2004년 기준으로 67%수준에 머물러 있고, 하수도 비율은 30%수준에 그치고 있다.
○ 이와 같이 하수관 연결비율이 지극히 낮음에 따라 물을 소비한 후 재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지하수 확보를 위해 더욱 깊이 파야 하는 등 지하수 고갈에 따른 물 부족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안으로 담수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사우디 수전력부 전망에 의하면 향후 약 20년간 약 3,65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
○ 하수 처리
- 가정하수 처리수준은 1999년 26%에서 2003년 30%로 증가하였음.
- 하수처리장은 26개에서 37개로 증가하였는데, 하수처리량은 가정, 상업 및 산업 폐수 전체의 22%에 해당하는 1.5 million m³/day의 규모임. 단, Jubail과 Yanbu 산업도시의 하수처리비율이 100%라는 것은 주목할 만함.
출처 : KOTRA,중동3국환경산업시장현황조사및진출전략수립보고서
□ 상하수도 법령현황
○ 수전력부 설립 이후, 다양한 물 관련 법의 개정, 재구성을 위해 검토 중. 한편 농업부는 농업 관련 정책을 검토 중이나, 관개 및 물 사용에 관해 중복되는 불확실한 영역 있음
출처 : AQUASTAT, 2008
□ 상하수도 정책현황
○ 농업부는 농부들이 물 절약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장려함. 또한, 농업에서 지하수 고갈에 관련한 프로그램 및 보조금에 대한 규정을 개정하고, 농업부 및 다른 기관에서 관개 물 관리 훈련 및 워크숍 진행
- 일부 교육은 FAO 등 국제기구의 협력으로 이루어짐
○ 현재, 물 분야 전체를 개편하기 위해 세계은행과 협력 프로그램 시행 중
- 사우디아라비아는 역량 개발에 관한 전략 부재, 열악한 정보 관리 시스템, 물 이용자 협회 부재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출처 : AQUASTAT, 2008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전력 및 물 부문에 판매되는 석유와 가스에 대해 정부가 설정한 요금을 2015년 12월, 32년 만에 최초로 인상
- 요금 인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막 해수담수화를 위한 운동장의 평탄작업에 도움이 되나, 물 부문의 시장화는 Gulf 해안에서 해수담수화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킬 수도 있음.
출처 : 환경부
□ 상하수도 예산현황
○ 담수화를 포함한 모든 물, 배수시설 관련 투자는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예산 투자를 통해 자금이 조달된다. 7번째, 8번째 개발 계획(2000~2005년과 2006~2010년은 담당하던)의 물 관련 개발의 10년 할당분은 각각 Saudi Riyal 34.9 billion (US$9.2 billion), 그리고 Saudi Riyal 41.6 billion (US$11.1 billion)이었으며 모두 연간 약 US$2 billion 수준이었다. 1975년에서 2000년 사이의 물과 위생시설 투자 비용은 $ 100십억 이상으로 추정되며, 2002~2022년 사이 연간 6.5십억, 혹은 $ 200십억과 함께 추가적으로 $ 130십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Saudi
Arabia
□ 물관련 조직현황
○ 사우디아라비아는 광대한 국토와 함께 다른 나라 보다 인구가 2배 이상 많은 걸프만 연안국 최대의 물 시장으로 물 사업은 복수의 공공기관이 관할하고 있음.
○ 담수청(Saline Water Conversion Corporation, SWCC)
- 해수 담수화 주요 송수시설을 보유
- http://www.swcc.gov.sa/Arabic/Pages/Home.aspx
○ 수전력부(Ministry of Water & Electricity)
- (http://www.mowe.gov.sa/enindex.aspx?AspxAutoDetectCookieSupport=1)
○ 수자원공사(National Water Company: NWC)
- 2008년 국영기업으로 운영하수집수, 하수처리 인프라 건설에 20년간 230억 달러 투자 예정
- 현행 폐수 네트워크 대상지역 수준을 현행 45%에서 100%로 개선 예정
- 리야드, 제다 지역에 13억 달러 상당의 80개 하수처리 프로젝트 추진
- 용수 수송, 하수 처리
- Makkah, Taif 지역 용수·하수처리 시설 운영
- 프랑스-사우디아라비아 기업 컨소시엄을 통해 4600만 달러 프로젝트 공동 수행 중
- NWC,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의 46% 대상 물공급 예상
- 전체 인구 2500만 명 중 1200만 명 대상
- https://www.nwc.com.sa/English/Pages/default.aspx
○ 사우디물과학사회(Saudi Water Science Society): 킹파드석유광물대학교(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물 문제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 과학자, 기업인 등을 위해 설립된 조직
출처 : 환경부
□ 사업
○ 사우디는 UAE에 이은 세계 2위 담수화 시장으로 1928년 제다(Jedda)에 최초시설이 설치됐으며 2009년에는 물 수요 전체의 약 60%를 충족하는 약 9억g/d의 용량급 시설이 설치됨
- 최대 담수생산자인 SWCC가 소유한 플랜트는 서해안에 13기, 동해안에 3기이며 용량은 총 약 6억 4,000만g/d임
- 또한 SWCC는 민영화 계획하에 2009년 2억 2,700만g/d의 용량을 가동한 Water & Electricity Company(WEC)의 자본도 50% 보유하고 있음
- 이 밖에도 Power & Water Utility Company for Jubail & Yanbu(Marafiq)가 홍해 연안 공업도시 얀부에서 2,100만g/d의 플랜트를 조업하고 있음
○ 최근 사우디의 물 수요는 연 평균 6%씩 증가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수요 증가와 1990년대 후반의 투자 부족, 담수화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최근 5년간 담수화 용량을 확대 계획을 앞당겨 착수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음
- 2009년에만 2억 3,000만g/d을 넘는 용량의 조업을 시작했으며 2010년∼2011년 동부지역 주베일(Jubail)에서 약 2억 8,000만g/d의 조업이 시작될 예정임
○ 동·서해안 모두 담수화 용량 증강이 계획돼 있는데 SWCC는 2010년 라스알주르(Ras Al Zour)에 국내 최대 담수화 플랜트가 될 2억 2,500만 g/d급 코제너레이션 시설 건설에 대한 계약을 체결함
- 또한 얀부에서는 마라픽(Marafiq)과 협력해 예정용량 1억 2,100만g/d급 플랜트 건설 계획을 진행하고 있음
- 사우디에게 노후된 기존 담수화 인프라는 큰 문제로 인프라 대부분이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건설됐기 때문에, SWCC는 2012년까지 현행 용량의 절반이 넘는 4억 8,000만g/d급 용량을 보유한 플랜트 12기를 폐기할 예정임
- 향후 10년간 플랜트가 추가 폐기될 가능성도 있는데 2006년 SWCC가 추산한 바에 따르면 증가하는 수요를 흡수하며 대응하려면 2024년까지 새로운 용량으로 12억 9,000만g/d를 추가해야 함
○ SWCC는 플랜트에 다양한 담수화 기술을 조합하고 있는데 주변 국가와 달리 페르시아만 연안 보다 해수조건이 기술적으로 적합한 홍해의 해안선에서는 역삼투압(RO)방식을 도입했음
- 현재 다단증발(MSF)방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원격지의 소형플랜트에는 다단효용(MED)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MED 방식은 2010년 주베일에서 조업을 시작하는 대형 플랜트에도 이용됨
○ 사우디아라비아의 민영화 정책은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2005년에는 민영화 프로그램의 감독기관으로 설립된 WEC가 쇼아이바(Shuaibah)에서 최초의 민자담수발전(IWPP) 사업을 발주함
- WEC는 이후 3년간 슈카이크IWPP와 쇼아이바 확장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무리했으며 Marafiq은 주베일에서의 첫 번째 프로젝트를 완성시킴
- 2008년 말까지 신규용량 약 4억 5,000만g/d의 생산을 민간에 위탁했으며 이 밖에도 많은 민영화 사업을 계획한 가운데 2009년에는 WEC와 Marafiq이 라스알주르(Ras Al Zour)와 얀부의 IWPP 입찰을 실시함
- 그러나 역내는 물론 세계적인 프로젝트 파이낸스 시장의 침체로 이들 두 개의 IWPP는 중지되고 SWCC의 책임 하에 기존의 정부출자 프로젝트로 변경됨
- 한편 사우디 정부는 프로젝트 파이낸스 시장이 회복되면 민영화 계획이 다시 활성화되고 더불어 SWCC와 그 자산의 민영화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민영화 계획에 따라 많은 사업자가 다수의 담수화 사업에 참여하게 됐으며 최대 사업자는 리야드에 본사를 둔 ACWA Power로 조수량은 1억 3,000만g/d 규모이며 쿠웨이트의 Gulf Investment Corporation, 프랑스 GDF Suez가 뒤를 잇고 있음
- 플랜트 건설에서는 두산중공업이 강력한 입지를 구축한 가운데 일본의 미쓰비시상사와 프랑스 Sidem 역시 지난 5년간 수주를 획득
출처 :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
□ 해외원조
○ 2000년부터 총 821,680 USD가 ODA로 물과 위생시설 부문에 지원되었다. 이는 매우 다양하게 분배가 되었다.
○ 프로젝트에 가장 많이 관여한 나라로는 프랑스와 일본으로 MAE가 2000~2007년 사이 5개, JICA가 9개의 프로젝트를 지원하였다.
출처 : Water supply & sanitation, Open Ai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