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브루나이 (Negara Brunei Darussalam)
○ 위 치 : 보르네오 서북연안, 동부말레이시아 사라와크주에 의해 양분
○ 건국(독립)일 : 1984.1.1
○ 면 적 : 6천 km2 (한반도의 1/40)
○ 인 구 : 41.6만 명 ('13)
○ 기 후 : 고온다습한 열대성
○ 수 도 : Bandar Seri Begawan (2.2만 명)
○ 주요도시 : Muara, Seria, Kuala Belait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심푸르 (Sumpur)
○ 국 조 : 독수리
□ 정치
○ 정부형태 : 전제군주제
○ 실 권 자 : Sultan Hassanal Bolkiah Mu’izzaddin 국왕
○ 정부구조
- 정부
· 총리실과 11개 부로 구성
· 국왕은 총리와 재무장관, 국방장관을 겸임
· 왕세자는 총리실의 선임장관(Senior Minister)을 겸임
- 입법부
· 독립 이전 국왕이 임명하는 의원으로 구성된 명목상의 입법원(Legislative Council)운영
· 984년 독립 후 입법원 해산, 2004년 9월 재개원
국왕에 의해 임명된 29명의 의원으로 구성
1년에 한 번 정부예산 승인을 위해 형식적으로 회합
· 자문기관으로 국왕이 임명하는 추밀원(State재판소, 군사재판소Council, 위원 33명)이 있으며, 국제의원연맹 등에는 의장이 참석
- 사법부
· 형식상 독립기구이나 실제로는 국왕에 종속(고등법원장은 국왕이 임명)
· 구 성
최고법원 : 고등법원과 상고법원으로 구성
중급법원 : 1991년에 설치, 2명의 브루나이인 법관으로 구성
하급법원 : 치안법원으로서 민·형사 사건을 관할
종교법원 : 이슬람교 및 혼인문제 관할
- 지방행정
· 4개 지방 행정구역 및 지방청 소재지
Brunei/Muara 지역 - Bandar Seri Begawan
Tutong 지역 - Tutong
Belait 지역 - Kuala Belait
Temburong 지역 - Bangar
· 지방청은 중앙정부와 지역주민 간 의사소통의 채널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산하에 Mukim(대표 : Penghulu) 및 Kampong(장 : Ketua)설치
· 지방청장은 정례적(최소 월 1회)으로 Mukim 및 Kampong 대표와 회합, 지역 문제 논의
- Kampong마다 협의기구를 구성, 민의의 상달기구로 활용
- 지역위원회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 향상을 위한 각종 시설 제공 및 경제활동에 적합한 지역환경 조성 등의 역할 담당
· Bandar Seri Begawan Municipal Board
· Kuala Belait/Seria Municipal Board
· Tutong Municipal Board
○ 행정구역 : 브루나이는 4개 구로 구성되어 있다.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은 행정 중심지)
- 블라잇 구 (쿠알라블라잇)
- 브루네이무아라 구 (반다르스리브가완)
- 틈부롱 구 (방아르)
- 투통 구 (프칸투통)
|
○ 외 교
- 이슬람 왕정 수호 및 독립 보장과 경제적 안정을 위한 수출 원유가 안정 확보가 주요 정책과제
- 이를 위해 친 서방정책, ASEAN과의 결속, 이슬람 국가 및 자유진영 국가와의 유대 강화
- 미묘한 국제문제에 대한 관여를 기피하는 중립 노선을 채택
· 대외문제에 대한 논평이나 대외발표 자제 주요 대외정책
- 친 서방정책 추구
· 자유경제체제 및 이슬람왕정체제 특성상 친 서방노선을 채택
· 냉전종식 이후 사회주의권과의 관계 정상화 추진
- ASEAN과의 결속 강화 및 주변국과의 우호선린관계 유지
· ASEAN의 일원으로 ASEAN의 입장을 적극 수용하고 공동 보조를 취하며, 특히 주변의 강대국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태도를 중시하는 경향
- 이슬람권 국가와의 친선 관계 강화
· 이슬람 절대왕정 유지책의 일환
- 국제기구에 적극 참여
· UN, ASEAN, 영연방기구, APEC, ASEM, 이슬람회의기구(OIC) 등에 적극동참함으로써 지역문제 토의 및 결정과정에 참여 추진
· 보스니아 사태, PLO 독립 등 UN을 통한 국제분쟁 해결 노력에 적극 가담, UNTAC 평화유지군에 12명의 경찰 파견(1992.11)
- 수교 현황 (2011년 4월 기준)
· 수교국 : 115개국
· 35개국에 39개 상주공관 설치(대사관 33개, 대표부 2개 및 총영사관 4개)
· 27개국, 브루나이에 상주공관 설치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한국,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파키스탄, 오만, 이란, 인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방글라데시, 쿠웨이트, 카타르, 러시아
□ 경제
○ 화폐단위 : Brunei Dollar (Br$)
○ 외환보유고 : 2,961 (2012)
○ 교역규모
- 수출 : 114US$ 억
- 수입 : 36US$ 억 (2013) * CEIC,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IA, IMF, EIU
- GDP : 166억 달러(‘12)
- 1인당 GDP : 41,702 달러 (‘12)
- 경제성장 : 경제성장률:0.9%, 소비자물가상승률:0.5% (2012)
- 주요산업 : ('11) 제조업 71.7%, 서비스업 27.7%, 농업 0.6%
- 주요자원 : 원유, 천연가스
□ 사회·문화
○ 언 어 : 말레이(공식어), 영어, 중국어
○ 민 족 : 말레이계(66.3%), 중국계(11.2%), 토착인종(3.4%) 등
○ 종 교 : 이슬람교(공식, 67%), 불교(13%), 기독교(10%) 등
○ 교 육
- 일반 현황
· 자국민의 국립학교 수학은 무상교육
· 2008년부터‘SPN-21'(21세기 신교육체제)을 구축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개별능력에 따라 수학기간 단축, 학과목 선택권 다양화 등 다각적 교육 향상에 중점을 두고 시행 중
· 만 6세에 취학하여, 초등학교(Primary) 6년, 중?고등학교(Secondary) 4~5년, 대학예비과정(A-레벨) 2년을 마치고 대학 진학 가능
· 중·고등학교(Secondary) 2년을 마치고 시험을 거쳐 일반교육, 응용교육, 특별교육(각 분야에 재능있는 우수학생), 특수교육으로 구분되어 진학하며, 성적이 우수하면 일반교육을 4년으로 단축 가능
· 중·고등학교 4~5년(10 또는 11학년)을 마치면 BCGC O-레벨(브루나이-캠브리지공동주관) 시험을 치르고 합격하면 중·고등과정 이수를 인정
· 대학예비과정으로 A-레벨 과정, 간호학교, 기술학교, 특별과정 중에서 선택
A-레벨 과정을 수료한 후, BCGCE A-레벨 시험을 치르고 대학 진학
· 종합대학은 브루나이 국립대학교 University Brunei Darussalam(UBD) 1개
- 학제현황
|
○ 복 지
평균수명 | 78세 ('11) | 1인당 GNI | 31,800달러('09) |
절대빈곤계층비율 | - | 1인당 CO2 방출량 | 23,686kg ('09) |
이동통신가입자수(백명당) | 109명 ('11) | 도로포장률 | 81% ('10) |
인터넷사용자수(백명당) | 56명 ('11) | 1인당에너지소비량(석유환산) | 8,308kg ('10) |
○ 축제 / 명절 : 브루나이는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은 나라답게 이슬람 관련 축제가 많이 열린다. 또한 국왕이 통치하는 절 대 왕정 체제이기 때문에 왕가와 관련된 축제와 행사가 많다.
- 브루나이 국왕탄신일 (Birthday of Sultan of Brunei) : 현 브루나이의 국왕인 하지 하사날 볼키아 Haji Hassanal Bolkiah의 탄신일인 7월 15일은 브루나이 최고의 축제날이다. 한 달 전인 6월 15일부터 진행되는 이 축제 기간은 최근 관광객들의 인기 상품으로 떠올랐다. 술을 금지하는 이슬람의 율법상 흥청망청하는 유흥은 없지만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국왕은 생일을 맞아 국민들의 빚을 갚아주 기도 한다.
- 마울루드 나비 무하맛 (Maulud Nabi Muhammad) : 3월~4월에 찾아오는 이슬람교의 대 예언자 마호메드 탄신일. 전 세계 이슬람교도들에게 각별한 이 날을 맞이하여 모든 가정과 사원, 학교 등에서 약 한 달 동안 축하행사를 벌인다.
- 하리라야 아이딜피트리 (Hari Raya Aidilfitri) : 브루나이를 비롯한 이슬람국가 최대의 축제로, 금식하는 달인 라마단 Ramadan이 끝나는 날이자 이슬람 달력의 10번째 달인 샤왈 Syawal의 첫째 날. 하리라야 아이딜피트리때는 평소 공개하지 않던 왕궁을 3일 동안 개방하고, 불꽃놀이를 비롯해 시내 곳곳에서 다 양한 행사를 연다. 브루나이 사람들은 집을 활짝 열고 친구와 이웃들을 초대해 음식을 나눠 먹으며 즐긴다.
출처 : 브루나이 시장 현황,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수출입은행 2014 세계국가편람,브루나이 개황 2011, 외교통상부, 위키백과, 브루나이의 행정구역
□ 일반·기온·강수량
○ 기후 : 고온 다습한 열대성 기후, 우기와 건기의 구분이 없이 연중 비가 내림
- 연평균 최고기온 : 34℃
- 연평균 최저기온 : 22℃
- 연평균 강우량 : 3,300㎜
출처 : 외교부, 부르나이 개황서,2014
□ 자연재해
○ 연중 열대성 소나기가 국부적으로 심하게 내릴 때는 운전이 불가능할 정도이며, 이때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음. 또한 마른 번개도 자주 치는 편
- 단시간 동안 폭우로 인해 도로가 범람하는 경우가 많음.
○ 연중 3월에서 6월 사이 브루나이가 위치한 보르네오 섬에 인도네시아 화전민들이 숲에 불을 내어 연기가 브루나이에도 영향을 미쳐 공기가 매우 탁하여 호흡기 질환자가 다수 발생
출처 :주브루나이대사관
□ 지하수, 지표수
1인당 가용한 물의 수량(연간 기준) | ||||||
| 총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km3/year)3 | 지하수 : 자체적으로 생산(km3/year) | 지표수 : 자체적으로 생산(km3/year)3 | 공통부분 : 지하수와 지표수(km3/year)4 | 수자원 : 총 재생 가능한(km3/year)* | 수자원 : 총 재생 가능한(km3/year)1 (m3/capita year) |
브루나이 | 8.50 | 0.10 | 8.50 | 0.10 | 8.50 | 25,915 |
출처 : UN세계물개발보고서 1
□ 음용수
○ 브루나이의 물은 마시기에 안전하지 않다. 지역의 물은 일반적으로 오염되어 있으며, 정화나 여과를 통해야 한다. 브루나이의 음용수는 6개의 정부처리 시설에 의해 관리되는데, 시설은 각각 다른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출처 : AQUASTAT - FAO, Is the water safe to drink
□ 수자원
○ 약 385,000명의 모든 인원들에게 마셔도 되는 안전한 파이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 농촌의 2%인원은 저속모래여과 시스템을 제공받는다.
○ WHO International Water Quality Guidelines
○ 공공용수는 4개의 주요한 물 공급 시스템의 지표수 자원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강 유역은 국가 땅의 75% (3,425 sg.km)를 커버한다.
- 77%는 가정이나 상업용으로, 18%는 오일, 가스 산업용으로, 5%는 관개, 소비용이다.
- 인구의 44% 공공 하수 혜택을 받는다.
- 물 마을의 20%는 하수 진공시스템을 이용한다.
- 하수의 86%는 하수 전에 폐기된다.
출처 : http://www.siww.com.sg/pdf/SEA_brunei_long_term_plan.pdf
□ 상수도현황
○ 공공사업부는 감독 계획, 설계 및 관리를 담당하고 브루나이 시민들의 99.9%에게 음용수를 공급한다.
|
- 댐 : Benutan, Mengkubau&Tasek (운영), Kargu&UluTutong (건설중)
- 정수처리장 : 8개
- 물 연구소: 8개
- 배수관(400mm): 2,600km
- 배수관(400mm): 320km
- 가압 펌프장: 13개
- 급수율 : 도시 100%, 농촌:98%
□ 하수도현황
○ 공공사업부는 하수시스템의 깨끗함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 하수처리장 : 17개
- 주요하수펌프장 : 45개
- 보조하수펌프장 148개
- 하수관 : 739.37km
하수도 현황 | ||||
구역 | 하수 처리장의 번호 | 하수 펌프장의 번호 | 자회사 하수 펌프장의 번호 | 하수 라인(km) |
브루나이 무아라 | 9 | 29 | 122 | 550.07 |
투통 구 | 4 | 1 | 16 | 48.1 |
벨라잇 구 | 3 | 15 | 6 | 140.5 |
템부롱 구 | 1 | - | 4 | 0.7 |
총 | 17 | 45 | 148 | 739.37 |
출처 : Brunei PUBLIC WORKS DEPARTMENT(PWD) http://www.pwd.gov.bn
□ 상하수도 법령현황
○ 수도법, chapter 121, 1962
○ municipal boards act, chapter 57, 1921
○ 도시 및 국가계획법 1972, chapter 143, 1984년 개정,
○ Land code revised cahpter 121,1962
○ 건물지침및권고사항 PBD 12,2008
○ 오염관리지침 2003
□ 상하수도 정책현황
○ 국가 개발 계획(2012-2017)
출처 : http://www.siww.com.sg/pdf/SEA_brunei_long_term_plan.pdf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첫 번째 54.54입방미터에, 입방미터 당 11센트를 지불해야 한다.
- 44 센트 / 톤 (이상 54.54ton의 경우)
□ 상하수도 예산현황
○ 정부는 개발 지출인 $293.7 백만 또는 23.4%를 하수 시설, 청정수 공급, 배수 개발, 홍수 예방, 전전기 공급과 같은 공공시설에 사용한다. (2015/2016 개발 예산 )
출처: the brunei times (http://www.bt.com.bn/frontpage-news-national/2015/03/22/5-7b-national-budget-passed)
□ 물관리 로드맵
○ WATER SUPPLY LONG TERM DEVELOPMENT GOALS
- 지속적이고,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충분한 물 제공을 보증한다.
- Reviewing Legislative Acts는 현재의 변화나 시행 향상에 적용한다.
- 견고함을 향상한다.
- 이익을 증가시킨다.
- Enhance Enabling Environment & capacity building
- 모범경영 기술과 관리도구 적용
- NRW의 % 감소와 물 절약 강화, 보존 감소
- IWRM의 혁신 우수 사례 채택
출처 : AQUASTAT
□ 물관련 조직현황
○ 물 관리와 관련된 주요 기관
-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Primary Resources (MIPR) : 지역 시장 및 수출을 위한 주요 자원 산업을 촉진하는 것을 개발하고 담당
(http://www.mprt.gov.bn/Theme/Home.aspx)
-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at the MIPR : 물과 전기 공급, 관개 및 배수를 담당한다. 능동적으로 다양한 농산물의 발전을 촉진하고, 원자재와 식품 공급의 아웃소싱을 용이하게 한다.
- The Technical Services Division of the MIPR : 농업 개발 지역 (ADA 토지) 및 농업부 부지 조정과 농업 인프라 개발의 촉진을 담당한다. 또한 건물, 농장 도로와 관개 및 배수 시스템, 주요전기 및 국내 물 공급, 기계 및 농업 기술 지원, 개발 및 농업 기반 시설의 유지 및 관리
- The Departments of Water Services and of Public Works and the Ministry of Development : 처리장 저장 지점과 마지막 지점에서 처리된 물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책임이 있음.
- The 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 정수장 최종지점에서 수질을 검사
(http://moh.gov.bn/Pages/Home.aspx)
출처 : AQUASTAT
□ 한국과의 협력
○ 우리기업 수주추진 주요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 무아라-템부롱(Muara-Temburong) 교량 건설사업(총 사업비 약 30억불):총 30km 길이의 교량공사 중 3개 구간(약 16억불 규모)에 우리기업 참여 추진중
- PMB(Pulau Muara Besar)섬 교량 건설사업(총 사업비 약 3억불): 브루나이 본토와 PMB섬을 연결하는 교량(2.8km) 및 도로 건설
- PMB섬 가스터빈 발전소 건설사업(약 3억불): PMB섬 내에 건설 중인 석유화학단지에 전력 공급 위한 발전소 공사
- 브루나이 외교부 청사 신축공사(약 7~8천만불)
출처 : 청와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