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부탄(Bhutan) 혹은 부탄왕국(Kingdom of Bhutan)
○ 위 치 : 인도 북동부, 히말라야 산맥의 동단부
○ 건국(독립)일 : 1949년 8월 8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38,394㎢(한반도의 약1/5)
○ 인 구 : 약 758,200명
○ 기 후 : 사계절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열대기후, 온대기후, 고산기후 등으로 상이
○ 수 도 : 팀푸(Thimphu)
○ 주요도시 : Phuntsholing, Punakha, Samdrup Jongkhar, Paro, Trashigang, Wangdue Phodrang, Trongsa, Dagapela, Geylegphug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히말라야 푸른 양귀비
○ 국 조 : 검은 목 두루미
□ 정치
○ 정부형태 : 입헌군주국
○ 실 권 자 : 용왕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
○ 총 리 : 체링 톱게
○ 정부구조 : 부탄은 1907년 이래 절대군주제를 유지하다, 2008년 신헌법 채택 이후 입헌군주제로 전환하였다. 국가수반은 국왕이며, 정부수반은 하원 다수당의 대표인 총리다. 부탄 헌법 제5조에 따라 하원의원 3/4 이상이 찬성하면 국왕을 폐위할 수 있다(헌법 제5조).
○ 부탄의 정치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부탄의 정치제도
1) 부탄의 입법부
① 상원
② 하원
③ 선거
2) 부탄의 중앙행정부
3) 부탄의 지방행정
4) 부탄의 사법부
5) 부탄의 종교조직
○ 행정구역
- 부탄의 행정 구역은 크게 4개의 종데이(지역)로 나뉘며 이는 다시 20개의 종카그(현)로 나뉜다. 부탄에는 총 20개의 종카그가 있다. 종카그는 다시 게워그(구)로 나뉘지만 규모가 큰 종카그는 다시 둥카그(특별 행정 구역)로 나뉘기도 한다.
○ 외 교
- 부탄은 독립 이후 초기에는 인도를 통해 대외관계를 처리하였으나, 1960년대 들어 국제기구 가입 등 국제사회와의 접촉을 확대하여 1971년에는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에 가입하였다.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Jigme Khesar Namgyel Wangchuck) 2012년 현재 부탄 국왕은 비동맹 외교를 기본방침으로 천명하고 인근 국가와의 관계 강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티베트 병합(1951년) 및 인도의 시킴(Sikkim) 병합(1975년) 사례를 매우 우려하면서 부탄 독립과 주권 보전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부탄눌트럼(BTN), 인도루피(INR) 병용
○ 교역규모
- 수입 : 61923.40 (만 - BTN) (2015)
- 수출 : 35901.80 (만 - BTN) (2015)
○ GDP : 25억$ (2016)
○ 1인당 GDP : 3,128$ (2016)
○ 경제성장
| 2013 | 2014 | 2015 |
GDP growth (annual %) | 5.1 | 2.1 | 5.5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농업과 목축이 주산업으로 계곡 바닥의 평지를 이용해서 쌀, 보리, 수수 등이 재배된다. 목축은 고지에 적응하는 소가 주로 연료용, 육용, 유용(乳用)으로 사육된다. 1948년부터 인도의 원조를 받기 시작하여 현재에도 예산의 대부분을 인도에 의존하고 있다. 매년 인도에서 약 50만 루피의 원조를 받으며 외화 수입은 보잘 것이 없다. 주요 수출품은 목재, 석탄, 과일 등이다. 제7차 5개년계획(92 97)을 통해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 주요자원 : 주요 자원은 목재와 수자원이며, 산업은 농목업과 수공업이 지배적이다. 여전히 폐쇄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경제구조의 변혁도 부진하다. 북부지역에서는 해발고도 3,000 ∼ 4,000m의 하곡부에 취락이 발달하여 밀·보리·메밀·감자 등의 일모작(一毛作)재배를 하고, 더욱 높은 히말라야산맥의 초지지대에서는 야크·양·산양 등을 사육하는 목축지역이 전개되어 있다. 중부의 해발고도 1,200∼ 2,000m의 하곡지역은 따뜻한데다가 적당한 우량의 혜택을 입어 풍요한 농경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여름작물로는 쌀·옥수수, 겨울에는 밀·보리 등을 재배하는데 이들 작물은 평지뿐만 아니라 계단식 경작에 의하여 산기슭에서도 재배된다. 그밖에 귤·레몬·석류·바나나 등의 과수재배도 성하다. 남부의 구릉지역은 밀림으로 뒤덮여 있기 때문에 개발이 부진하다.
□ 사회·문화
○ 언 어 : 종카어가 공용어이며, 티베트어, 영어도 사용된다.
○ 민 족 : 민족의 50%는 보테(Bhote)족이며, 네팔인이 35%, 기타 소수민족이 15%를 차지한다.
○ 종 교 : 종교는 드룹카(Drupka) 대승불교인 라마교로 국민의 75%가 신봉한다. 라마교는 부탄의 국교다. 나머지 25%는 힌두교 및 이슬람교 등 기타 종교를 믿는다.
○ 교 육
- 1961년 제1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 시행 시 사회 발전을 위한 인적 자원 양성을 위하여 정규교육 제도를 도입, 시행하였다. 현재 11년의 무상교육(초등학교 7년, 중등학교 4년)을 거친 뒤 학력 평가에 따라 우수 학생은 고등과정(11학년~12학년)에 진학한다. 고등과정 수료 후 일부 학생은 부탄 왕립대학교(Royal University of Bhutan)에 진학한다. 부탄 왕립대학교는 고등교육을 위하여 2003년 설립되었다. 11개 과, 5,000여 명의 학생과 800여 명의 교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08년 기준 1,299개 교육기관에 17만 6,000여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참고로 2000년 재학생 수는 11만 8,000명이었다.
- 외국에서 대학 교육을 이수한 자는 대개 정부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약 500명이 유엔개발계획(UNDP) 장학금 등으로 해외 유학 중이며 이들을 자연과학과 응용과학 분야의 인재로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 복 지 : GDP가 아닌 국민들의 행복기준으로 나라를 다스리겠다는 신념을 통해 국왕은 나라를 통치하고 국민들과 소통한다. 나라의 국고 절반을 해외원조로 지탱하고 있을만큼 가난한 나라지만 무상의료, 무상교육이 실현되는 나라로 세계에서 행복지수 1위인 나라이다.
○ 축제 / 명절
- 테츄 : 일 년에 두 번 개최하며 봄에는 파로, 가을에는 팀부에서 열린다. 테츄는 파드마삼바바의 생일에 해다하는 음력달의 10일째에 개최되는 종교행사라고 할 수 있다.
- 붐탕 : 중북부에 위치한 붐탕 지방에서 열리는 축제로 일 년에 한 번씩 열리는 축제이다. 축제의 주된 목표는 축복을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불의 터널을 만들어 통과하는 정화의식이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KOTRA, 외교부
□ 일반
○ 부탄은 나라의 면적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기후를 가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3월 말이나 4월 중순부터 건조한 봄이 시작해서 4월 중순부터 여름이 시작되는데 계절풍의 영향으로 일찍 비가 내려 6월 말까지 지속된다. 가을인 9월 말이나 10월 초에서 11월 말까지는 장마기간이다. 겨울은 11월 말에서 3월까지이다.
출처 : AQUASTAT - FAO
□ 기온
○ 기온은 해발고도에 따라서 상이하다. 수도인 Thimphu의 경우 해발고도 2300m에 위치하는데 몬순계절인 5월에서 9월에 온도가 14℃에서 25℃이고, 1월에는 -4℃에서 14℃까지 떨어진다. 부탄 중심부분의 대부분이 추운 기온을 연중 내내 유지한다. 남쪽 부분의 덥고, 습기가 많은 기후는 연중 내내 15℃에서 30℃사이를 유지한다.
□ 강수량
○ 매년 평균 강수량은 대략 2200mm이다. Thimpu의 Gidakhom같은 경우는 강수량이 477mm로 낮으나, Smdrup Jhongkhar의 Dechenling은 강수량이 20716mm로 부탄의 강수량은 지역별로 상당히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북쪽의 기후는 주된 강수량은 눈에 의한 것이고, 40mm이며 혹독하게 추운 날씨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부탄의 나라전체의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른 강수량을 지니고 있다.
□ 지표수·지하수
○ 총 연간 내부에서 나오는 지표수 자원은 78 km³로 추정된다. 산간지역이라는 특성 때문에, 지하수 자원은 제한되어 있으며, 지표수 자원으로 배수가 되기 때문에, 지하수와 지표수 사이에 겹치는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인도로 나가는 지표수 또한 78km³로 추정된다.
○ 거의 부탄의 모든 계곡이 빠르게 흐르는 강이나 시내를 가지는데, 이 물은 만년설이나, 여름 몬순으로 혹은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으로 흐르는 북쪽 끝 지방의 작은 강을 제외하고 모든 강은 인도를 향해 남쪽으로 흐른다. 이 강 유역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the Jaldhaka, Amo (Torsa), Wang (Raidak), Mo, Puna Tsang (Sankosh), Mao Khola/Aie, Manas (Lhobrak)와 동쪽 강 유역들이 있으며, 마지막은 유역은 Bada and Dhansiri rivers으로 구성된다.
출처 : Aquastat - Bhutan, FAO, 2011
□ 지표수
○ 현재 연구 결과에 기초하면 인류의 활동 때문에 토지 사용 변화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숲이나 농업용 토지는 1990~2008년 사이 감소되었고 도시지역은 상당히 많이 증가되었다. 토지 용도의 변화 패턴은 환경이나 사회경제적인 부문에 있어서 그다지 좋지 않다. 그래서, 이러한 부분은 걱정거리가 되었다. 토지용도 변경과 관련된 사람들의 활동으로 인해 연구 지역의 수질은 악화되고 있고 그 증거로 낮은 용존산소, 높은 전기 전도성, 총 경도, 총 용해성 물질, 혼탁도, 질산염, 염화물, 황산염, BOD, 그리고 대장균, 공해에 내성이 있는 무척추동물 등을 들 수 있다.
출처 : Urban Growth and Water Quality in Thimphu, bhutan, Nandu Giri 외 1명, 2013
□ 수처리, 폐수
○ 위생 시설에 관해서는, 정화조가 도시에서 가장 흔한 하수처리 시설이다. 그것들 중 대부분은 soakpit이 없어서 오수를 그대로 배출하게 된다. 농촌의 위생 시설들은 주로 pit toliet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뒤를 pour flush toilet과 여러 시설들이 뒤를 잇는다. 비록, 매립지가 거의 대부분의 도시에 공급되지만, 위생적인 매립지 시설은 없다. 현존하는 모든 매립지들이 공공 쓰레기장과 비슷하게 취급된다.
출처 : UN-Water Glob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Sanitation and Drinking -Water, WHO, 2015
□ 수자원
< 부탄 수자원 현황 (2011년 기준) > | ||||||||||||||||||||||||||||||||||||
|
출처 : Aquastat - Bhutan, FAO, 2011
□ 상수도현황
< 부탄의 상수도 현황 (2015년 기준) > | |||||||||||||||||||||||||||||||||||||||||||||
|
출처 : WHO / UNICEF Water Supply Statistics, WHO, 2015
□ 하수도현황
< 부탄의 하수도 현황 (2015년 기준) > | ||||||||||||||||||||||||||||||||
|
출처 : WHO / UNICEF Water Supply Statistics, WHO, 2015
□ 물관련 법령현황
○ The Water Act of Bhutan 2011 : 이 시행령은 부탄 내 수자원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시행령의 목적은 이렇다 :
a) 수자원의 보호를 확실히 하기 위해, 보존되고 운영되는 수자원의 관리에 있어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 지속가능한 방식을 따르며;
b) 적합한 기구들을 설립하기 위함에 있다.
출처 : The Water Act of Bhutan 2011, Parliament of Bhutan, 2011
□ 물관련 정책현황
○ The Bhutan Water Policy (2003)는 물은 모든 사회, 경제, 그리고 환경적 웰빙의 기초가 되며, 수자원은 모든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가능성을 가진 채로 효율적이게 보존되고 운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기초로 삼아 굉장히 소중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정책은 자연 생태계를 인식하고 눈, 빙하, 강, 호수, 시내, 습지, 빗물 등의 모든 자원 형태를 포괄하는 자원의 형태로 생각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채택하며, 가난의 경감과 국가 행복 지수의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정책은 정책 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역할을 하는 부수적 요소들의 책임을 인지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의 관점으로 구성되었다. 이 정책은 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다룬다. 1) 물 소비자의 수요와 우선순위, 2) 수자원 개발과 운영 원리, 3) 국제적 수자원, 4) 수자원 운영을 위한 기구 개발이다.
출처 : Aquastat - Bhutan, FAO, 2011
□ 물관리 로드맵
< 부탄 내 물 기반시설 현대화 사업 로드맵 > | |||||||||||||||||||||||||||||||||||||||||||||||||||||||||||||||||||||||||||||||||||||||||||||||||||||||||||||||||||||||||||||||||||||||||||||||||||||||||||||||||||||||||||||||||||||||||||||||||||||||||||||||||||||||||||
|
출처 : Modernizing Weather, Water and Climate Service : A Roadmap for Bhutan, World Bank, 2015
□ 물관련 조직현황
○ 특별하게 수자원과 관련해서 업무를 하는 기관은 없다. 높은 수력전기 잠재성 때문에, Department of Power가 수문학적, 기상학적 데이터 수집을 맡고 있다.
○ The Irrigation Agency는 3단계의 관개 사무소를 구성하고 있다
- 중앙 단계 : the Irrigation Section of the Research, Extension과 Ministry of Agriculture 하의 관개 부서는 모든 관련 부서들의 조정을 맡고 있으며, 정책 구성, 감시, 평가도 임무에 포함하고 있다.
- 지역 단계 : the Project Facilitation Offices는 보통 3~6개 구역을 담당하며 보통 IFAD에서 지원하는 두 개의 프로젝트들을 위해 기술적, 물류적, 대화 그리고 회계 지원을 제공한다.
- 구역 단계 : the District(Dzongkhag) Irrigation Offices는 그들의 구역 내 모든 관개 시설들의 계획 및 시행에 있어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다.
출처 : Aquastat - Bhutan, FAO, 2011
□ 해외원조
○ ADB가 1982년부터 부탄에 지원한 차관, 보조금, 기술적 지원을 모두 합하면 약 $ 764백만으로, 이 중 물이나 다른 도시 기반시설 및 서비스에 지원된 금액만 $ 57.72백만으로 7.56%를 차지하고 있다.
○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는 노르웨이와 일본 정부와 함께 부탄이 에너지와 깨끗한 수자원 운영을 개선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노르웨이와 일본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고, ADB의 조력을 통해 그들이 가진 가장 좋은 주요 자원을 이용하여 부탄의 지속적인 경제 발전의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ADB 부탄 지사의 대표자 Tshewang Norbu가 말했다.
○ 노르웨이 전부는 에너지 접근성 증가, 에너지 효율성 개선, 부탄 내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의 증가를 위한 Energy+라는 프로젝트에 $ 5.7백만의 보조금을 제공하였다.
출처 : Asian Development Bank Member Fact Sheet - Bhutan, ADB, 2015
출처 : 'Norway, Japan, ADB to help Bhutan Manage its Energy, Water Resources', ADB,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