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 위 치
-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쪽에 가늘고 긴 S자형으로 동경103° 27‘~109°28’, 북위 8°30‘~23°24’에 위치하고 있음
- 북으로는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동으로부터 남서쪽에 이르기까지 남중국해와 타일랜드만에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쯩’산맥을 경계로 라오스,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
○ 건국(독립)일 : 1945년 09월 02일
○ 면 적
- 국토의 면적은 약 331,210만㎢ (한반도의 약 1.5배)이고, 최북단에서 최남단까지 1,650㎞에 달하며 동서 최장거리는 600km, 최단거리는 48km, 해안선 3,260㎞에 달하고 있음
○ 인 구
- 9,248만 명(2016년 6월 기준), 총인구에서 도시 거주인구는 33%, 비도시 거주인구는 67%이며, 1980년대 전후에 출생한 10대, 20대 젊은 연령층의 비중이 높은 편임
- 현재 베트남 총인구의 50%가 30대 미만으로 이러한 특성은 베트남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며, 앞으로 소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
○ 기 후
- 중국과 접해있는 북부지역은 아열대성의 기후이고, 남부지역은 열대몬순 기후를 보이고 있음
- 연평균 기온은 24.1℃로 한국보다 10℃ 높고, 연 평균 강우량은 2,151㎜로 한국의 2.4배임
○ 수 도 : 하노이(Ha Noi, 710만 명, 2014년 기준)
○ 주요도시
- 하노이 : 710만 명
- 호치민 : 798만 명
- 하이퐁 : 195만 명
- 다낭시 : 101만 명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연꽃
○ 국 조 : 공작새
□ 정치
○ 정부형태
-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공화제를 국가의 체제로 하고 있으며, 국가조직은 3개의 중요한 기관을 중심으로 집단 지도체제를 구성
· 공산당’은 국가와 사회를 영도하는 유일세력
· ‘국회(최고인민의회)’는 국가의 최고주권기관
· ‘정부’는 국회의 집행기관으로 국가의 최고행정기관
○ 실 권 자
- 공산당 총서기 : 응웬 푸 쫑(Nguyen Phu Trong)
- 국가주석 : 쯔엉 떤 상(Truong Tan Sang)
- 총리 : 응웬 떤 중(Nguyen Tan Dung)
- 국회의장 : 응웬 싱 훙(Nugyen Sinh Hung)
○ 정부구조
- 공산당
· 1930년 결정
· 당원 수 : 310만명
· 전당대회
매 5년마다 개최
대의원 : 2,000명
중앙위원 : 200명
정치국원 : 14명
주요정책은 당서기장, 국가주석, 총리, 국회의장 등이 포함된 정치국에서 결정
- 정부
· 국가주석(임기 5년)
국회의원 중 선출
국가원수/군통수/국방안보위 의장
· 총리(임기 5년)
국가주석 추천 선출
정부 수반, 경제 등 국내 정책 결정권자
- 정부조직
· 총리/부총리(4명)/18부/부급기관 4개
- 사법기관
· 최고인민법원/ 지방인민법원/ 군법원/ 기타특별법원
· 국회상무위가 헌법 해석권 보유, 정부 견제기능 미약
- 국회
· 개요
단원제/ 임기 5년
의원 수 : 493명
2011년 5월 13대 선거 실시
회기 : 매년 2회(5월, 10월)
선거권 : 18세 이상
피선거권 : 21세 이상
권한 : 헌법 제정 및 입법 기관
국가주석, 부주석/ 총리/ 최고인민법원장 선출
- 상무위원회
· 구성 : 국회의장, 부의장(4명), 상무위원(13명)
· 기능 : 국회소집, 국회폐회 시 업무수행, 헌법 해석
· 사임위원회 : 10개
○ 행정구역 : 지방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수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을 개편한 결과, 2008녀 정부 조직법에 따라 총 63개 행정구역(58개의 성과 5개의 특별시: 하노이, 호치민, 하이퐁, 다낭, 껀터)으로 구성
○ 외 교
- 베트남은 자주독립 외교노선을 견지하고 있으며, 통일 후 경제를 회복시켜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물질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외교기반을 이데올로기에서 경제로 전환하였고, 체제를 달리하는 국가여도 경제협력관계를 확대 중에 있음
- 이를 위해 국제기구(UN, WB, ADB, ILO, FAO, UNESCO, IBRD, IMF, ITU, IFC 등)에 가입하고 서방 국가와 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과거 전쟁국인 미국과 군사훈련을 하는등 실리를 택하는 외교노선을 취하고 있음
- 현재 베트남은 176개국과 수교
· 200개국 무역, 80여 개국이 베트남에 투자
□ 경제
○ 화폐단위
- 베트남동(Vietnamese Dong, VND로 표기)
- 연도별 환율 변화추이(대 달러화)(2011년~2016년)
(단위 : VND) | |||||||
구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F | 2016F |
환율 | 19,941 | 18,932 | 20,828 | 21,036 | 21,246 | 21,890 | 22.560 |
주 : 2015, 2016년 수치는 잠정치
출처 : 베트남 통계청, EIU(2015.12월 기준)
○ 외환보유고 : 최근 외환보유고 실적(2011-2016)
(단위 : 억 USD) | |
2011년 | 140 |
2012년 | 261 |
2013년 | 263 |
2014년 | 346 |
2015년F | 372 |
2016년F | 446 |
주 : 2015, 2016년 수치는 잠정치
출처 : 베트남 통계청, EIU(2015.12월 기준)
○ 교역규모 : 베트남 대외 교역현황(2011-2015)
(단위 : 억 USD) | |||
구분 | 수출 | 수입 | 무역수지 |
2011년 | 969.1 | 1,067.5 | -98.4 |
2012년 | 1,145.3 | 1,137.8 | 7.5 |
2013년 | 1,320.3 | 1,320.3 | 0 |
2014년 | 1,500.4 | 1,480.6 | 19.8 |
2015년 11월 | 1,487.1 | 1,524.9 | -37.8 |
출처 : 베트남 통계청, EIU(2015.12월 기준)
○ 베트남 대외 교역현황
- 수출품 : 전자제품, 부품, 석유, 직물제품, 원유, 신발류, 수산물류, 기계/플랜트 및 부품, 목제품, 커피 쌀 등
- 수출국 :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독일, 말레이시아, UAE, 영국, 태국 캄보디아
- 수입품 : 전자제품 및 부품, 기계/플랜트 및 부품, 유류제품, 의류(원단), 철강제품, 플라스틱 원료, 직물 및 의류 원부자재, 사료 및 원료, 기타금속, 화학원료 등
- 수입국 : 중국, 한국, 일본, 대만, 태국, 싱가포르,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 독일 등
○ GDP : 최근 GDP 실적 및 분야별 현황(2011-2016)
(단위 : 억 USD, %) | ||||||
연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F | 2016F |
GDP | 1,333 | 1,553 | 1,712 | 1,858 | 1,914 | 2,076 |
증가율 | 6.24 | 5.25 | 5.42 | 5.98 | 6.6 | 6.8 |
주: 2015, 2016년 수치는 잠정치
출처 : 베트남 통계청, EIU(Economist Intelligent Unit, 2015.12월)
- 베트남의 2012년 GDP 증가율은 5.25%를 기록해 13년만에 최저 성장치를 기록하였음
· 2013년 들어 1분기 GDP 증가율 4.76%에 이어 2분기와 3분기 각각 5.0%와 5.54%를, 4분기에 6.04%를 기록
· 연간 기준으로 당초 성장률 목표 5.5%보다 낮은 5.42%를 기록하였지만, 분기별 실적이 개선되어 경제가 회복국면에 접어들었음
- 2014년 베트남 경제는 정부의 당초 목표였던 5.8%를 넘어 5.98%로 확실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
·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3분기까지 GDP 증가율은 6.5%로 지난 4년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정부가 설정한 2015년 목표인 6.2%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됨
○ 1인당 GDP : 최근 1인당 GDP 실적연도별 경제성장률(2011~2014년)
(단위 : USD) | |
2011년 | 1,517 |
2012년 | 1,749 |
2013년 | 1,908 |
2014년 | 2,051 |
○ 경제성장 : 연도별 경제성장률(2011년~2014년)
(단위 : %) | |
2011년 | 6.24 |
2012년 | 5.25 |
2013년 | 5.42 |
2014년 | 5.98 |
○ 주요산업
- 농업, 수산업 등 1차 산업비중이 18.4%, 제조업 비중이 38.5%, 서비스업 비중이 43.3%차지(베트남 통계청 2013년 추정치 기준)
- 전통적으로 1차 산업이 발달하였으나, 2003년부터 제조업이 경제성장을 주도
· 산업별 세부 총생산 규모를 보면 기존 석유 생산과 석유/의류 중심의 산업에서 점진적으로 전자/화학/철강 등으로 변화함
- 통계수치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베트남 인구의 70%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며 이 중 절반은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
· 전 세계 쌀 수출 1위, 커피 수출 2위, 고무 수출 3위 국가에 해당함
○ 주요자원
- 풍부한 해안유전과 석탄, 석회석, 크롬, 티타늄, 몰리브텐, 철광석, 금, 주석, 인 회석, 망간, 구리, 보크사이트, 흑연, 고령토, 석영, 각종 보석 등이 매장되어 있어 자원이 풍부한편이나 원유와 무연탄을 제외하고 경제성이 있는 자원은 부족함
- 원유의 매장량은 약 11억 5100만 루베로 추정되고 있으며, 무연탄의 매장량은 100억 톤, 철광석의 매장량은 20억톤으로 추정되
· 베트남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 소수력발전에 치중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베트남 기후를 이용한 풍력과 태양열 발전소 개발계획도 이루어지고 있음
- 다만, 베트남 전력공사(EVN)의 발전소 전력 독점 구매와 신재생에너지 개발 지원 정책이 미흡하여, 아직 적극적인 투자유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
□ 사회·문화
○ 언 어 : 베트남어
○ 민 족 : 비엣족(낑족, 전인구의 85.7%), 타이족, 화교(약 82만명), 크메르족 등 54개 민족
○ 종 교 : 신앙인 1565만 명(2009년 기준), 불교(43.5%), 가톨릭(36.6%), 까오다이교(유교,불교, 도교의 혼합종교) 등
○ 교 육 : 문맹률 1.75%(15-60세, 2014년 기준)
○ 복 지
- 2014년 기준 경제활동인구는 5,44만명으로 47%가 39세 미만에 해당함(베트남 전체인구의 평균 연령 28.6세)
- 경제활동인구의 70%가 농촌에 거주해 본격적인 이농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임(2008년 72.7%, 2010년 72.0%, 2012년 69.7%, 2013년 69.9%)
- 2014년 기준 취업자수는 5,344만명으로 고용률은 78%에 이름. 이중 도시지역 취업자수가 1,588만명, 농촌지역 취업자수가 3,756만명
·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34.8%로 낮은 반면 자영업자 비율이 45.5%로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임
- 2014년 베트남의 노동 가능인구 중 실업자 수는 약 99만 명으로 실업률이 1.81%로 나타남
- 예년과 같이 도시지역 실업률이 2.93%로 농촌지역 실업률(1.33%)보다 높은데 전반적으로 2013년 대비 실업률이 증가하였음(2013년 81만명)
- 실업자수 중 15~24세의 비중이 45.5%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실업자 수가 남성보다 증가하고 있음
- 2014년 베트남 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수입은 448만동으로 약 211달러 수준이다. 남성의 수입(465만동)이 여성(422만동)보다 약 9.2% 높으며, 도시지역 수입(529만동)이 농촌지역(376만동)보다 약 29% 높음
- 학력별로는 대졸이상 686만동, 전문대졸 507만동, 직업훈련 이수자 471만동, 무기술자 361만동 순
- 지역별 소득격차가 심하며, 경제 중심지인 호치민 시의 1인당 국민소득은 베트남 평균의 3배 수준임. 도시와 지방의 소득격차가 크지만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임
○ 축제 / 명절
< 2016 베트남 공휴일 > | |
공 휴 일 | 명 칭 |
1.1 | 신정(1일) |
2.6~2.14 | 구정(9일) |
3.10 | Hung Vuong왕 추모 기념일 |
4.30 | 베트남 해방기념일(1일) |
5.1 | 노동절(1일) |
9.2 | 건승기념일(1일) |
- 베트남의 법정공휴일은 총 10일로 매우 적은 편이며, 공휴일이 주말과 겹치는 경우 월요일은 휴일로 정함
- 현재 베트남 정부 기관은 5일 근무(40시간)을 시행하고 있지만, 일반회사는 6일 근무(48시간)을 시행하는 곳도 많이 있음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IMF, Google, 베트남 통계청
□ 일반
○ 베트남은 남북으로 긴 국토의 특성 때문에 기후차이가 크고, 이로인해 열대, 아열대 및 온대 기후를 두루 갖고 있음
○ 몬순 기후의 영향이 강해 강우량이 많고 습도가 높고 열대지대 외곽과 산간지대는 기후가 온화한 편임
출처 :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www.globalwindow.org), 2015년 12월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기온
○ 북부 지역은 아열대로 연간 온도 차가 커서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 차가 약 20℃에 달하는 지역도 있으나, 남부 지역은 열대 몬순기후로 연간 온도 차가 크지 않아 연간 최저 및 최고 기온차는 약 7℃임
- 하노이의 경우 1월 최한월 평균기온이 16℃
○ 일반적으로 베트남의 계절은 동절기(11월~4월)와 하절기(5월~10월)로 나뉘지만, 남부지방에서는 두 계절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음
출처 :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www.globalwindow.org), 2015년 12월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강수량
○ 강우량은 전국적으로 연 평균 1,800mm정도이나 우기 때는 더 높은 강우량을 기록함
○ 호치민시를 비롯한 남부지역은 우기(5월~10월)와 건기(11월~4월)가 6개월씩 교차되며, 수도 하노이를 비롯한 북부 지역은 미묘한 사계절의 변화가 있어 연말과 연초의 기후가 한국의 늦가을 날씨와 유사함
○ 우기시에는 하루 30분의 게릴라성 폭우가 내리는데 최근에는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하루 종일 비가 오는 때가 많음
○ 연간 강수일은 100일 가량이며, 평균 강수량은 1,500~2,000mm, 습도는 약 80%이고, 연중 일조시간은 평균 1,500~2,000시간이고 평균 태양복사열은 100kcal/㎠임
출처 :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www.globalwindow.org), 2015년 12월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자연재해
○ IPCC에 따르면, 베트남은 기후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나라중 하나이며, 수자원에 대한 잠재적 영향이 심각하게 발생할 나라로 분류 됨
- 메콩삼각주(s?ng C?u Long) 지역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해 2020년에 4.8%, 2050년 14.5%, 2100년에는 대략 33.7%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베트남의 물수요 증가에 따른 물부족 현상으로 발생할 것임
○ 홍수는 베트남 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치명적인 자연재해이면서 가장 극심한 영향을 주고 있음
- 1971년 홍수로 인한 홍강삼각주 제방의 붕괴는 곡물 약 700 만톤을 손상시키고 2만 7천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킴
- 1992년부터 1999년까지 폭우로 인해 야기된 홍수는 사망자가 2,716명이고, 부상자는 1,655명에 달 하였으며, 8조동(VND) 경제적 손실 야기
- 1986년부터 2002년까지, 특히 큰 하천유역에서 홍수가 30건 발생하였음
○ 베트남에서 홍수 통제기능을 가진 하천저수지는 3개 지역, 홍타이빈강 유역, 마강유역, 후옹강 유역뿐임
출처 : K-water 2015
□ 지표수
○ 지표수 자원의 개요
수자원(재생가능한 수자원 포함) | 용량(㎢/yr) | 연도 |
지표수 | 847.7 | 2014 |
지하수 | 71.4 | 2014 |
총수자원량 | 919.1 | 2014 |
○ 베트남 전역의 하천유역
출처 : K-water 2015
○ 베트남은 109개의 주요하천을 포함한 10여 ㎞ 길이의 2,360개가 있으며, 전국에 걸쳐 10,000㎢의 면적을 가진 16개의 강 유역을 가지고 있음
- 16개 강 유역 중 9개의 유역은 10,000㎢이상의 유역으로 총면적은 1,167,000㎢에 달함
- 인접국가와 공유하고 있는 강은 베트남 25개 지역에 걸쳐 분산되어 있음.
- 해외에서 베트남으로 흐르는 126개의 강과 하천 중 76개의 하천과 4개의 강은 다시금 베트남 외부로 흘러나가고 있으며, 대부분의 하천이 주요 15개 유역에 분산되어 있음
- 베트남과 중국은 68개 하천 공유, 베트남과 라오스는 85개 하천 공유, 베트남과 캄보디아는 53개의 강을 공유
- 15개의 유역 중에서 북쪽에 위치한 홍강을 포함하여 9개의 주요 유역를 가지고 있으며, 중북부에 있는 마강유역, 카강유역, 세산강유역, 스레폭강 유역 등이 있고, 중앙 고원에는 바강 유역, 중남부 해안에는 투본강 유역, 동나이강 유역, 그리고 베트남 남쪽에는 메콩강 유역 등이 있음
○ 베트남의 평균 연간 총 지표수의 양은 약 8,477 억㎥이며, 이 중 메콩강 유역이 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홍타이빈 유역이 16.4%의 지표수를 차지하고 있음
- 베트남의 가장 큰 9개의 유역 중, 6개의 유역은 다른 국가와 공유하거나 인접하고 있음
- 북쪽의 방지앙기쿵 강, 중북부의 마강, 중앙고원과 남중부의 세산강, 스레폭강, 동나이강과 남쪽의 메콩강 등
- 메콩강 수량의 95%는 북쪽의 지역에 위치한 하천수량으로 형성되며, 홍타이빈 유역의 경우, 약 40%가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임
- 마강 및 카강의 경우, 각각 30%, 22%가 라오스로부터 유입되었고, 동나이강의 경우, 17%가 캄보디아에서 유입된 수량임
- 방지앙-기쿵강의 경우,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흐르고, 다시금 중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구조는 가지고 있음
- 세산강의 약 75%, 스레폭 강의 약 50%는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통과하고 있음
○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와 베트남을 통과하는 강과 하천의 총길이는 약 1,136㎞이며, 이는 앞서 언급한 세나라와 베트남 국경 길이의 약 24.7%를 차지하고 있음
- 베트남의 강과 하천은 매년 연평균 지표수의 약 60%(약 5천억㎥)이상이 인접국가와 공유하고 있음
- 이 중에서 메콩강의 경우, 약 84% (4,000 억㎥), 홍강의 경우 약 10% (500 억㎥), 마강의 경우 거의 8 억㎥, 카강은 40 억㎥, 동나이강은 약 35 억㎥
- 방지앙-기쿵강의 경우 중국으로 유입되고 유출되기 전까지 약 17 억㎥이 베트남 지역을 흐르고 있음
< 주요 하천유역 체계 > | ||||||||||||
유역 | 강우 | 전체흐름 | 표면흐름 | 지하수흐름 | 증발 | 계수DC | ||||||
km³ | mm | km³ | mm | km³ | mm | km³ | mm | km³ | mm | |||
베트남 | 647 | 1957 | 331 | 974 | 232 | 704 | 99.3 | 270 | 316 | 983 | 0.50 | |
하천유역체계 | ||||||||||||
1 | Cuu Long | 134 | 1919 | 54.4 | 779 | 38.1 | 545 | 16.3 | 234 | 72.6 | 1140 | 0.37 |
2 | Hong | 142 | 1925 | 69.7 | 1137 | 48.8 | 796 | 26.9 | 341 | 48.3 | 788 | 0.58 |
3 | Dong Nai | 76.6 | 2052 | 30.4 | 814 | 19.8 | 529 | 10.7 | 285 | 46.2 | 1238 | 0.40 |
4 | Ca | 33.9 | 1912 | 19.8 | 1117 | 14.9 | 838 | 4.95 | 279 | 14.1 | 795 | 0.58 |
5 | Ma | 30.9 | 1756 | 14.7 | 836 | 10.3 | 585 | 4.41 | 251 | 16.2 | 920 | 0.43 |
6 | Ba | 22.4 | 1625 | 9.39 | 680 | 7.99 | 578 | 1.41 | 102 | 13.0 | 945 | 0.42 |
7 | Thai Blnh | 20.0 | 1577 | 9.19 | 725 | 7.35 | 680 | 1.84 | 145 | 11.0 | 852 | 0.46 |
8 | Ky Cung | 15.5 | 1422 | 7.19 | 660 | 5.39 | 495 | 1.80 | 165 | 8.30 | 762 | 0.50 |
9 | Thu Bon | 29.0 | 27.6 | 20.0 | 1915 | 14.0 | 1341 | 6.00 | 575 | 8.90 | 848 | 0.66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FAO 2015, K-water 2015
□ 지하수
○ 지하수 자원의 개요
수자원(재생가능한 수자원 포함) | 용량(㎢/yr) | 연도 |
지표수 | 847.7 | 2014 |
지하수 | 71.4 | 2014 |
총수자원량 | 919.1 | 2014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FAO 2015
○ 베트남의 지하수 (잠재적)저장량은 약 630 억㎥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의 대수층의 양에 의해 계산 되며, 섬을 제외한 전체 베트남 국토에 대한 저장량은 대략 초당 2,000㎥로 추정됨
○ 베트남의 전역의 수자원 계획 및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국책연구기관 NAWAPI(Center for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Investigation)에 따르면,
- 베트남 144개 지역)(35,000 ㎢ 면적)에서 실시된 지하수원 평가에 따르면, 가매장량은 A급수 580,000 ㎥/day, B급수는 1,300,000 ㎥/day, C급수는 8,620,000 ㎥/day 로 조사되었음
○ 베트남의 가장 큰 지하수 매장은 가장 큰 두 도시와 주요 산업 단지가 위치한 홍강의 북쪽과 메콩 삼각지의 남쪽에서 찾을 수 있음
- 베트남의 북동쪽(Dong Bac bo) 및 북서쪽(Vung Tay Bac bo)은 지하수의 양이 많지만, 석회암, 점토암 및 사암이 함유된 지역이 많아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음
○ 우물물은 모래, 자갈로 구성된 퇴적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형성물은 홍강(song Hong), 남동쪽(Dong Nam bo) 및 메콩하천(Cuu Long)유역 및 모든 해안평야에 따라 형성됨
○ 2020년 베트남 주요도시 수자원 이용 전망
등급 | 도시 | 상황 | 2020년 수요 전망 m³/day | |
수자원 | m³/day | |||
특급 | 하노이 | 지하수 | 780,000 | 1,450,000 |
특급 | 호치민 | 지표수 | 968,000 | 3,050,000 |
지하수 | 560,000 | - | ||
I급 | 하이퐁 | 지표수 | 126,000 | 564,000 |
I급 | 후에 | 지표수 | 90,000 | 313,000 |
I급 | 다낭 | 지표수 | 75,000 | 470,000 |
II급 | 타이응우옌 | 지표수+지하수 | 26,000(16,000) | 141,000 |
II급 | 비엣찌 | 지표수 | 36,000 | 98,000 |
II급 | 박장 | 지표수 | 20,000 | 46,000 |
II급 | 남딘 | 지표수 | 45,000 | 89,700 |
II급 | 타인호아 | 지표수+지하수 | 22,000 | 72,000 |
I급 | 빈 | 지표수 | 20,000 | 107,000 |
I급 | 꾸이년 | 지하수 | 54,000 | 60,700 |
II급 | 냐짱 | 지표수+지하수 | 38,600 | 127,600 |
II급 | 반메투엇 | 지하수 | 30,000 | 65,000 |
II급 | 달랏 | 지표수 | 31,000 | 51,000 |
II급 | 비엔호아 | 지표수 | 51,000 | 157,600 |
II급 | 붕따우 | 지표수+지하수 | 30,000(80,000) | 185,000 |
II급 | 미토 | 지표수+지하수 | 90,000 | - |
II급 | 깐토 | 지표수+지하수 | 76,000 | 136,000 |
III급 | 뚜옌꽝 | 지하수 | 10,000 | 38,500 |
III급 | 까오방 | 지표수 | 12,000 | 25,600 |
III급 | 랑선 | 지하수 | 18,000 | 38,000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FAO 2015, K-water 2015
□ 지표수
○ 대부분의 하천 상류의 수질은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양호한 수준임
- 그러나 지하수 및 하천 하류에서는 오염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 특히 하노이와 호치민의 경우, 유역 내 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는 지역의 오염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수처리, 폐수
○ 베트남 내 폐수처리 및 정수시설 매우 열악
- 베트남의 수처리 시설은 중심 지역인 하노이와 호치민에 위치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수처리 시설(WTP: Water Treatment Plant)는 관거 시스템의 낮은 품질과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베트남 보건 당국에서 제시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함
○ 베트남의 주요 정수처리 시설
도시 | 수처리시설(WTP) | 용량(㎥/d) |
호치민 | Thu Duc 1 | 755,000 |
Thu Duc 2 | 300,000 | |
Thu Duc 3 | 300,000 | |
Tan Hiep 1 | 300,000 | |
Tan Hiep 2 | 300,000 | |
Kenh Dong | 150,000 | |
Binh An | 100,000 | |
Tan Binh | 70,000 | |
하노이 | Song Da | 600,000 |
Ngo Si Lien | 80,000 | |
Mai Dich | 60,000 | |
Luong Yen | 60,000 |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지하수
○ 베트남의 높은 인구 밀집도, 많은 경제적 활동 그리고 낮은 수질오염규제는 지하수의 양과 질의 악화를 초래
○ 자원환경부는 국가 수자원 전략에서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하노이, 호치민 시, 중앙고원 그리고 메콩 삼각지를 지목
- 2014년 6월, WB는 도시에 공급되는 물 약 40%가 지하수에서 나오며 가장 높은 비율로 물을 사용하는 하노이(1,000,000m³/d), 그리고 호치민 시(500.000m³/d 이상)로 추정
○ 수자원 관련 2012년도 법은 만약 지하수의 심각한 감소, 및 오염 또는 침강, 염류 침범의 위험이 있는 지역일 때, 지하수 사용을 제한하였음
- 그러나 지하수는 가뭄 시기 동안 취수량이 증가하여 엄격하게 준수되지 않고 있는 실정
- 호치민 시 당국은 2025년 지표수 정화 시설의 확장으로 지하수 사용량을 100,000m³/d로 감소시킬 계획인 반면, 하노이에서는 사적 소유인 Song Da WTP의 수용 능력을 두 배로 늘리고 새로운 WTP를 지어 지하수 의존성을 감소시킬 계획
□ 음용수
○ 개인 수도관을 설치한 가정의 비율이 2002년 12.7%에서 2010년 26.7%로 증가하였음
- 그러나 이는 베트남 가정의 1/4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타 국가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임
○ 또한 식수 수질 및 위생관리 측면에서는 도시와 농촌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
- 도시지역의 경우 개인 수도관을 설치한 가정은 약 66.5%이나, 농촌지역의 경우 약 9.2%에 불과함
- 농촌의 경우 대부분 우물에서 물을 수급하여 사용하고 있음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물시장 현황
○ 베트남의 물산업은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빠른 성장률(연 7%)의 GDP의 65%를 소비하는 시장으로 성장 중(1억달러 육박 소비시장)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트 유닛(EIU)에 따르면, 베트남은 신흥시장 중 가장 매력적인 시장
- 베트남 전체 인구 중의 약 50%가 30대 미만의 젊은 연령층으로, 이들이 소비시장을 주도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의 구매력이 높은 시장
- 한국 EDCF 지원 1위국이며, 우리의 10대 교역국으로 다문화가정 2위국(약 4만명)의 특성을 가짐
○ 최근 보고에 따르면, 하노이의 경우 7백만명이 오염수를 생활용수로 활용하고 있으며, 상하수도 인프라의 지속적 개선이 요구됨
○ 수자원분야의 지표수 오염, 부족, 염분현상, 수자원 분쟁이 대두되고 있으며, 지하수의 경우 오염과 고갈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수자원관리의 운영관리 능력은 미흡한 편이며, 효율적 처리 및 관리시스템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특히, 도시지역 수자원 공급사업의 비용회수는 낮은 편임
- 대부분의 배수시설이 우수하지만, 폐수처리 시설과 구분없이 구축되어 있고 노후화되어 생활폐수처리 수요에 못 미침
○ 주요 사업전망으로 폐수처리시설(WTP) 및 관망(network) 투자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망시스템에 대한 투자 미흡
○ 향후 시설 투자계획
사업분야(백만달러) | 2011-2015 | 2016-2020 |
총투자금 | 3,175 | 1,750 |
폐수처리시설 | 1,350 | 500 |
관망건설 | 1,600 | 1,000 |
노후 관망 교체 | 225 | 250 |
출처 : 환경산업기술원 베트남환경협력센터 내부 발표자료
□ 물시장 전망
○ 2020년까지 물시장 규모는 705.8백만 달러로 동남아 시장 중이며, 물산업 분야 성장률 27.13%으로 매우 높으며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
- 상수도 및 하수도 이용비율은 전체인구의 26.4% 및 1.7%의 낮은 수준으로 향후 상하수 인프라 구축 수요가 많을 것으로 기대
- 베트남의 공공식수의 투자 금액은 점차 증가할 것이며, 대부분의 투자가 물 공급 네트워크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KEITI, 2014 베트남JKEITI(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5,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2015)
□ 수자원
○ 담수화
- 담수화는 베트남에서 거대한 스케일로 수행되지는 않으며 총 설치된 수용 능력은 그저 63,000m³/d 정도로만 추정되고 있음
- 이 중 1/3 이상이 Hyflux에 있는 YonhXin 파워 플랜트의 담수화 능력에 집중되어 있으며, 미래 담수화는 고립된 섬이나 상업 복합 단지들에 제한될 것으로 전망
- 반면 해수담수화는 이미 메콩 삼각지의 지하수나 지표수를 대상으로 소규모로 인력이 고용되어 진행되고 있음
○ 지하수 보호
- WB(2014. 6월)에 따르면, 도시에 공급되는 물 약 40%가 지하수에서 나오며 가장 높은 비율로 물을 사용하는 하노이(1,000,000m³/d), 호치민 시(500.000m³/d 이상)로 추정
- 수자원 관련 2012년도에 제정된 법은 만약 지하수의 심각한 감소 및 오염 또는 침강, 염류 침범의 위험이 있는 지역일 때, 지하수 사용을 제한
- 호치민시는 2025년까지 지표수 정화 시설의 확장을 통해지하수 사용량을 100,000m³/d로 감소시킬 계획
- 반면, 하노이시는 사적 소유인 Song Da WTP의 수용 능력을 두 배로 늘리고 새로운 WTP를 지어 지하수 의존성을 감소시킬 계획
○ 댐과 저수지
- 베트남은 약 7,000개의 댐에 관개, 홍수방지, 물 공급, 발전을 위한 물을 축적하고 있음
- 2015년에 댐의 재건과 450개의 높은 위험을 가진 댐의 보수를 통해 안전성을 제고, 718개의 홍수 경고 시스템을 갖춘 관개용 저수지를 만들기 위해 WB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 이 프로그램은 또한, 4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위한 안정적인 물 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
- 호치민시는 사이공강의 염류 집적, 특히 가뭄 동안의 염류 집적이 도시의 지표수 자원 지속가능성을 위협할 것으로 보고 주기적으로 사이곤강의 상류에 있는 Dau Tieng 댐의 물을 방류하려 염수를 바다로 흘려보내는 것을 계획
- 사이공강 주변에 만들어진 저수시설(저수지)을 통해 주변도시에 깨끗한 물을 꾸준히 공급할 계획
□ 상수도현황
○ 상수도 현황 개요
- 상수도관망을 통해 서비스를 받는 인구수는 전체인구의 약 26.4%인 2,467만명(2015년 기준)
- 상수도 설비 용량은 연간 약 20억 톤(2009년 기준)
- 상수도 관망의 총 길이는 32,138km
- 누수율 22.3%(2013년 기준)
출처 : WHO/UNICEF2015, Vietnam Water Sector Reform/ Regulation 보고자료 2013
□ 하수도현황
○ 하수도 현황 개요
- 하수도관망을 통해 서비스를 받는 인구수는 전체인구의 약 1.7%인 160만명(2015년 기준)
- 연간 하수발생량 약 19.7억 톤(2012년 기준)이지만, 실제 처리률은 10%에 불가
- 하폐수 처리시설은 18개가 있으며, 설계용량은 약 598㎦/d 이지만 실제 운영/처리되는 용량은 약 460㎦/d(2013년 기준)
출처 : WHO/UNICEF2015, Vietnam Water Sector Reform/ Regulation 보고자료 2013, WB 2013
□ 물관련 법령현황
○ 주요 환경법 현황 개요
- 환경보호법 : 국가 재정의 1%이상을 환경보호 활동에 투자할 것을 법제화 함
- 국가 수자원관리법 : 수자원의 사용, 개발, 보호, 관리 및 수질에 미치는 악영향의 예방 및 극복에 대한 내용 명시
- 생물다양성법 : 생물보호 세부 시행방안 명시
- 산림보호개발법 : 산림보호 세부시행방안 명시
○ 환경보호법(52/2005/QH11)
- 1993년 제정되었으며, 당시에는 국가재정의 1% 이상을 환경보호 활동에 투자하도록 결의하였음
- 이후 2005년 개정되었으며, 환경보호 활동, 환경보호정책, 조치 및 재원, 환경보호에 관한 단체, 가정 및 개인의 권리와 의무에 대하여 정하고 있음
- 또한 환경기준, 환경영향평가의 대상 및 작성·평가방법, 생산, 사업 및 서비스활동에 대한 환경보호 활동 등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음
○ 국가수자원관리법(08/1998/QH10)
- 1998년 제정되었으며, 국가의 관리 효율성 증대, 수자원보호, 개발 및 이용에 관한 국가기관, 경제단체, 정치단체 및 개인 등에게 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
- 이 법에서는 수자원의 사용, 개발, 보호, 관리 및 수질에 미치는 악영향의 예방 및 극복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음
○ 생물다양성법
- 생물 보호의 세부 시행방안, 유전자 변형 생물체의 생물 안정성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 산림보호 개발법
- 산림보호 세부시행방안, 특수산림지의 관리, 산림환경 이용에 대한 비용 징수, 위법행위에 대한 행정처리 방안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물관련 정책현황
○ 주요 환경정책 및 프로그램 개요
- 베트남 도시와 산업지역의 폐기물 관리 전략: 도시지역과 산업부문의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적절한 적용방안이 명시됨
- 환경보호를 위한 국가전략 : 2020년까지 베트남의 환경보호 전반에 관한 전략 및 세부적용방안이 명시됨
○ 베트남도시와 산업지역의 폐기물관리전략(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Solid Waste in Vietnamese Cities and Industrial Parks, 1999)
- 이 전략은 베트남에서 정부(건설부)에 의하여 2020년까지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방식을 구현한 첫 번째 전략임
- 주요목적은 도시지역과 공단지역에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며, 법제정, 인식고취,민영화의 증가 및 현대 기술의 적절한 적용방안이 명시되어 있음
○ 환경보호를 위한 국가전략(National Strateg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2003)
- 이 전략은 2020년까지 베트남의 환경 보호 전반에 관한 전략을 구축한 것임
- 주요기능은 환경보호에 대한 경제적 접근 방법의 홍보, 법률 및 정책 개혁, 공공 및 시민 사회이 참여, 지역 및 국가 기관을 대상으로 능력 배양, 정책 연구, 오염 통제에 대한 추진전략임
- 전략의 목표는 생활 폐기물의 수집 90% 도달, 유해 폐기물 60%이상, 의료 폐기물 100% 처리 등 아래와 같은 목표를 설정함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상하수도 요금체계
○ 2012년 하노이 & 호치민 물값
물값 (15톤/한달기준) | 하노이 물 회사 | 호치민 시 물 회사 |
상수도요금 | $2.48 | $3.42 |
세금 | $0.12 | $0.17 |
하수도요금/환경보호비용 | $0.25 | $0.34 |
총 합 | $2.85 | $3.93 |
증가율(2011 대비) | 0.00% | 9.09% |
□ 상하수도 예산현황
○ 도시 상수도분야 투자 및 계획
상수도분야 투자 | 2011-2015 | 2015-2020 | ||
VND billion | $ billion | VND billion | $ billion | |
정수처리 시설추가/확장 | 27,000 | 1.30 | 10,000 | 0.47 |
관망건설 | 32,000 | 1.50 | 20,000 | 0.95 |
노후화된 관망 개보수 | 4,500 | 0.21 | 5,000 | 0.24 |
총합 | 63,500 | 3.02 | 35,000 | 1.66 |
총합 (2011-2020) | VND98,500 billion($4.68 billion) |
출처 : MoH, WHO and UniCEF, 2012
○ 도시 하수도분야 투자 및 계획
하수도분야 투자 | 2011-2015 | 2015-2020 | ||
VND billion | $ billion | VND billion | $ billion | |
도시하수 시스템 | 85,000 | 4.0 | 40,000 | 1.9 |
하폐수 및 하수시설 | - | - | 30,000 | 1.4 |
총합 | 85,000 | 4.0 | 70,000 | 3.3 |
총합 (2011-2020) | VND155,000 billion($7.3 billion) |
출처 : MoH, WHO and UniCEF, 2012
○ 농촌 상수 및 위생시설 예산(2012-2015)
| VNDbillion | $ million | 비율(%) |
중앙정부 예산 | 4,100 | 194.7 | 14.9 |
지방정부 예산 | 3,100 | 147.2 | 11.2 |
기부금 | 8,200 | 389.4 | 29.7 |
특별지원금 | 9,100 | 432.2 | 33.0 |
민간분야 투자 | 3,100 | 147.2 | 11.2 |
총합 | 27,600 | 1,310.7 | 100.0 |
출처 : MARD and MPI, 2012
□ 물관리 로드맵
○ 국가 수자원 개발계획 2020
(가) 수자원 관리강화
1) 수자원 관리강화를 위해 국가위원회 및 하천유역 관리 기구의 설립·운영
2) 모든 수준에서의 수장원 관리교육, 조성을 통해 교육시스템 강화, 원활한 의사소통 및 지역사회의 수자원 인식 향상
3) 수자원 이용 및 보호에 관해 NGO 및 지역사회 참여 강화
(나) 수자원 조직 및 연구 확대
1) 수자원의 통합 관리의 요구사항에 충족하기 위한 법률 및 관련규정, 수자원법에 대해 개정 및 보충
2) 물서비스 이용 및 공급, 수자원의 이용 및 개발, 수자원의 수질오염을 담당할 경제적 기구 및 기관 확대
- 수자원 분야와 관련된 수수료, 세금, 이용단가(요금) 등 경제적 도구 등을 이용한 규제 및 확대 방안 제시
3) 효율적인 물이용, 물안보 및 환경보호를 보장하고, 물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단체 및 개인의 투자를 독려
4) 수자원의 통합된 관리를 위한 지사 및 지방자치의 분권이 증가되면서 직무규정의 명확한 분류를 위한 개정을 통해 수자원분야의 행정개혁을 강화하고 중앙에서부터 지방(자치단체)수준으로 수자원에 관한 국가기관의 직무 및 기능 지원
5) 인적자원관리의 확대를 통해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며, 수자원의 보호 및 개발, 물로 인한 피해 및 보호활동을 위한 우수한 인재육성에 초점
○ 국가 수자원 조사 및 보호 계획
(가) 개정된 수법(2012)
1) 2012년 개정된 수법은 관개계획, 하천내 수자원계획, 수력 및 물공급 계획에 관련한 계획의 개정을 주로 다루고 있음
2) 최근 수자원계획의 관점은 수자원의 전략적 구축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2012년 개정된 수법에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함
- 물로 인한 피해 증가 및 기후변화의 불확실한 영향에 따른 수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기초 수자원 관리 과제를 실행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수자원의 기초조사 및 활동을 수행함
3) 수자원 관리부서(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와 자원환경부(MONRE)의 지원하에 국책연구기관 NAWAPI는 "수자원계획에 관한 기술규제에 관한 안내규정"을 발표하였음
- NAWAPI는 수자원이 스레폭(Srepok), 방지앙-기쿵(Bang Giang - Ky Cung)의 모든 하천 유역에 대한 계획을 설정하였음
4) 수자원 계획에 기초를 둔 베트남 정부는 "하천유역 내 수자원계획"을 제안하고, 또한 도시내 수자원 관리의 시급한 요구에 따라, 규정된 경제수준에 따른 적용계획, 기술계획 수립을 통해 베트남 내 많은 주(Province)와 도시(City)는 5년간 국내사정에 따라 수자원의 계획을 완성하게 됨
(나) 수자원의 보호 및 감독, 기초조사
1) 수자원의 보호 및 감독, 기초 조사는 이미 기초단계를 넘어 모든 이전시기의 결과(성과)에 얻도록 실행하였으며, 통합된 수자원의 이전 지표수 및 지하수는 통합되지 않았음
2) 수자원 주요지면에 대한 조사된 자료는 해류(물살)특성 및 하천의 형태를 근거로 설정하였음
- 주요한 토지아래 수자원(지하수)에 대해서는 직접 탐광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 맵핑(mapping) 하였음
- 수자원의 관찰에 대한 시점은 수자원에 대한 관찰을 일생동안 하지 않는다면, 다른 지하수의 형태변화 관찰 및 수로 관찰소 체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였음
- 지표수와 관련하여, 2003년 이전에 이미 많은 제안으로 "베트남 하천 형태학(形態學)"(1985)에서 제안한 것처럼 (노후된)수로에 대한 교체 및 정비를 실행하였음
- 뿐만 아니라, 기상국 및 보건국에 의해 주요 하천의 해류특징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였음
* 모든 지역 통합조사: 1976-1980년간 북서부(Tay Bac), 서부고원지방(Tay Nguyen), 메콩삼각주(Dong bang song Cuu Long)"; “베트남 영토내 지표수 평가” (1985); “베트남의 모든 수자원 이론의 저장성능 평가" (1986); “7개 지역의 농업경제를 위한 TNN 평가”(1986); “농업중심, 국방 및 수로서비스 생산과 대기현상에 관하여 천연자원조건 및 자원평가”; “국가 수자원의 효과적 이용 및 보호, 균형” “베트남 수자원(TNN) 지도”(2003) 등
- 2003년 이후, 자원환경부(MONRE)에 속하는 수자원 통합관리기초에서, 수자원 조사와 관련된 모든 사업단위를 50여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음
· 수자원을 이용한 개발상황 조사 및 넓은 하천유역 및 하천 수원지로 유입되는 방류된 폐수의 조사 등
- 그러나 수자원의 평가 및 조사의 기술적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경제적 규제의 부족은 오래된 규칙 하에 실행된 프로젝트 및 기술수준에 대한 갱신을 제도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음
- 2009년 자원환경부(MONRE)에서는 수자원 기초조사를 위한 제안 및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 (15/2009/TT-BTNMT, 20/2009/TT-BTNMT, 21/2009/TT-BTNMT) 발표하였음
· 일부 프로젝트는 지표수 조사 및 평가의 단계에 초점을 두고 실시
- 베트남 국경지대내 수자원표면(TNN surface) 평가 및 프로젝트 조사: 라오스(Lao)의 Ma강, Ca강;
- Vu Gia-Thu Bon 하천과 최소유량을 결정하는 계획안
- 하노이 수도지역 내 지하수 및 지표수를 결합한 수자원의 전반적 평가,
- Lo - Gam 및 메콩강삼각주 하천 및 북부만 가장자리 경제지대.
- 지하수와 관련하여, 2003년 이전기간에는 베트남의 지질학적 지도로 1:500,000 비율을 대부분 사용하였고, 몇몇 지역은 1:200,000의 비율로 작성되었음(236.34㎢)
· 동북부, 서북부, 중북부 및 서부고원지방의 지하수를 포함하고 있는 주요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지도가 만들어져 있지는 않지만, 1:50,000과 1:25,000 비율의 지도를 통해 주요 경제지역의 총면적이 지하수 관련 베트남의 지질학적 면적의 17%인 58,911㎢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음
- 같은 기간 동안, 수자원 조사는 주로 수문학적 조사 및 지하수의 유동성에 초점을 따로 이루어졌음
(다) 수자원 모니터링 프로젝트
1) 베트남 총리(Prime Minster)는 물부족 지역 및 고산지대에 물공급을 위한 지하수자원의 모니터링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지원을 승인
- 이를 위해, 자원환경부, 재정부, 농업부, 농촌개발부, 과학기술부는 낙후된 지역에 대한 물공급 계획 및 프로젝트를 실시할 세부계획을 수립하였음
- 1990년 이후로, 수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현재 베트남 전역의 지하수 모니터링을 위한 730곳, 지표수 모니터링을 위한 7곳이 운영 중에 있음
- 2016-2020년 기간 동안 모니터링 사이트의 확충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통해, 자원환경부(MONRE)는 중북구 지역, 중남부 해안지역, 동북부 및 서북부지역에 지하수 모니터링 지점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음
· 지하수 관련 남부지역과 고산지대, 북부지역을 잇는 모니터링 네트워크의 형성을 위해 추가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
2) 수자원의 조사결과는 현재 수자원 개발계획에 대한 실증적 자료의 제공 및 향후 수자원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3) 또한 이번 결과를 통해 베트남의 대부분의 주와 도시들의 경제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수자원 관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하고 있음
(라) 국가수자원 계획 전략 목표
1) 총리와 자원환경부에 의해 승인된 수자원 조사 프로그램을 마무리하기 위한 수자원의 우선순위를 정함
- 목표 1: 2016-2020년 기간 동안 베트남 전역의 물부족 지역과 고산지대에 음용수를 제공할 지하수 자원의 조사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제안서를 2016년에 승인받아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중북부 지역에 수자원 모니터링 사이트를 70 곳 건설을 위한 승인 및 제안서를 완성
- 목표 2: 2017년까지, 베트남 전역에 대한 1:200,000 비율의 수자원 지도의 개선 및 조정을 위한 프로젝트의 완료
· 투이호아-반닌 지역에 대한 수자원 조사 프로젝트
· 베트남 전역에 있는 섬지역(5개 섬)에 대한 물공급시설의 건설을 위한 수자원 평가 및 조사 프로젝트
· 다낭에서 빈투안 지역까지 지하수 취수에 있어서 제한된 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조사 및 평가 프로젝트
· 티엔강 북부지역의 수자원 조사 프로젝트 등
- 목표 3: 2020년까지, 로-갬 하천 유역의 수자원 개발계획을 위한 조사 프로젝트의 완료
· 베트남의 대규모 도심지역의 지하수 보호 및 조사를 위한 프로젝트
· 동북부 및 동서부 지역의 지하수 자원의 모니터링 네트워크 건설을 위한 투자 완료
· 중남부 해안, 남부해안 및 북부평야 지대의 모니터링 네트워크 작업의 보완 등
(마) 베트남의 수자원 분야 정책 및 개발계획
1) 최근 10여 년간 베트남 정부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간 상하수도 보급 격차를 축소함은 물론 물공급 및 수처리 시설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국민생활의 질 향상을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투자 중
2) 베트남정부는 2016-2025년 기간 동안의 전국 물부족 지역 조사 및 수자원 개발계획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베트남 주요 도시의 수자원 조사를 위한 프로젝트를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2018년부터 베트남의 여러성(주, Provinces)에 걸친 강에 대한 수자원계획수립부터 시작할 예정임
3) 베트남의 주요 강들을 대상으로 국제공동연구, 공동기술개발, 수자원개발 및 관리를 위한 현대화된 기술습득과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4) 이를 위한 이행방법으로,
① 수법(2012)에 대한 제도 및 지침에 대한 전문가 양성
② 수자원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조속한 계획 수립
③ 현대화된 수자원기술에 대한 전문적 지식 습득 및 트레이닝을 통한 수자원 전문가 양성
④ 높은 정확도를 가진 수자원 개발 및 조사 기술도입을 위한 국제공동협력 추진 강화
⑤ 물분야의 국가관리 수준 강화에 주력하고 있음
5) 정책목표와 부합되도록 상수도시설 개발을 위한 정부정책목표를 수립
- 2020년 도시 상수도 개발 계획(Orientation plan for urban water supply to 2020)을 통해 도시를 5개 등급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상수도 공급목표를 수립하여 실행 중
○ 베트남 2020년 도시상수도 개발계획
출처 : K-water 2015
□ 물관련 조직현황
○ 환경 행정조직 및 체계
- 과학기술환경위원회: 환경법률 체계 담당
- 자원환경부 :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수자원 정책 담당
- 건설부 : 공급 및 폐수서비스, 홍수 인프라 구축 등 담당
- 농업농촌개발부 : 관개 및 배수, 홍수 및 재해 예방 담당
- 기획투자부 : 물산업 분야의 개발 및 투자조건, 인센티브 제도 등 담당
- 재정부 : 국가예산 관리 담당
- 과학기술환경위원회(Committee on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 환경법률 체계를 담당하며, 환경 및 생태계에 관한 법률이나 법령을 사전 심의한 후 국회에 상정시켜 통과시키는 역할 담당
· 과학, 기술, 생태환경보호영역에 관한 법안, 법령안 및 계획안 심사
· 국가의 경제사회발전프로그램과 각종 계획 중 과학, 기술, 생태환경보호 발전에 관한 정책실현에 있어서 정부 및 관련 기관의 활동 감사
· 각 관기관의 조직, 활동과 관련된 각종 문제 및 과학, 기술, 생태환경보호 발전 투자 정책에 관한 문제건의
- 자원환경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MoNRE)
·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수자원 정책을 담당함. 토지, 수자원, 광산자원, 지질, 환경, 기상, 수리, 측량, 해양 및 도서지역 관리, 관리범위에 속한 영역에서의 공공서비스 등에 관한 업무 담당
· 자원환경부 소속으로 환경총국과 자원관리국이 있으며, 환경총국은 환경관련 기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환경 영향평가 업무도 담당함
· 수자원관리국은 국가 단위의 수자원관리뿐만 아니라 수자원 법규의 개정 업무도 담당함
· http://www.monre.gov.vn/wps/portal/english
- 건설부(Ministry of Construction, MoC)
· 물공급 및 폐수 서비스, 홍수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규정 및 지시사항 등을 규제
· http://www.moc.gov.vn/web/guest/english
- 농업농촌개발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MARD)
· 관개배수, 홍수 및 재해 예방 등과 관련된 문제를 담당
- 기획투자부(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MPI)
· 물산업 분야의 개발 및 투자조건, 절차, 인센티브제도 등에 관한 규정을 제안, ODA에 따른 지급금 관리
· http://www.mard.gov.vn/en/Pages/default.aspx
- 재정부(Ministry of Finance, MoF)
· 국가예산관리 및 세관, 회계, 증권, 재정서비스 활동 등의 업무 담당
· (http://www.mof.gov.vn/webcenter/portal/mof?_afrLoop=27431009727429029)
출처 : KEITI, 2014 베트남환경시장분석보고서
□ 병물사업
○ 베트남 병물시장은 연간(2014~2016년) 16%가량 성장할 전망이며, 연매출 2억7900만 달러 규모의 성장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Data Monitor, Euromonitor 조사)
- 베트남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하노이, 호치민 등 주요 6개 도시에서 병물시장은 2012년 말 기준 전년 대비 2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남(Nielsen report)
- 현재 베트남 국내에 1,000여 개가 넘는 생수 제조공장이 존재하며, 소비자에게 잘 알려진 브랜드는 전체의 20여 개에 불과
- 거액의 광고비를 지출하는 외투기업을 제외하고 브랜드 인지도는 매우 낮은 상태
- 일반가정은 물론 도시화에 따른 기업 및 기관등 사무실에서의 수요증가에 따른 대용량 병물의 용기가 늘어나는 추세
○ 베트남 병물시장의 주요상표
상표 | 병물 특성 |
미루(Miru) | -지하수를 끌어올려 미생물 처리방식인 UV와 Ozone의 역삼투압 방식을 이용하여 정제한 생수 -ISO 9001:2000과 ISO 2200 국제기준에 따른 품질관리 시스템 -물통 보증금: 50,000VND/통 19.5L -가격: 35,000VND |
골드생수 (Gold-sengsu) | -베트남 북동부의 떤사 지역 지하 120m 암반수를 최신식 미국의 정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한 물 -한-베 합작회사로 북부를 중심으로 병물시장 확보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L -가격 : 40,000VND |
라비 (LA Vie) | -Nestle Waters의 최신식 기술로 생산, 관리하고 있는 화학처리 없는 천연광천수 -시중의 일반 생수에 다량 들어있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을 제한하여 만든 천연광천수라는 것이 La Vie의 특징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L -가격 : 50,000VND |
바이탈 (Vital) | -베트남 동북쪽 산자락의 면적 12k㎡의 대지 끌어올려 만들어낸 천연광천수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L -가격 : 50,000VND |
낌보이 (Kim Boi) | -베트남 보건부의 검사와 인증을 거쳐 ISO 9001-2008 기준에 따라 생산하고 관리되는 베트남산 천연광천수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5L -가격 : 48,000VND |
웰스 (Wells) | -HACCP 식품 안전 위생 품질 관리 시스템 및 ISO 9001: 2000 품질관리 시스템과 같은 국제규격에 맞춰 생산 관리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5L -가격 : 35,000VND |
사푸와 (Sapuwa) | -남부 호치민에서는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회사의 광천수 -베트남 최초의 오존 살균 기술을 도입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L -가격 : 45,000VND |
빙 하오 (Vinh Hao) | -Nam Truong Son산 중턱에 고압력 시스템으로 땅속 깊은 곳에 스며든 물을 끌어올려 만들어낸 천연광천수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20L -가격 : 35,000VND (정제수)/50,000VND(광천수) |
띠엔 하이 (Tien Hai) | -1987년부터 베트남 병물시장에서 기반을 다지고 있는 제품 -베트남 북부 Ninh Binh 지역의 천연 암반수로, 지역주민에게 인지도가 있는 병물 중의 하나 -베트남과 세계시장의 생수 표준에 맞추어 품질관리 -물통 보증금 : 50,000VND/통 19.5L -가격 : 48,000VND |
아쿠아피나 (Aquafina) | -지하수를 끌어올려 RO(Reverse Osmosis)와 Ozone 시스템을 통해 물을 정수하는 과정을 거쳐 생산 -Pepsi에서 생산하는 물로 베트남 내에서는 La Vie와 더불어 가장 인정받는 브랜드 -시판제품 : 350ml / 500ml / 1,500ml / 5L |
주: 병물가격은 판매회사의 브랜드 인지도, 지역 및 판매점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출처 : KOTRA-Global Market Report, 러시아 환경산업 분석 및 진출방안.2014
□ 해외원조
○ 베트남 조달시장 규모는 220억 달러 규모로 지속 성장세(2014년 기준)
- 시장규모 여간 13만 건, 220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12년부터 건수 및 금액 모두 증가세, ’20년 271억 달러까지 증가 전망
○ 베트남 조달시장 규모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8(f) | 2020(f) |
건수 | 95,499 | 116,587 | 130,539 | 133,906 | - | - |
입찰금액 (백만달러) | 38,424 | 21,207 | 21,966 | 23,859 | 24,834 | 27,105 |
수주액 (백만달러) | 36,797 | 20,210 | 20,318 | 22,178 | - | - |
출처: 베트남 기획투자부(MOPI), 2015
○ 가장 규모가 큰 ODA 및 정부 개발투자 부문에서는 건설프로젝트가 57%로 가장 높고, 상품구매 23%, 컨설팅 4% 수준
○ 2014년 ODA 및 정부 개발투자 분야별 규모
분야 | 건수 | 입찰금액 (백만달러) | 수주액 (백만달러) |
컨설팅 | 54,570 | 829 | 743 (4.3%) |
상품구매 | 15,563 | 4,570 | 3,986 (23.2%) |
건설 | 31,097 | 10,498 | 9,892 (57.5%) |
EPC | 771 | 2,460 | 2,400 (13.9%) |
기타 | 10,259 | 215 | 184 (1.1%) |
합계 | 112,660 | 18,572 | 17,205(100.0%) |
○ 공개입찰이 전체입찰 중 63.2%(입찰금액 기준, 기타(미분류) 제외)를 차지, 이중 83%가 국내입찰, 17%가 국제입찰이며, 수의계약도 30.5%로 상당히 높은 편
○ 2014년 ODA 및 정부 개발투자 분야 입찰형태
구분 | 건수 | 입찰금액 (백만달러) | 수주금액 (백만달러) | 비중 (국내/국제) | |
공개입찰 | 국내 | 11,356 | 6,289 | 5,890 | 82.6% |
국제 | 397 | 1,528 | 1,244 | 17.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