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방글라데시(Bangladesh), 방글라데시인민공화국(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 위 치 : 남아시아
○ 건국(독립)일 : 1971년 12월 16일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143,998㎢ (한반도의 2/3)
○ 인 구 : 약 159,730,000명 (2016)
○ 기 후 : 아열대 몬순기후
○ 수 도 : 다카(Dhaka)
○ 주요도시 : 바리살 시, 치타공, 쿨나, 라지샤히, 랑푸르, 실렛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수련(Water Lily)
○ 국 조 : 오리엔탈 개똥지빠귀(Oriental Magpie Robin)
□ 정치
○ 정부형태 : 단일 국가 의원 내각제 공화국
○ 실 권 자 : 대통령 : 압둘 하미드
○ 총 리 : 셰이크 하시나
○ 정부구조
- 의회는 임기 5년의 단원제, 의석은 345석
- 방글라데시의 통치구조
· 행정부
· 입법부
· 사법부
· 지방행정조직
- 방글라데시의 정당
· 아와미연맹
·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
· 자티야당
○ 행정구역
- 방글라데시는 7개의 ‘구’(division)로 구성되고 구 다음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은 ‘현’(zila, districts)이며 방글라데시에는 64개의 현이 존재. 이것은 다시 우파질라(upazila, subdistricts) 또는 타나(thana)로 나뉜다.
· 바리살 구 - 바리살 시
· 치타공 구 - 치타공
· 다카 구 - 다카
· 쿨나 구 - 쿨나
· 라지샤히 구 - 라지샤히
· 랑푸르 구 - 랑푸르
· 실렛 구 - 실렛
○ 외 교
- 방글라데시는 1974년 9월 17일 국제연합(UN)에 가입했으며, 비동맹운동(NAM) 국가연맹, 영국연방(영연방), 이슬람회의기구(OIC) 및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의 일원
- 방글라데시의 대외 관계 특징
· 독립 주권 수호-안보 외교
· 빈곤 탈피, 국제 협력 추진
· 이슬람권 결속 기여 노력
· 비동맹 외교를 통한 국제적 지위 향상
□ 경제
○ 화폐단위 : 타카(Taka, TK)
○ 외환보유고 : 28800 (USD - 백만) (2016)
○ 교역규모
- 수출 : 187.48 (BDT - 억)
- 수입 : 254.13 (BDT - 억)
- GDP : 2,263억$ (2016)
- 1인당 GDP : 1,401$ (2016)
- 경제성장
| 2012 | 2014 | 2016 |
GDP growth (annual %) | 6.52 | 6.06 | 7.05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 1차 산업 비중은 18.7%, 2차 산업은 32.0.5%, 3차 산업은 49.3%로 1차 산업의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2차 산업, 특히 제조업 및 건설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
- 주요자원 : 천연 가스를 비롯해서 바닷물을 이용한 염전·석회석·고령토 등이 생산되며, 티탄, 철광, 모나자이트, 지르콘 등을 함유한 비중이 큰 무기질모래, 질이 낮은 석탄, 토탄 등
□ 사회·문화
○ 언 어 : 벵골어(공용어)
○ 민 족
- 벵골 족이 대부분으로, 인구의 98%를 차지, 그 외에도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비하르 주 등 인도 출신으로 하는 비(非)벵갈인 이슬람교도가 2%를 차지
○ 종 교 : 이슬람교 86.6%, 힌두교 12.1%, 불교 1% 크리스트교0.4% 기타종교 0.3%
○ 교 육
- 교육 제도는 초등학교 5년, 중학교 5년, 고등학교 2년 5-5-2제이다. 식자율은 2009년을 기준으로 53.5%로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5년간이다. 취학률은 2000년 95%에 달했고, 그에 따라 문맹률도 서서히 개선되었지만, 아동의 퇴학율이 30%에 달해 또한 수업이나 교육환경의 질도 낮아서 아동의 학력향상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 방글라데시의 문맹율은 아주 높다. 택시기사들은, 호텔에서 관광객에게 나눠주는 호텔 이름조차 못 읽는 경우가 많으며, 총선거가 실시될 때 벽보나 홍보 책자에 실리는 후보자를 구분하기 위해, 각색의 동물이나 물건(예컨대, 호랑이, 망고, 걸상, 비행기 등)의 그림으로 구분하여 적어야 한다. 방글라데시 민중들에게 배움이 없다는 현실은 곧 정치적, 경제적 부정부패와 비리의 온상이 된다. 현재 방글라데시의 문해율은 47% 정도로 다섯 명 가운데 두 명만 글을 읽을 수 있다.
○ 축제 / 명절
- 1월 1일 : 신년
- 2월 21일 : 모국어의 날
- 3월 17일 : 국부 생일
- 3월 26일 : 독립기념일
- 4월 14일 : 방글라데시 신년일
- 5월 1일 : 노동의 날
- 8월 15일 : 국가 애도일
- 8월 25일 : 흰두 축제일
- 10월 11일 : 흰두 축제일
- 12월 16일 : 정승기념일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두산백과 IMF, 네이버 지식백과, Trading Economics
□ 일반
○ 고온 다습한 아열대몬순 기후로 11월~2월은 겨울, 3월~6월은 여름, 7월~10월은 우기로 구분한다.
□ 기온
○ 기온은 평균적으로 겨울에는 20℃(11℃~29℃)이고, 여름에는 36.7℃(21℃~38℃)이다.
□ 강수량
○ 연평균 강수량은 1902㎜~4842㎜이다. 주요 도시별로는 다카 : 2186㎜, 실렛 : 4842㎜, 치타공 : 3310㎜이다. 7월~9월은 연강수량의 75%가 집중되는 홍수다발 시기이다.
출처 : 외교부,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자연재해
○ 방글라데시 남부 인도양에 위치한 벵골만 지역에서는 해마다 주기적으로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방글라데시 전역에 걸쳐 수많은 사상자와 재산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그리고 방글라데시 국토의 대부분이 해발 10m 이하의 낮은 충적토 지대이고 강이 많은 탓에 홍수로 인한 재해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강도는 높지 않으나 간헐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고 있어 방글라데시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 방글라데시는 여름계절풍 기간인 6월~10월 사이 지표수가 차고 넘치지만, 상대적으로 4월~5월 사이 건조한 날씨에는 지표수가 모자라고 연간 재생가능 한 수자원은 105㎦이다. 또한, 방글라데시의 수자원은 인도, 네팔, 중국의 Meghna, Ganges, Brahmaputra강 유역에 많이 의존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지하수
○ 농촌에는 우물이 많이 존재하고, 이용도가 상당히 높은데 농부들은 생산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물을 관개할 때 지하수를 이용한다. 방글라데시의 GDP의 발전은 대체로 수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지하수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를 개간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
출처 : Groundwater Resources Developmnet in Bangladesh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지표수
< 2010년 수질 지표 >
- 2010년 DO, pH, 전도성, 총 질소, 총 인 다섯 가지의 지표를 가지고 측정한 수질의 점수는 100점 중 78.8점으로 측정되었다.
출처 : UN Water Bangladesh
□ 처리, 폐수
○ Dhaka's Economic Processing Zone(DEPZ)산업으로부터 나오는 공업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Bio-electric에너지를 사용한 설비가 가동되었고, 설비가 가동되기 시작하면서 폐수를 정화하는 양이 15,000㎥/day로 측정된다. 또한 설비의 가동을 통해서 폐수를 국내수로를 통해 버렸으나 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게 되었다.
출처 : Water World - Bio-Electric wastewater treatment in bangladesh
□ 지하수
○ 1993년 방글라데시의 상당히 많은 지역의 지하수가 비소오염이 되어있는 것을 발견했고, WHO는 125백만 인구 중 35~77백만의 인구가 비소오염이 된 지하수를 마신다는 것을 관측했다. 이에 비소를 여과할 수 있는 장치, 방법을 모색하여 해결하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 음용수
○ 농촌지역의 98%이상의 사람들이 지하수를 식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수도인 다카는 물 공급의 82%가 비소를 여과한 지하수이고, 나머지 18%가 지표수인데 이는 세 개의 회사가 담당한다.
□ 물시장 현황
○ 2015년 기준 총 물 시장 규모는 $ 688.9백만으로 총 설비 자본 $ 221.9 백만이며 총 운영 자본 $ 457.0백만이다.
○ 설비자본을 부문으로 나누면, 상수 부문에서 $ 139.9백만, 하수 부문 $ 57.9백만, 산업용 자본 $ 24.0으로 분류된다.
○ 운영 자본을 부문으로 나누면 상수시설이 $ 56.4백만, 하수시설이 $ 21.1백만, 산업 운영자본이 $ 389.5백만으로 분류된다.
○ 설비자본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기술은 네트워크 및 수자원 개발($ 145.4백만), 일반 시설 개발($ 25.5백만), 고형 폐기물 제거($ 24.4백만) 순이다.
○ 운영자본의 경우 노동($ 223.4백만), 화학($ 115.9백만), 에너지($ 65.9백만) 순으로 많은 돈을 들이고 있다.
□ 수자원
○ 2014년 기준 전체 지하수는 21.1km³/yr이며 지표수는 1,206km³/yr으로 총 수자원 양은 1,227.1km³/yr로 나타난다.
○ 2008년 기준으로 수자원들 중 농업용으로 31.50km³/yr, 산업용으로 0.77km³/yr, 지방의 사용을 위한 용량 3.6km³/yr으로, 총 35.87km³/yr를 사용한다.
○ 상수 공급을 받는 인구 1억 4천 9백 8십만 명 중 9.7%가 수돗물을 이용하고, 74.5%가 다른 시설을 이용하며, 15.8%가 정화되지 않은 원수를 이용한다. 반면 하수의 경우 하수 연결로를 이용하는 인구가 2.8%, 다른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는 81.2%, 그대로 배출하는 경우는 16.0%가 된다.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 2015
□ 상수도현황
○ 급수구역 인구수(2011년 기준) : 14,530,600명(9.7%)
○ 관망 연결의 수는 1,833,897개
○ 상수 시설 수용 능력은 569,959,000m³/yr
○ 계량기 보급률 15.1%
○ 누수율 31.5%
출처 :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1, Measure DHS, 2013
□ 하수도현황
○ 하수도 인구수 : 4,194,400(2.8%) (2011)
○ 하수도 연결 수 : 579,125 (2011)
○ 하수량 : 568,548,000m³/yr
○ 하수 수집율 : 2.5%
○ 2차 단계에서 처리되는 하수 비율 : 2.0%
출처 :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1, Measure DHS
□ 물관련 법령현황
○ 방글라데시 물 법 2013
○ 국립 강 보호위원회 법 2013
○ 시 지역의 모든 놀이터, 오픈 지역, 공원 및 도시의시 지역, 부문 타운 및 지구 타운, 물, 저수 지 보존 법 2000
○ 수자원 계획 법 1992
○ 방글라데시 물 개발 보드 법 2000
○ 지하수 관리 법령 (1985)
○ 방글라데시 환경 보존 법 1995
○ 운하 법 1864, 제방과 배수 법 1952
○ 물 공급 및 배수 기관 법 1996
○ 부동산 개발 및 관리법 2010
○ 항구 법 1908, 공공 공원 법 1904
○ 관개 법 1876
○ 탱크 개선 법 1939
○ 군대 주둔지 법 1924
○ 영해 및 해양 구역 법 1974
○ 지방 정부 (시) 법 2009
○ 지방 정부 (도시 공사) 법 2009
○ 지방 정부 (연합위원회) 법
출처 : Review of law and policy to protect water bodies in Bangladesh, Syed Mahbubul Alam, LLB,
□ 물관련 정책현황
○ 국가 음용수 정책 (1999)
○ 국가 환경 정책 (1992)
○ 국가 수산 정책 (1998)
○ 국가 물 공급과 배수 정책 (1998)
○ 국가 농업 정책 (1999)
○ 국가 삼림 정책 (1998)
○ 국가 산업 정책 (2010)
○ 국가 해군 정책 (2000)
○ 국가 토지 정책
○ 국가 물 관리 계획
○ 해안 구역 정책
출처 : Review of law and policy to protect water bodies in Bangladesh, Syed Mahbubul Alam, LLB,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대표적으로 Dhaka의 경우 고정 요금은 없지만 상하수 사용 비례요금은 $ 0.10/m³, 판매세는 $ 0.03/m³으로 총 가격은 $ 0.24/m³
○ Khulna의 경우 고정요금 $ 0.04/m³이며 상하수 사용 비례요금은 없어서 총 요금액은 $ 0.04/m³
출처 : benchmarking for improving Water Supply delivery, WSP, 2009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Engineering (DPHE) : 세 개의 가장 큰 도시 지역인 Dhaka, Khulna, Chittagong을 제외하고 나라 전역에 있는 지방 정부 및 단체들의 물 기반 시설 건설을 조력한다.
○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Council (NWRC)는 관련 부서 중 가장 높으며 정책을 규정하고 관련 정책들의 시행을 감독한다.
○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Organization (WARPO)는 실행위원회의 사무국으로 the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cts 하에서 움직인다.
□ 병물 사업
○ Khilkhet Water Supply Project, Dhaka : Dhaka시에 수행하기 위한 500,000m³/d만큼의 수용능력을 가진 WTP 개발계획. 이 플랜트는 Dhaka Environmentally Sustainable Water Supply Project의 일환으로 지하수 추출을 감소시키는데 조력하는 프로젝트이다. 다른 구성 프로젝트들로는 WTP의 O&M과 급수 본관과 흡입구, 21.5km의 송수 기반시설 건설, 그리고 Dhaka시에 정화된 물을 배급하기 위한 34km의 송수 네트워크 건설을 포함한다.
○ Konabari Cluster CEPT : 일반 폐수 정화 플랜트(CEPT)건설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Dhaka의 북쪽 22km지점에 있는 클러스터를 위한 중앙 발전 플랜트와 효율성이 좋은 조명이 있는 클러스터. 이 클러스터는 직물, 면, 제지, 화학, 제약, 염료 등의 산업을 포함한 여러 산업 직군을 가진 6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 중에서, 조사는 주로 물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기위한 나은 기술과 관련하여 CEPT에 실행 가능한 기술적 옵션들을 알아보고 있다.
□ 해외원조
○ 2014년 기준 계약상의 Commitment는 $ 439.42백만이지만 실제 Gross disbursement는 $ 180.99백만이 원조되었다.
□ 한국과의 협력
○ 방글라데시의 하수와 폐수의 경우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류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지하수도 비소중독 위험이 존재한다. 때문에 지표수를 수원으로 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서 2012년 방글라데시 상하수도 시설 개선을 위한 개발도상국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사업을 실시하였고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범한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이를 수행하였다.
출처 : “대한민국, 방글라데시 기본계획 수립지원“, 환경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