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바레인 왕국(The Kingdom of Bahrain)
○ 위 치 : 서쪽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남쪽으로는 카타르와 접한다.
- 북위 26°13′00″ 동경 50°35′00″
○ 건국(독립)일 : 1971.8.15.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760㎢, 세계 188위(36개 도서로 구성, 강화도의 2배)
○ 인 구 : 134만 명(‘15)
○ 기 후 : 섬나라이며, 고온 다습한 기후여서 여름에는 45도에서 47도까지 오른다. 그러나 겨울(11월 말~1월 말)에는 일교차가 25도 이상 날 정도로 기후 변화가 심하며, 전체 강우량의 90% 이상이 이 시기에 내린다.
○ 수 도 : 마나마(Manama)
- 바레인의 가장 큰 도시로 인구가 약 155,000명에 달해, 대략 바레인 전체 인구의 1/4에 가깝다. 마나마의 경제적 기반은 바레인 전체가 그렇듯이 석유, 원유 정제, 다우선 건조, 어업, 진주 생산 등이다. 마나마는 무하라크 섬의 바레인 국제공항과 고속도로가 통해있다. 마나마에는 또한 1986년 설립된 바레인 대학교가 위치해 있기도 하다.
○ 주요도시
- 리파 : 리파는 바레인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인구는 121,566명(2010년 기준)이다. 도시는 동(東)리파와 서(西)리파로 나뉜다. 도시의 대부분 지역이 중부 주에 위치하고 있고 소수 지역이 남부 주에 위치한다. 주민의 대부분은 수니파 무슬림이다.
- 무하라크 : 무하라크("먼지의 땅"이라는 뜻)는 바레인 북동부와 무하라크 섬에 위치한 도시로, 무하라크 주의 주도이며 1923년까지 바레인의 수도였던 도시이기도 하다. 바레인 국제공항이 위치한다.
- 이사타운 : 이사타운(마디나트이사, 영어: Isa Town)은 바레인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40,810명(2010년 기준)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중부주에 속한다. 도시 이름은 1961년부터 1999년까지 바레인의 아미르로 있던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 국 기
- 바레인의 국기는 2002년 2월 14일에 제정되었다. 빨간색은 페르시아 만에 위치한 나라의 국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색이며 깃대 쪽으로는 하얀색 띠가 그려져 있다. 빨간색과 하얀색은 5개의 톱니로 나뉘어 있다. 다섯 개의 톱니는 이슬람교의 다섯 기둥을 의미한다. 1820년 이전까지 사용되고 있던 바레인의 국기는 빨간색 한 색으로만 이루어져 있었지만 1820년 하얀색 좁은 띠가 추가되었다. 1932년 이웃 나라와의 국기와 구분하기 위해 28개의 톱니가 추가되었으며 1972년 톱니를 8개로 수정하였다. 2002년 톱니를 5개로 수정하여 오늘에 이른다.
○ 국가문장
- 바레인의 국장은 바레인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국장의 원형은 영국의 보호령 시절이었던 1930년대 당시 영국인 고문 찰스 벨그레이브가 바레인의 국왕을 위해 디자인했던 문장이다. 국장 가운데에는 세로 방향으로 그려진 바레인의 국기 문양의 방패가 그려져 있으며, 방패 뒤쪽에는 빨간색과 하얀색 두 가지 색의 망토가 그려져 있다.
○ 국 조 : 흰뺨불불(White-cheeked Bulbul)
□ 정치
○ 정부형태 : 입헌군주제
○ 실 권 자 : 국왕 : Sheikh Hamad bin Isa Al-Khalifa(1999년 3월 즉위)
○ 총 리 : Sheikh Khalifa bin Salman Al-Khalifa
○ 외교장관 : Sheikh Khalid bin Ahmed bin Mohammed Al-Khalifa
○ 정부구조
- 바레인의 정치제도 : 바레인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1783년부터 알할리파(al-Khalifa) 가족 계보가 바레인을 통치한다.
- 바레인의 권력구조 : 바레인은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내각이 국왕에 의하여 임명되고, 입법부는 국가자문회의의원 40인, (임기 4년)와 국민의회의원 40인, (임기 4년)의 2개로 구성, 사법부로는 고등민사항소법원이 있으며, 일반 민사는 주로 이슬람교 율법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 바레인의 행정각부 : 행정각부는 부총리 3명, 외교, 재무, 국방 등 22개 부처장관으로 구성된다.
○ 행정구역
- 바레인은 4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2002년 7월 3일에 실시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5개 주가 신설되었으며 이전까지는 12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 수도 주 : 바레인의 수도인 마나마가 위치한다.
· 중부 주 : 중부주는 2014년 9월 25일을 기해 폐지되었고 수도 주와 북부 주, 남부 주에 합병되어 오늘에 이른다.
· 무하라크 주
· 북부 주
· 남부 주 : 남부 주는 바레인에서 면적이 가장 크고 인구가 가장 적은 주이다. 바레인 섬 남부와 하와르 군도를 관할한다.
○ 외 교
- 친(親)미, 친 서방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자국의 안보 및 경제를 미국 및 영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 걸프협력회의(GCC)의 일원으로, 역내 국가들과의 안보, 경제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걸프협력회의 경제대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 바레인은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등 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있어서는 팔레스타인의 입장과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수립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바레인 디나르(BHD)/ 1US$=0.376BHD
○ 외환보유고 : 2059.30 (BHD - 백만) (2015)
○ 교역규모
- 수출 : 수출: 142억불(알루미늄, 석유화학 제품)
- 수입 : 수입: 89억불(원유, 기계류, 화학제품)
- GDP : 313억불 (301억$, 세계95위, 2016 IMF 기준)
- 1인당 GDP : 25,633불 (22,798$ 세계33위, 2016 IMF 기준)
- 경제성장 : 2.6%
○ 주요산업
- 석유 및 가스 산업
· 바레인은 GCC 국가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석유 관련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편이나 국가 자체적으로는 석유 및 가스 부문 의존도가 매우 높아. BP의 2010년 세계에너지연감(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gy)에 따르면 2009년 바레인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은 각각 6억 b/d, 900억 c/m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매장량의 약 1/441, 가스 매장량의 약 1/88에 해당하는 양을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유 및 정유 산업은 바레인 최대 산업으로 2009년 석유관련 제품 수출은 총 수출액의 75.1%를 차지하였다.
주요품목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1~3월) |
원유(US$천, 배럴) | 68,096 | 66,908 | 67,262 | 66,864 | 66,510 | 16,436 |
-바레인 유전 | 13,348 | 13,085 | 12,552 | 12,027 | 11,750 | 2,731 |
-아부사파 유전 | 54,748 | 53,823 | 54,710 | 54,837 | 54,760 | 13,705 |
정유(US$천, 배럴) | 97,716 | 96,217 | 97,903 | 96,368 | 95,598 | 24,329 |
가스(mmscf) | 470,413 | 487,932 | 507,671 | 538,233 | 543,425 | 135,000 |
-수반가스 | 107,477 | 106,206 | 99,916 | 102,343 | 102,785 | 107,000 |
-천연가스 | 362,966 | 381,726 | 407,755 | 435,890 | 440,640 | 28,000 |
출처 : Bahrain Economic Indicators Report 2009, CIO, NOGA
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석유 (US$천, 배럴) | 연료유 | 32,485 | 32,048 | 33,402 | 29,437 | 29,551 |
디 젤 | 14,731 | 18,949 | 21,747 | 15,425 | 16,414 | |
휘발유 | 3,600 | 3,308 | 2,253 | 2,988 | 1,822 | |
기 타 | 40,135 | 33,740 | 33,784 | 33,744 | 33,557 | |
총 계 | 90,951 | 88,045 | 91,186 | 81,594 | 81,344 | |
가스 (mmscf) | 프로판 | 1,194,058 | 829,414 | 898,677 | 1,015,143 | 924,990 |
부 탄 | 1,063,923 | 926,288 | 886,338 | 989,076 | 912,772 | |
나프타 | 1,714,856 | 1,687,470 | 1,838,440 | 1,739,883 | 1,738,925 |
출처 : Central Informatics Organisation, NOGA statistics
- 정유 산업
· 바레인의 정유 생산 규모는 원유 생산량보다 크다. 2009년 정유 공장에서 사용된 원유 평균량은 255,900 bpd로 이 중 32,190 bpd는 바레인 아왈리 유전에서 공급되었다.
- 석유 및 가스 생산 전망
· 시장조사 전문기관 BMI의 Bahrain Oil and Gas Report(2010년 3분기)에 따르면, 2010~2019년간 바레인의 원유 생산량은 2배 증가하여 10년 후 100,000b/d를 생산할 것이며 석유 생산량은 81.3%까지의 증가가 예상된다. 2010~2019년 석유 소비는 매년 3%의 증가율을 보여 2019년 말 석유 소비량은 57,000b/d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09년 바레인의 가스 소비량은 3,676억cm(cubic meter), 생산량은 4,299억cm이었다.
- 알루미늄 산업
· 비 석유 부문 부가가치의 약 25~40%를 차지하는 알루미늄 산업은 바레인 국가경제의 핵심 구성요소이자 석유 및 가스 다음의 주요 수출품목이다. 1960년대 중반, 바레인은 석유 자원에 대한 심각한 의존성을 극복하고 경제 다변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산업을 시작하였다.
· 바레인의 대표적인 알루미늄 제조회사 Alba는 1968년 설립된 중도 최초의 알루미늄 제련소이자 2005년 5월 세계에서 가장 큰 제련소로 기록된 공장이다. 바레인 정부, 사우디 공공투자기그, Breton Investment사가 각각 Alba 지분의 77%, 20%, 3%를 소유하고 있다. Alba는 총 GDP의 약 12%를 차지한다. Alba 제련은 비용 경쟁력 면에서 세계상의 25% 내에 속하며 생산 알루미늄의 15%는 GCC국가, 25%는 극동, 나머지는 유럽, 미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로 수출된다.
○ 주요자원 : 원유 : 1억 2천 배럴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영어도 통용)
○ 민 족 : 아랍인(이란계 25%)(*kotra 중동의 미개척 시장을 가다, 2010)
○ 종 교 : 이슬람교(수니파 25%, 시아파 60%, 기타 기독교 및 힌두교 등 15%)
○ 교 육
- 기본학제 :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 의무교육 : 바레인 내에 거주하는 6세 이상 아이들은 의무적으로 공립 또는 사립학교에 등록
- 무상교육 : 2005년 개정교육법 시행에 따라 바레인 내의 공립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경우 국적에 관계없이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제공
(*바레인 대사관, 바레인 기본교육과정(2015.9업데이트))
○ 복 지
- 바레인에는 시민들에게 편익을 주는 사회 안전 시스템이 있지만 국외 거주자들이 가능한 부분은 매우 적다. 임금에서부터 사회 안전 편익에 대한 지불까지 공제의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시스템은 국가에서 받은 해외 투자나 고용주들이 지불한다. 피고용자들은 그저 연금정도만 지불하면 된다.
- 시민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실업 급여, 주택과 장애, 질병에 대한 보장을 포함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무료로 의료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것이 전부이다. 그리고 당국들은 노동자들이 타국에서 치료법을 찾는데 조언을 할 수 있고 보장이 되지 않는 질병을 보장할 수 있는 민간 의료 보험을 가지는 것을 추천한다.
- Bahrain은 오직 국가 시민들에게만 유효한 주 연금 계획을 가지고 있다. 노동자들은 연금 계획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서 그들 봉급의 일정 비율을 납부하여야 한다. 글로벌 기업들 내의 외국인 노동자들은 민간 운영 연금을 따로 들어야 할 것이다. 모든 회사가 이를 공급하지는 않을 것이라, 당신이 이미 당신의 고국에서 가입한 연금을 지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Bahrain의 해외 노동자들은 보통 세금 혜택 때문에 더 많은 가처분 소득을 가진다. 그리고 이는 개별 연급 계획에 투자하는 것에 이러한 이점을 사용하게 된다. 이것이 가능성은 있지만, 당신이 병에 걸리거나 어떠한 이유로 재정적 도움이 필요할 때 완전히 보장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분은 고국의 사회 보장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당신이 필요할 때, 어떤 부분들을 보장받을 수 있나 시스템을 확인하고 떠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외 거주자들이 업무 비자를 통해 나라에 머물러 있을 것이기 때문에, 계약 종료는 고국으로 귀환을 의미할 수 있다.
- 자국 및 외국 노동자들은 모두 산업 재해를 위한 보장을 통해 보호받고 있다. 이 계획은 고용주와 10명이 넘은 기업들의 지불로 운영되고 있다.
○ 축제 / 명절
- 주요 공휴일
· Eid Al-Fitr(라마단의 종료)
· Eid Al-Adha(순례기간의 종료)
· 이슬람 새해
출처 : 바레인 대사관, 바레인 약황(2016.5.15.업데이트)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94%EB%A0%88%EC%9D%B8
□ 일반
○ Bahrain은 극도로 건조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건조도 지표에 따르면, Bahrain은 기후 상태의 매우 큰 변화로 인해서 건조함 혹은 굉장히 건조함 단계를 보이고 있다(Elagib and Abdu, 1996). 이 나라는 고온과 불규칙적이고 얼마 되지 않는 비, 그리고 높은 증발산율(절정인 7월에는 하루에 10mm로), 그리고 Gulf waters 주변 때문에 높은 습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 FAO, aquastat survey 2008
□ 기온
[그림 2] average monthly temperature and rainfall (1990-2012)
○ 온도는 평균적으로 겨울(12월 ~ 3월)에는 17도에서 여름(6월 ~ 9월)에는 35도까지 올라간다. 우기는 11월에서 4월까지이며, 평균적으로 연간 83mm로 내건성 품종의 식생을 도와줄 수 있을만큼만 내린다. 연 평균적으로 습도는 67% 이상이며 연간 평균 증발량은 2,099mm(Al-Noaimi, 2005)이다.
출처 : worldbank.org FAO, aquastat survey 2008
□ 강수량
[그림 3] GCC 회원국의 연평균 강우량
출처 : KEITI,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의 물 관련 비즈니스 현황
□ 자연재해
○ 3~5월 중 환절기에 심한 먼지바람이 불어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장거리 운전을 삼가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간혹 게릴라성 호우가 내리는 경우가 있으며 폭우가 내리면 도로가 침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전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출처 : 바레인의 기후와 자연재해, 질병관리본부
□ 지표수
년 | 일평균 소비량 | 소계 | 생산 | |
증류수 | 지하수 | |||
2003 | 88.19 | 32,111.470 | 21,686.660 | 10,424.810 |
2004 | 92.39 | 33,876.640 | 23,254.560 | 10,622.080 |
2005 | 95.67 | 35,055.910 | 24,091.690 | 10,964.220 |
2006 | 100.41 | 36,684.440 | 26,115.820 | 10,568.620 |
2007 | 103.95 | 37,997.160 | 29,101.490 | 8,895.670 |
2008 | 114.44 | 43,181.290 | 36,908.180 | 6,273.110 |
2009 | 129.37 | 47,711.840 | 43,786.150 | 3,925.690 |
2010 | 139.31 | 50,928.350 | 46,165.240 | 4,763.110 |
2011 | 143.05 | 52,706.970 | 46,173.490 | 6,533.480 |
2012 | 143.89 | 52,987.980 | 46,223.570 | 6,764.410 |
2013 | 149.81 | 54,758.640 | 48,027.280 | 6,731.360 |
<분야별 물소비 / 백만 ㎥(2007-2013)>
년도 | 산업용 | 상업용 | 가정용 | 합계 |
2007 | 3,672.000 | 14,615.000 | 103,963.000 | 122,250.000 |
2008 | 1,609.000 | 16,134.000 | 94,764.000 | 112,507.000 |
2009 | 1,996.000 | 15,689.000 | 100,803.000 | 118,488.000 |
2010 | 1,622.000 | 24,541.000 | 115,944.000 | 142,107.000 |
2011 | 2,969.000 | 24,951.000 | 118,919.000 | 146,839.000 |
2012 | 2,397.000 | 30,235.000 | 116,014.000 | 148,646.000 |
2013 | 4,729.000 | 30,578.000 | 119,182.000 | 154,489.000 |
Sources: Strategic Planning Unit-Electricity & Water Authority
<평균 일일 물소비>
<지하수 함량>
나라 | 면적 (㎢) | 연평균 강우량 (mm) | 지하수 재충전 (MCM 년) | 비 재생 자제 (MCM) |
바레인 | 652 | 30-140 | 110 | 무시 |
<1970년과 200년 사이의 인당 연간 재생 가능한 물 변화>
2004년 바레인 물 사용(백만㎥)
원천 | 지방자치 | 농업 | 산업 | 총 사용 |
지하수 | 83.3 | 143.2 | 12.2 | 238.7 |
담수 | 94.3 | - | 8.1 | 102.4 |
하수처리 유출 | - | 16.3 | - | 16.3 |
총 | 177.6 | 159.5 | 20.3 | 357.4 |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
강수량 (장기 평균) | - | 83 | mm/yr |
| - | 0.059 | 109 ㎥/yr |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 (장기 평균) | - | 0.004 | 109 ㎥/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 0.116 | 109 ㎥/yr |
부양비 | - | 97 | % |
인구 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5 | 160 | ㎥/yr |
총 댐 용량 | 1995 | 0 | 106 ㎥ |
취수 | |||
총 취수 | 2003 | 357.4 | 106 ㎥/yr |
-관개+가축 | 2003 | 159.2 | 106 ㎥/yr |
-지방자치 | 2003 | 177.9 | 106 ㎥/yr |
-산업 | 2003 | 20.3 | 106 ㎥/yr |
● 인구 당 | 2003 | 506 | ㎥/yr |
지표수와 지하수 취수 | 2003 | 238.7 | 106 ㎥/yr |
● 총 실제 재생 가능 수자원 %로 | 2003 | 205.8 | % |
물 이외의 종래 공급원 | |||
하수 생산 | 1991 | 44.9 | 106 ㎥/yr |
하수 처리 | 2005 | 61.9 | 106 ㎥/yr |
처리된 하수 재사용 | 2005 | 16.3 | 106 ㎥/yr |
생산된 담수 | 2003 | 102.4 | 106 ㎥/yr |
농업 배수물의 재사용 | 2001 | 3 | 106 ㎥/yr |
출처 : http://www.data.gov.bh/, A Water Sector Assessment Report on the Countries of the Cooperation Council of the Arab States of the Gulf(2005, worldbank), FAO, aquastat survey 2008
□ 지하수
<바레인의 지하수 고갈, 1991/92>
구성 | 연평균 (백만 ㎥) |
유입 : |
|
아래의 흐름에 의해 충전 (안전 수율 대수층) | 112.00 |
노출에 강우에 의해 충전 및 관개 반환 흐름 | 0.28 |
총 유입 | 112.28 |
유출 : |
|
관개, 가축, 가정, 산업 등을 위한 우물 추출 | 190.20 |
Ssbkha 자연방전 | 12.72 |
자연 스프링 방전 | 5.40 |
총 유출 | 208.32 |
총 유입 - 총 유출 | -96.04 |
출처 : FAO, aquastat survey 2008
□ 하수,배출수
○ GCC 지역의 폐수처리 용량은 이미 과부화 상태로 거액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 대부분의 플랜트가 설계용량을 크게 초과해 가동되고 있어 장소에 따라서는 처리된폐수(TSE)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심각한 환경문제와 악취가 발생한다.
- MEED에 따르면 수요를 충족하고 노후된 인프라 교체하기 위해서는 2009~2015년 550만㎥/d 이상의 새로운 폐수처리 용량을 설치해야 하며 2008년 종반 건설비용으로 추산하면 약 100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11] 폐수처리용량(2009년)
출처 : KEITI,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의 물 관련 비즈니스 현황
□ 음용수
○ 일반적으로 바레인 모든 지역의 수질은 오염되어있고, 물은 그냥 마시기에 안전하지 않다. 바레인에서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수돗물을 끓이거나 믿을 수 있는 회사의 식용수를 사야 한다.
출처 : Is the water safe to drink in
□ 물시장 현황
| 전기 | 물 | *그 외 | 합계 |
2013 | 140,480 | 19,332 | 14,461 | 174,273 |
2012 | 132,871 | 18,864 | 12,349 | 164,084 |
2011 | 121,851 | 18,305 | 7,917 | 148,073 |
2010 | 120,592 | 14,686 | 6,511 | 141,789 |
2009 | 98,419 | 10,782 | 7,211 | 116,412 |
2008 | 104,817 | 11,944 | 11,435 | 128,196 |
2007 | 85,521 | 10,843 | 9,856 | 106,220 |
2006 | 79,049 | 10,341ㄴ | 10,407 | 99,797 |
2005 | 70,030 | 9,818 | 9,446 | 89,294 |
2004 | 67,878 | 10,088 | 7,752 | 85,718 |
2003 | 62,961 | 8,523 | 8,005 | 79,489 |
[표 12] Electricity and Water Annual Revenues, n Million B.D (2003-2013)
- A-자본 공헌 비용. 제 3 자에 의한 네트워크에 대한 손상의 결과로서 B 보상. 계약자에 대한 C-라이센스 수수료. 전기 협력 업체 기술자 라이센스를 위한 D-시험 수수료. E-미터 테스트 비용.
Sources: Strategic Planning Unit-Electricity & Water Authority
연도 | 인구* | 인당 소비 | ||
전기 | 물 | 물 | ||
**KWh/ Capita/년 | **C.M./ Capita/년 | **Gal/ Capita/일 | ||
2003 | 764,519.000 | 9,379.665 | 133.880 | 79.583 |
2004 | 823,744.000 | 9,130.775 | 126.820 | 75.387 |
2005 | 888,824.000 | 8,885.349 | 125.942 | 74.864 |
2006 | 960,425.000 | 9,475.891 | 117.611 | 69.912 |
2007 | 1,039,297.000 | 9,127.778 | 117.628 | 69.922 |
2008 | 1,106,509.000 | 8,782.898 | 101.677 | 60.440 |
2009 | 1,178,415.000 | 8,600.171 | 100.549 | 59.770 |
2010 | 1,228,543.000 | 9,690.069 | 115.684 | 69.734 |
2011 | 1,195,020.000 | 10,261.403 | 122.218 | 73.673 |
2012 | 1,254,951.577 | 10,075.581 | 118.447 | 71.400 |
2013 | 1,295,757.000 | 10,302.571 | 119.227 | 71.870 |
[표 13] Per Capita Consumption for Electricity & Water (2003-2013)
- 2010-2012에 EWA의해 인구 데이터 측정
- KWh=Kilowatt Hours, C.M.=Cubicmeters, Gal=Gallons
Sources: Strategic Planning Unit-Electricity & Water Authority
수자원 | 용량(㎦/yr) | 연도 |
지하수 (재생 가능, 실제) | 0.1 | 2014 |
지표수 (재생 가능, 실제) | 0.0 | 2014 |
총 수자원 (재생 가능, 실제) | 0.1 | - |
출처 : AQUASTAT, 2015
<분야별 취수>
분야 | % 취소 | 용량 (㎦/yr) | 데이터 년 수 |
농업 | 44.5 | 0.16 | 2003 |
산업 | 5.7 | 0.02 | 2003 |
지방자치 | 49.8 | 0.18 | 2003 |
총 | 100.0 | 0.36 | - |
출처 : AQUASTAT, 2015
□ 상수도현황
상수 지표 | 값 | 연도 |
급수구역 인구수 | 1,234,712 | 2010 |
급수구역 인구% | 97.9% | 2010 |
관망 연결수 | 351,669 | 2013 |
상수도 시설용량 | 207,283,907m³/yr | 2013 |
○ 2010년 기준 물 공급 중 97.9%가 상수도를 제공받고 남은 2.1%는 다른 방법으로 조달한다.
○ 상수 시설의 총 수용 능력은 2013년 기준 207.3백만m³/yr.
□ 하수도현황
하수 지표 | 값 | 연도 |
하수도 인구수 | 922,511 | 2010 |
하수도 인구% | 73.1% | 2010 |
하수도 연결수 | 255,000 | 2010 |
하수량 | 92,000,000m³/yr | 2010 |
하수 수집율 | 64.9% | 2010 |
○ 2010년 기준 전체 하수 및 폐수 중 73.1%는 하수 시설로 배출되고 26.1%가 다른 수단으로 배출되며, 0.8%가 그냥 배출된다.
○ Bahrain의 주요 하수 처리 플랜트는 현재 하루에 160,000m³/d만큼의 양을 2차 처리로 다루며 60,674m³/d만큼을 3차 처리에서 다루고 있는 Tubli Water Pollution Control Centre(Tubli WPCC)이다. 거기에 11개의 다른 하수 처리 플랜트가 있으며 총 하루에 9,720m³/d의 설계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나라 내에서 처리된 하수는 총 2010년 기준 하루 200,000m³/d 혹은 연간 75백만m³/yr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상하수도 법령현황
○ 민간 소유의 물 사용 권한은 Bahrain에서만 존재하는 물에 대한 권리이다. 이 권리를 다루고 있는 일반적인 원리는 지하수는 지주의 소유물이기 때문에, 그들은 그들의 이웃이나 지하수에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 없이 그들이 원하는 대로 지하수를 추출할 권한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농업 부문의 물 이용은 가격 시스템이나 라이센싱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 농업용 우물이 정부에 의해 계량되었으며, 정부는 모든 우물의 소유자들이 그들의 우물에 계량기를 설치할 것을 의무적으로 하는 법의 통과를 진행하였다. 이 계획의 마지막 목적은 관개용수 수요의 관찰과 지하수 추출 권한에 대한 이후 라이센싱 시스템의 수립, 그리고 초과 물 이용에 대한 적절한 가격 시스템 설계에 있다.
Bahrain에는 잘 정의된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국가적 물 마스터플랜이 없다.
□ 상하수도 정책현황
○ 몇몇의 개별적인 물 정책과 물 보호 조치가 지난 30년간 국가의 물 감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행되어졌다(Al-Noaimi, 2005). 하지만 이러한 정책과 조치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졌다.
- 주요 담수화 계획과 하수 처리 계획에 의한 공급의 증가
- 수요 운영 조치
- 물의 가격 책정
- 기관 및 정책적 개혁
- 감시 및 정보 시스템의 강화
출처 : AQUASTAT - FAO
□ 상하수도 요금체계
[그림 9] GCC 일부지역의 수도요금
(달러/㎥)
출처 : KEITI,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의 물 관련 비즈니스 현황
□ 상하수도 예산현황
○ Ministry of Works : MoW에 의한 수입은 2016년 기준 예산에서 BHD 602,000(약 $ 160만)으로 나타나고 지속되는 지출은 BHD 50,326,000(약 $ 1억 3천만)으로 편성되어 있다. 프로젝트 지출로는 총 BHD 115,000,000(약 $ 3억 5천만)으로 편성되었다.
○ Electricity & Water Authority : 정부가 EWA에 지원하는 정부 보조금으로 2016년 기준 BHD 315,735,000(약 $ 8억 3천만)을 편성하였다. 이는 2015년보다 BHD 10,000,000(약 $ 2천만)을 감소시킨 금액이다.
출처 : The Kingdom of Bahrain의 Ministry of Finance에서 나온 엑셀 자료 이용 (www.mof.gov.bh/categorylist.asp?ctype=budget)
□ 물관리 로드맵
○ 바레인이 수도로 항상 물을 공급하며 앞으로 몇 년간 물 공급을 증진 및 보호하기 위한 투자를 확실히 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였다. 새롭게 나온 Water Resource Council을 효율성을 높인 관리 하에서 전국의 물 공급을 책임질 것이다. 정부는 또한, 앞으로 몇 년간 물 공급과 위생시설 부문의 추가적인 개발을 위해서 몇 백만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의 장관이자 Work Minister를 맡고 있는 Al Jowder가 말했다. 그는 싱가폴에서 개최된 Singapore's International Business Week의 일환으로 열린 중동 비즈니스 포럼에서 이야기했었다.
○ Al Jowder는 바레인은 싱가폴과의 더 가까운 관계로 강화할 것이라고 하였으며, 싱가폴은 물 배분에서의 누수나 물 보전, 하수 운영에 있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유한 국가라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맥락으로, 우리는 바레인이 가진 문제점들과 어려움을 해결하며, 싱가폴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한 실제적인 해결책을 공급할 수 있는 계획을 가진 싱가폴과 파트너로서의 이해관계를 가지는 것에 서명할 것이다.”라 말했다. 그는, 바레인은 국민 모두에게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현재 88%의 달하는 위생시설 보급률도 2015년에 100% 목표를 세울 예정이라 하였다. 또한, 1인당 물 소비도 싱가포르가 하루 170L인데 반해 바레인은 440L로 높다고 말하였다.
○ 현재 바레인의 물 공급 체인은 지하수, 담수화 물, 처리된 하수로 구성된다. 물 담수화는 음용수 공급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수원이다. 농업용수를 포함한 총 물 공급의 70% 이상은 지하수로부터 얻는다. EWA의 네트워크 안에서 매일 평균적으로 공급하는 물은 하루에 110백만 갤런으로, 이 중 지하수가 20%를 차지한다. 총 설치된 담수화 능력은 하루 143백만 갤런에 도달한다.
○ Al Jowder는 현재의 생산 시설들을 확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계획이 있으며 이것은 2011년 현재 발전 및 물 확장 프로젝트들의 완성 이후 생산 정도를 200백만 갤런까지 확장시킬 것이라 예상한다고 하였다. 동시에, 송수 및 저장시설들에 대한 다수의 확장이 생산 확장과 3일 목표 저장량에 어울릴 수 있도록 수행될 것이라고 했다.
○ 정부는 하수 수집, 처리, 배출에 이용되는 많은 시설들에 대한 위생시설 공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977년에 처음으로 사용 가능한 하수처리 시설을 만든 이후, 그 시설의 생산력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5년에는 하루 450,000m³만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출처 : Bahrain unveils water masterplan Manama, TradeArabia, July 3, 2008
□ 물관련 조직현황
○ 바레인의 물관련 조직은 Ministry of Works,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The Municipalities and Agriculture Ministry 이 세 조직에 의해서 운영된다.
- Ministry of Works : 상수, 음용수 담당(http://www.works.gov.bh/English/)
- Electricity and Water Authority : 폐수 수집 및 처리(http://www.mew.gov.bh/)
- The Municipalities and Agriculture Ministry : 지하수 담당 (http://www.municipality.gov.bh)
□ 사업
○ 해수담수화
- 걸프협력회의(GCC) 지역은 적은 강우량과 대량의 에너지 매장량과 관련하여 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세계 최대 담수화 산업이 존재하며 모든 국가가 급수의 60% 이상을 담수화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GCC 지역의 물 수요는 향후 10년간 연 평균 5~6%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GCC의 공익사업은 현재의 담수화 용량을 대폭 확대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 MEED에 따르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역 전체에서 약 24억g/d의 새로운 담수화 용량을 확보해야한다
- 원가를 갤런 당 8달러로 계산하면 투자액은 약 200억 달러이지만 쿠웨이트나 사우디아라비아는 기존용량의 대부분이 1980년대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교체가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실질적인 금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0] GCC 회원국의 설치담수화 용량(2009년)
출처 : KEITI,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의 물 관련 비즈니스 현황
□ 해외원조
○ Asian Development Bank(ADB)가 Islamabad 근처에 있는 Rawalpindi에서의 환경 프로젝트를 위해서 약 6천만 달러의 금액을 대출할 것이라고 바레인의 고위 공직자가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금년도 6월에 시공할 예정이라고 Water and Sanitation Authority Rawalpindi의 운영 이사 Syed Aslam Ali Sabzwari가 말했다.
출처 : "Asian Development Bank, Loan", Bahrain News Agency, 2005
□ 외국인 투자
○ 2009년 시작된 Ad Dur 담수화 플랜트는 IWPP 형식의 플랜트로 프랑스의 에너지 회사 GDF Suez와 Gulf investment Corporation, Capital Management House 등의 협력을 통해 시작되었다. 총 1,234MW의 전기와 48MIGD의 물을 생산할 수 있는 바레인 내 최대 담수화 플랜트이며 25년 계약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총 수용 능력은 218,000m³/d이다.
□ 한국과의 협력
○ 2009년에 입찰을 시작해 2011년 시작된 무하라크 하수처리 프로젝트는 바레인 내에서 민자 하수처리 프로젝트로 최종적으로 삼성 엔지니어링이 수주하였다. BOO(Build Own Operate)형식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500,000명의 직원과 160,000m³/d의 수용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14년 9월에 완공되었고 27년 계약기간을 기준으로 삼성 엔지니어링이 현재 운영하고 있다.
○ 현대 중공업이 Al Dur 발전 및 담수 플랜트를 EPC형식으로 하여 2012년 5월에 준공하였다. 총 수용 능력은 218,000m³/d이며 규모는 약 17억 달러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