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미얀마 연방 공화국(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 위 치 : 인도차이나반도 북서쪽에 위치
- 동경 92~102°, 북위 10~28°에 위치
- 남쪽으로 안다만 해와 마타반만, 남서쪽으로 벵골만을 접하고, 동쪽으로 태국(1,800㎞), 라오스(235㎞), 북쪽으로는 중국(2,185㎞), 서쪽으로는 인도(1,463㎞) 및 방글라데시(193㎞)와 접경(총 5,876㎞)
○ 건국(독립)일 : 1948. 1. 4(영국)
○ 면 적 : 76,577㎢(한반도의 약 3배, 해안선 길이 : 2,051㎞)
○ 인 구
| 2005 | 2006 | 2013 | 2014 |
Population (in millions) | 50.0 | 50.4 | 53.0 | 53.4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기 후 : 고온다습한 열대 몬순기후이나, 북부지방은 아열대성 기후
- 연평균 기온 27.4℃, 연평균 강우량 2,513㎜
(11~2월 중 평균 최저기온 17℃, 3~5월 중 평균 최고기온 40℃ 이상)
- 여름 : 2월 말~5월 중순 / 겨울 : 11월 초~2월 중순
- 우기 : 과거에는 5월 중순~10월 중순이었으나, 1970년대 말 이후 지난 30여 년간 5월 말~9월 중순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관측
○ 수 도 : 네피도(Nay Pyi Taw)
○ 주요도시
- Yangon Division(685만), Mandalay
- Division(800만), Mon State(30만), Bago
- Division(580만), Ayeyarwaddy
- Division(785만), Shan State(553만)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사라수(Shorea robusta)
○ 국 조 : 버마 공작(Burmese Peacock)
□ 정치
○ 정부형태 : 공화제
○ 실 권 자 : 대통령: 대통령 틴 초(Htin Kyaw)
- 임기 : 2016년 3월 30일
○ 정부구조 : 대통령제
- ’11.3월 민선 정부 출범
- 과도군사정부 시절 인사가 주축
○ 행정구역 : 7개 구역(yin)과 7개 주(pyine)로 구성
- 구역은 버마족, 주는 소수 민족이 주로 거주
○ 외 교 : 한국과 수교 : ’75.5.16
□ 경제
○ 화폐단위 : 짜트(Kyat)
- 환율 : 1$ = 853.5짜트(2012년)
(12.4.1 관리변동환율제 시행)
○ 외환보유고 : 57억 불(2012년)
○ 교역규모
- 교역액 : 251.7억 불 ※무역협회(12)
- 수입 : 169억 불
- 수출 : 82.7억 불
-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at market prices (백만달러) |
|
| 58,652 | 64,330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1인당 GDP : 1,269$ (2015년 추정)
○ 경제성장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growth (annual %) |
|
| 8.2 | 8.5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주요산업 : 농업, 서비스업, 에너지 (천연가스), 제조업
○ 주요자원 : 쌀, 티크, 원유, 천연가스, 구리, 납, 아연, 텅스텐, 다이아몬드, 루비 등 자원 풍부
□ 사회·문화
○ 언 어 : 미얀마어(공용어), 통용가능어(영어 : 양곤 일부, 중국어 : 만달레이, 중국 접경지역, 태국어 : 태국 접경 일부 지역)
○ 민 족 : 버마족 70%, 소수족 25%(카친, 카렌, 친, 샨, 꺼야, 몬, 라카인), 기타 5%(중국?인도계 등) - 소수민족 문제 지속
○ 종 교 : 불교(89.4%), 기독교(4.9%), 이슬람교(3.9%), 토속신앙(1.2%), 힌두교(0.5%) 등
○ 교 육
- 유치원 1년, 초등학교 4년, 중학교 4년, 고등학교 2년, 대학교 3년으로 전체 14학년 제
· 초등학교 5년 의무 교육
· 모든 교육과정 무료로 지원
○ 복 지
- 교육부분 투자 확대를 통한 인력자원 개발
· 초등 교육 무료화,
· 초·중·고등·대학교 전국 지역 및 지방에 설립
· 제3차 교육(Tertiary Education)에 과학 기술, 미술 등의 교육제도 개선
· 교육 관련 연구 프로젝트 진행,
· 초·중·고 사립학교 설립 및 운영
· 교육 관리 및 정보 시스템 체계화 진행,
· 도서관, 교육 센터 등 전국에 설립
- 건강부분 투자 확대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건강 보호 및 전염병 예방 프로그램 진행,
· 건강 보험 및 서비스 개선
· 의과 교육, 치료법, 의약품 등의 기술 향상 위한 국제적 합작 프로그램 연구 진행
· 사립병원을 설립하고 HMIS(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계획/확립
○ 축제 / 명절
- 1월 1일 : Kayin New Years Day (설날)
- 1월 4일 : 독립기념일
- 2월 12일 : 연방 기념일
- 3월 2일 : 농민의 날
- 3월 13일 : 쉐다곤 축제
- 3월 27일 : 국군의 날
- 4월 13~17일 : 띤잔 축제(미얀마 신년)
- 5월 1일 : 노동자의 날
- 5월 24일 : 부처 탄생일
- 7월 19일 : 순교자의 날
- 10월 6일 : 불교도 축제
- 11월 16일: 국경일
- 12월 19일 : 카인족의 새해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IMF, Google, The World Bank
□ 일반
○ 미얀마의 기후는 열대성 몬순 기후로, 주로 덥고 습한 5~10월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린다. 반면, 12~3월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으며 건조하다.
□ 기온
○ 연평균 기온 27.4℃ (11~2월 중 평균 최저기온 17℃, 3~5월 중 평균 최고기온 40℃ 이상)
- 여름 : 2월 말~5월 중순 / 겨울 : 11월 초~2월 중순
출처 :KEITI,러시아환경시장분석보고서, 2014 Kotra, 러시아 국가개요, 2015
□ 강수량
○ 연평균 강우량은 2,314mm로, 남서 계절풍이 눈에 띄는 지역 차로 나타남
- 연 강우량은 해안 연안과 Rakhine, Tanintharyi산에서는 4,000~6,000mm로 높고, 중앙 건조 지역에서는 500~1,000mm로 낮음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자연재해
○ 미얀마는 자연재해에 취약한 나라 중 하나로서, 특히 지진, 홍수 및 태풍에 취약함
- 사이클론 나르기스(Nargis): 2008년 미얀마를 강타하여 GDP 약 2.7%에 해당하는 피해가 발생
출처 : Prevention web, 2014
□ 지표수
○ 북부 히말라야 산맥에서 남부 안다만 해까지 남북을 가로 지르는 에야와디(Ayeyarwady) 강, 친드윈(Chindwin) 강, 딴륀(Thanlwin) 강, 시타웅(Sittaung) 강 등 총 길이 5,600㎞, 연평균 강수량 2,500mm에 이르는 풍부한 수자원 보유
○ 국내에서 연간 총 992.1㎦ 지표수를 생산
- 이 중, 많은 양(443㎦)이 강의 기저류와 표면 유거로 구성되어 있음
- 연간 총 재생 가능 수자원: 1002.8㎦ (지표수 992.1㎦ + 지하수 453.7~443㎦)
< 미얀마 수자원 현황 >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
강수량 (장기 평균) | - | 2 091 | mm/yr |
| - | 1 415 000 | 백만 ㎥/yr |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 (장기 평균) | - | 1 002 800 | 백만 ㎥/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 1 167 800 | 백만 ㎥/yr |
부양비 | - | 14.1 | % |
인구 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9 | 24 537 | ㎥/yr |
총 댐 용량 | 2005 | 15 460 | 백만 ㎥ |
□ 지하수
○ 연간 생산되는 지하수는 453.7㎦로 추정됨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지표수, 음용수
○ 해당 연구는 Chin, Kayah, Shan과 Rakhine States, 그리고 Sagaing, Mandalay, Bago, Ayeyerwaddy와 Yangon Divisions을 연구하였고 6개의 각기 다른 곳에서 총 4969개의 심플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 결과로 Ayeyarwady, akhine, Bago and Shan (shallow tube wells, deep tube wells, dug wells)에는 비소로 인해 음용수 사용시 치명적인 건강상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샘플의 33%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Bago, Mandalay, Sagaing Kayah와 Ayeyarwady에서는 불소가 검출되었다.
출처 : Myanma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c Study, 2014
□ 수자원
○ 응아모엣(Ngamoeyeik) 댐 프로젝트: 1992~1993년에 시행되었고, 댐은 1995년에 완공.
- 제방은 4,724m로 측정되며 저수 용량은 0.222㎦ (MIC, 2006)
- 댐은 이모작 시 농지에 필요한 추가 수원을 공급하고, 홍수를 예방하고, 양곤 시에 식수 600,000㎥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사가잉구 무강(Mu river)의 Thaphanseik 댐: 2001년에 완공, 약 6km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댐 중 하나이다.
- 다목적 댐으로, 관개용수와 전력을 위해 물을 제공
- 댐은 연중 200,000ha 이상의 관개를 지원 (Earth Snapshot, 2009)
○ Sedawgyi 댐: 수력 발전에 이용되며, 25MW 규
○ Pyinmana 구에 있는 Ngalaik 댐, Chaungmagyi 댐
(The new light of Myanmar, 2003b)
○ Yezin 댐: 관개용으로, 농지 6,400ha 관개를 지원
○ Kataik 댐: 높이 71m (0.07㎦)의 댐으로, 2007년에 Paung 구에 설치. 농지 4,050ha의 물을 공급하여, 이모작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 발전에 공헌 (The new light of Myanmar, 2007).
○ 2007년 미얀마 정부는 중국전력투자사(China Power Investment Corporation) 7개 추가적인 댐 건설 계약을 완료
- 이 중 가장 큰 댐은 높이 152m의 Myitsone 댐으로, Mali강 과 N’Mai강 합류점에 위치하여, 6,000MW 규모로 설치될 예정
○ 수력댐 건설: Hatgyi 댐, Tasang 댐이 각각 Thanlwin 강에 건설될 예정이다.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상수도현황
□ 하수도현황
○ 미얀마의 하수처리장은 양곤 시와 수도 네피도의 일부 지역에 2005년 설치되어 지금까지 가동 중
- 양곤시의 일일 하수 처리능력은 12,300㎥
- 하수도보급률: 5%(2011)
출처 : WHO/UNICEF Water Supply Statistic, 2015
□ 상하수도 법령현황
○ 수자원 전 분야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법령은 없으나, 미얀마 법의 많은 부분이 물 관련 내용을 다룸
- 물 분배와 관련하여, 여러 기관의 역할에 대해 제시해야 하며, 적절한 물 관리를 위한 법안 제정이 필요 (IMTFWR, after 2004)
○ 1953년 토지 국유화법 공표 이후, 토지의 국유화 공식화. 그러나 농가는 용익권을 행사할 수 있음
□ 상하수도 정책현황
○ 미얀마 국가 물 정책 (National Water Policy): 유역, 강, 호수, 저수지, 지하수 등 모든 수자원을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 통합적인 물 정책으로, 2014년에 설립
- ‘미얀마 물 프레임워크 지시’(Myanmar Water Framework Directive)는 법령 시행의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미얀마 수도 양곤시의 상수도 요금: 0.091USD/㎥
□ 상하수도 예산현황
○ 관개부 수도 요금은 매우 낮으며, 보수작업 비용은 부과 대상 외로, 정부가 지급
○ 수자원이용부가 관리하는 강의 양수 시스템은 댐보다 요금이 높음.
- 댐에서 논농사 시, 전기나 디젤을 이용한 양수 시스템보다 150-300 배 낮다.
- 낮은 수도 요금은 농부의 무분별한 물 사용, 물 낭비를 촉진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물관리 로드맵
국가부문의 성과 | 국가부문의 생산량 | ADB부문의 운영 | |||
ADB 기여와 성과 | 목표와 베이스라인의 지표 | ADB 기여와 생산량 | 증가 목표와 지표 | 계획과 지속적이 ADB 조정 | ADB 조정에 의한 주 생산량 기대 |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 부처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도시 시설의 깨끗한 수질, 위생시설, 고형 쓰레기 관리 인프라 시설 및 서비스를 계획한다. | 2016 년 말까지 도시 서비스의 증가 향상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인구의 비율 | 개선된 물 공급, 위생 및 배수를 포함한 도시 서비스의 유지
도시 유틸리티의 능력 발전을 통한 큰 효율성 | 유틸리티 관리의 다양한 측면에서 훈련 특히 중간 관리에서 선택한 유틸리티 직원의 적어도 20 %
물 계획 유틸리티 및 관리 운영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증가 | (1) 주요활동 지역 계획 : 물공급, 위생시설, 배수, 도시 발전
(2)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 CDTA - 도시계획의 변화($1.2 백만) PPTA - 도시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 ($1.0 백만) 보조금 - 빈곤층 지역사회 인프라와 기본 서비스 ($4.0 백만) 대출금 - 도시 서비스 향상 프로젝트 ($60.0 백만) 대출금 - GMS 회랑 도시 발전 프로젝트 ($60.0 백만)
(3) 진행 중인 프로젝트 : PDA - 양곤에서 개선 된 위생 시설에 지역 사회 기반의 접근 방식을 시연 ($50,000) | (1) 주요활동 지역 계획 : 선발된 도시틀의 물공급, 위생시설, 배수향상
(2)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 향상된 물공급, 위생시설, 배수 시스템 증가에 접근 할 수 있는 가구 수
물 유틸리티에 대한 개혁은 향상된 성능과 자체 자금 조달 능력을 초래
(3) 진행 중인 프로젝트 : Dawbon의 약 1,700명은 향상된 위생시설과 고형 쓰레기 관리로 인해 이점을 얻음 |
출처 : Myanmar Development and Water Sector Assessment, Strategy, and Road Map, ADB, 2013
□ 물관련 조직현황
○ 전반적으로 국가의 수자원을 관리하는 조직은 없음
- 미얀마물위원회(Myanmar Water Commission) 설립 제안서를 농업관개부에 제출, 현재 승인 대기 중
○ 농업관개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 수자원 관련 주요 기관
○ 수자원이용부서(Water Resources Utilization Department): 지하수 사용 관리, 스프링클러 개발 및 지역적 관개
(http://www.waterresources.gov.mm/)
○ 관개부서(Irrigation Department): 관개 관련 업무 작업 및 유지, 새 건설 프로젝트, 프로젝트 설계 및 시행
○ 정착 및 지적부서(Settlement and Land Records Department): 농업 통계자료와 토지 관련 행정 담당
○ 농업계획부서(Agricultural Planning Department): 모든 농업 관련 프로젝트 계획, 모니터링 및 평가
○ 통신우정전신부 기상·수문학 부서(The Meteorology and Hydrology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Communication, Posts and Telegraphs): 모든 수문학, 기상학 자료 수집. 수력발전 생산은 전력부 내의 미얀마전력기업이 감독
○ 물사용자협회(Water user associations)와 물사용자그룹 또한 물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Naing, 2005)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AQUASTAT Survey ? 2011
□ 해외원조
< 해외 개발 원조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354.79 | 380.05 | 504.22 | 3,934.84 | 1,380.08 | 6,553.98 |
출처 : OECD DAC
□ 한국과의 협력
< 해외 개발 원조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3.25 | 4.81 | 6.04 | 11.72 | 17.29 | 43.11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