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몽골(Mongolia)
○ 위 치 :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북방에 위치, 러시아(3,485km), 중국(4,677km)과 접경하고 있으며 국경선 총길이는 8,162km
○ 건국(독립)일 : 독립일 : 1921.7.11.(국가선포일 : 1924.11.26.)
○ 면 적 : 156만 7,000㎢(한반도의 7.5배)
- 동서 : 2,394Km
- 남북 : 1,259Km
○ 인 구
| 2005 | 2006 | 2013 | 2014 |
Population (in millions) | 2.5 | 2.6 | 2.9 | 2.9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기 후 : 건조한 냉대성 기후, 평균기온-2.9℃
○ 수 도 : 울란바타르(인구 132만명)
○ 주요도시 : 울란바타르(수도, 132만명), 다르한(9.1만명), 에르데넷(8.6만명), 초이발산(7.3만명) 등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연꽃
○ 국 조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 정치
○ 정부형태 : 민주공화제(1992, 신헌법 발효)
○ 실 권 자 : 대통령 : Elbegdorj(엘벡도르지,민주당)
○ 총 리 : Saikhanbileg(사이한빌렉,민주당)
○ 국회의장 : Enkhbold(엥흐볼드,민주당)
○ 외교장관 : Purevsuren(푸렙수렌,민주당)
○ 정부구조
- 의원내각제적 성격이 강한 이원 집정부제
- 삼권분립(행정·입법·사법)
○ 행정구역 : 수도 울란바타르와 아이막(Aimag : 道) 21개, 솜(Som: 郡) 330, 박(Bag :面) 1,568개
○ 외 교 : 우리나라와의 관계 (수교 1990.3.26)
- 1990.6.18. 주몽골 한국대사관 개설
- 1991.2.1. 주한 몽골대사관 개설
- 교역현황(2015년말, 한국무역협회): 2.9억불
· 수출 : 246백만불(자동차, 석유제품, 농식품)
· 수입 : 46백만불(광물, 양모, 가죽제품)
· 제4대 무역국(중국,러시아,영국,한국순)
- 對몽골투자(2015년말 누계) : 8.4억불(신고액 기준)
· 몽골의 對한국 투자액 : 61.8백만불
- 무상원조(2014년말 누계) : 2.27억불
- EDCF지원(2014년말 누계) : 0.66억불
- 인적교류(2015년말) : 방한 81,580명, 방몽 47,213명
· 체한몽골인(2015년말) : 30,527(불체율 27.1%)
· 체몽아국인(2015년말) : 2,720명
□ 경제
○ 화폐단위 : Tugrik(1US$=2,020Tg,16.1월)
○ 외환보유고 : 13.2억불 (2015년 몽골은행 자료)
○ 교역규모
- 무역액 : 84.7억불
- 수출 : 46.7억불
- 수입 : 38억불
- 수출품 : 석탄, 철, 동, 원유 등 자원(87%), 캐시미어(5%)
- 수입품 : 중장비 및 부품(20%), 석유제품(19%), 식품(12%), 자동차(7%) 등
- 무역상대국 : 중국, 러시아, 영국, 한국, 일본, 독일 順
-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at market prices(백만US$) | 2,523 | 3,414 | 12,545 | 12,016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1인당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NI per capita, PPP($) | 5,270 | 5,870 | 10,480 | 11,120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경제성장
| 2005 | 2006 | 2013 | 2014 |
GDP growth (annual %) | 7.3 | 8.6 | 11.6 | 7.8 |
출처 : The world bank (2016.4)
- 주요산업
· 몽골 국내산업은 광업, 농목축업에 한정되어 있으며, 국내 제조업 기반 부재로 불균형적 경제 구조를 내포
· 산업별 국내총생산(2015년 기준)은 서비스업(41.7%), 건축 및 제조업(29.3%), 농축산업(13.7%), 기타(15.3%)
· 광업은 몽골 GDP의 16.7%, 총 산업생산의 67%, 총 수출의 약 74% 차지
- 주요자원 : 석탄, 동, 몰리브덴, 텅스텐, 형석, 아연, 금, 석유 등
(세계 10대 자원부국)
□ 사회/문화
○ 언 어 : 몽골어(할흐族 사용 몽골어, 문맹률 14%)
○ 민 족 : 몽골族 95%, 카자흐族 3.9%, 기타 1% 등 17개 종족
○ 종 교 : 라마불교(國敎) 90% 이상, 이슬람교 5%, 90년대 이후 무속신앙 회복, 기독교 전파
○ 교 육
- 초등교육 등록율 : 97.3(2012)
- 중등교육 등록율 : 83.1(2012)
- 고등교육 등록율 : 61.1(2012)
*(% 각각의 취학 연령 인구의 %)
- 성인 식자율(인구의 %. 15살 이상)
· 여자 : 98.3(2010)
· 남자 : 98.2(2010)
- 교육에 대한 공공지출
· % of GDP : 5.5(2011)
· % of 총 정부 지출 :12.2(2011)
- 학생당 공공지출 (% of GDP per capita)
· 초등 : 18.6(2011)
· 중등 : 16.4(2011)
· 고등 : 3.4(2011)
- 연구 / 개발에 대한 국내 총 지출
· % of GDP : 0.3(2011)
· 인당 통화 PPP 달러 : 13.1(2011)
○ 축제 / 명절
- 차강사르 (몽골 음력 1.1)
· 몽골 최고의 명절로 친척 친지를 방문하며 새해 인사를 하고, 삶은 양고기, 유제품, 전통음식인 보즈를 나누어 먹으며 덕담을 주고받음.
· 라마력 1월 1일에 해당하며 음력과는 해마다 1일 또는 30일 정도 차이가 남
- 나담 (7.11-15)
· 혁명기념일로 남자들이 참가하는 씨름, 말경주, 활쏘기 경기가 열리며 이를 ‘남성 3종경기’라고 함.
· 마주들과 기수들이 말경주를 위해 전국에서 울란바타르 근교로 모여들며, 몽골 전통의상인 ‘델’을 입고 말을 타고 다니는 몽골인들을 쉽게 볼 수 있음.
출처 : KOTRA 국가개요, 위키피디아 ? 위키백과, IMF, Google, The World Bank
□ 일반
○ 몽골은 긴 겨울동안 혹한 기후를 가진다.
□ 기온
○ 11월에서 3월까지 평균 기온은 0℃아래이다. 늦봄에서 초가을(심지어 늦은 여름)서리는 북쪽의 생육기간을 80-100일, 남쪽의 생육기간을 120-140일을 줄인다.
□ 강수량
○ 연평균 강수량은 241mm이고, 범위는 북쪽 400mm에 Gobi 지역의 남쪽은 100mm이다. 여름 강수량은 6월에서 8월에 발생하고, 연간 총 강수량의 80~90%를 차지한다.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자연재해
○ 가뭄, 한파로 인한 자연재해
- 1970년대 이후 자료에 따르면 몽골에서는 매년 1년에 25~30회 정도 자연재해가 발생
- 그 중, 약 1/3은 천재지변 수준의 자연재해로서 몽골이 매년 입은 사회경제적 피해는 매년 약 50~70억
- 최근 20년 동안 몽골에서 소나기, 돌풍, 우박, 홍수 등으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횟수가 2배나 증가
< 자연재해 빈도 및 위험도 > | |||||||||
년도 | 위험사례건수 | 자연재해 건수 | 자연재해 종류 | 사상자 수 | Soum 개수 | ||||
바람, 태풍 | 폭설, 폭우 | 강풍, 하류홍수 | 기타 | 가뭄영향 | 저드영향 | ||||
2004 | 37 | 28 | 14 | 3 | 18 | 3 | 10 | 27/108 | 77 |
2005 | 26 | 25 | 23 | 2 | 9 | 1 | 12 | 40/124 | 67 |
2006 | 50 | 32 | 10 | 4 | 9 | 9 | 39 | 12/59 | - |
2007 | 45 | 11 | 6 | 4 | 1 | - | 26 | 63/165 | - |
출처 : MNAE(2008)
□ 지표수
○ 몽골에는 4113개의 강이 있고, 총 길이는 67,000km이다. 큰 강들은 북쪽과 서쪽지역의 산간지역에 의해서 만들어졌는데, 그곳은 작은 강들과 산간 하천이 합쳐지면서 잘 발달되어졌다. 이에 반해서, 남쪽, 중앙, 남동쪽지역은 몇 개의 강과 다른 수자원을 가질 뿐이다.
○ 몽골은 장기적인 연간 평균 재생 가능한 수자원은 지표수와 지하수를 포함해서 32.7㎦이다. 이중 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4㎦/year이며, 겹치는 부분이다. 이웃 나라로부터 유입되는 수자원은 없으나 25㎦/year유량은 러시아로, 1.401㎦/year유량은 중국으로 들어간다.
< 몽골의 수자원 현황 > | |||
재생 가능한 담수 자원 | |||
강수량 (장기평균) | - | 241 | mm/yr |
| - | 377 000 | 백만 ㎥/yr |
재생 가능한 내부 수자원 (장기평균) | - | 34 800 | 백만 ㎥/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 34 800 | 백만 ㎥/yr |
부양비 | - | 0 | % |
거주자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9 | 12 832 | ㎥/yr |
총 댐 용량 |
| - | 백만 ㎥ |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지하수
○ 지하수 의존도 높음
- 지하수 수량은 10.8㎦로전체 수자원 중 지하수가 차지하는 부분은 2%임에도 불구하고 지하수에 의한 수자원 공급 비율이 80%에 달함
출처 : 몽골 환경산업 시장조사 연구(2008,환경부)
□ 지표수
○ 몽골의 자연환경관광부는 주요 강에 대한 수질측정을 통하여 주요 지역의 2006년과 2007년 수질농도 평균을 5등급으로 분류
-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몽골의 주요 강의 수질은 양호
(오염된 강 유역은 전체 측정지역 가운데 14%, 그 가운데 심각하게 오염된 지역은 3%)
< 몽골 주요 강의 수질 분포 현황(2006~2007) > |
|
- 하지만, 울란바토르 수자원 수요량의 98%를 담당하는 톨강 하류의 수질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톨-송기노의 BOD는 수질기준인 3μg/l보다 31배나 높다. 뿐만 아니라 COD와 무기물 함유량도 기준치에 비해 각각 38배, 3~4배가 높고, 질소는 12배, 인의 농도는 18배 높았다.
출처 : MNAE(2008)
□ 하수,배출수
○ 몽골 정부는 셀렝게 강에 28개의 오폐수처리장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관련 대책을 실시
○ 하지만 오폐수처리장의 설비 효율성이 매우 낮아 몽골 전체 1일 오폐수의 39.8%밖에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처리과정을 거친 오폐수 조차도 몽골정부에서 정한 처리수 방류수질 기준에 미달하고 있는 실정
○ 실제로 울란바토르시에 운영되고 있는 4개의 오폐수처리장 가운데 3개가 처리수 방류수질 기준을 도달하지 못한 오폐수를 톨강으로 배출
< 울란바토르 오폐수 처리장 방류수질 > | ||||
오폐수 처리장 | 처리능력 (㎥/day) | TSS(mg/1) | COD(mg/1) | BOD?(mg/1) |
몽골 처리수 방류수질 기준 | ||||
<35 | <50 | <25 | ||
생활폐수처리장 | 162,800 | 60 | 200 | 56.23 |
Nisekh | 2,600 | 85 | 187 | 41.8 |
Bioplant | 400 | 84 | 187 | 41 |
Nairamdal | 500 | 21 | 56.2 | 21.8 |
자료 : Chu et al.(2009)
출처 : UN-Water
□ 음용수
○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데이터를 보면, 음용수질은 전체적으로 54%에서 82%로 증가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농촌지역의 인구들은 향상된 음용수를 덜 접한다.
< 음용수와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성 & 5살 이하 아동 사망률 > (아동 사망 추정 (IGME) 및 / UNICEF 공동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UN 기관 간 그룹) | ||
| ||
|
| : 음용수원 개선 |
|
| : 위생시설 개선 (전체 인구의 %에서 위의 두 지표) |
|
| : 5세 이하 아동 사망률 |
출처 : UN-Water
□ 수자원
○ 1999년 약 27개의 흙댐이 물을 저장하고 관개수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저수지의 작은 부분(55㎢)은 Boroo강에 의해서 배수되는데 Boroo강은 Shariin Am댐과 저수지 시설에 의해서 가로막힌다. Shariin강은 좁고 얕은 강이고 4m높이에 용량이 250,000㎥정도인 작은 댐을 가지고 있다.
○ 1999년 이론상으로 가능한 수력 잠재력은 5,000-6,000 MW이다.
○ 2005년 총 취수는 511 100만 ㎥이고, 227 100만 ㎥(44%)는 농업, 122 100만 ㎥(24%)는 지방자치당국, 162 100만 ㎥(32%)는 산업에 쓰인다. 419 100만 ㎥인 약 82%는 지하수로부터 구성된다.
< 취수 부분 > 2005년 총 0.5112 ㎦ |
|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상수도현황
○ 몽골 상하수도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인프라가 미비하고 기존 설비의 유지 및 보수가 규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당히 낙후
○ 울란바토르의 경우 상하수도 인프라가 부족하고 제한적 수원으로 인하여 음용수 공급 문제가 심각
- 구체적으로 울란바토르는 수자원 공급시스템이 전체 수요량의 약 70%를 지원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5~8월 사이에 물 부족이 심각한 상태라고 보고
- 특히 상수도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게르 지역은 약 60%가 대부분 급수공급 키오스크나 트럭등을 통해 물을 공급
○ 공급량에 있어서도 게르 지역 주민들의 1인당 물 소비량은 일 4∼8ℓ로 세계 평균 및 WHO 규정 일일 최소 소비량(5∼9ℓ)보다 낮은 수준
(Janchivnorj, 2011).
출처 : 몽골 환경산업
□ 하수도현황
○ 1990년대 초, 몽골 전역에는 110개의 하수처리 공장이 존재하였음.
- 지방에 비해 Ulaanbaatar, Darkhan 등 주요 도시들의 하수처리시설 수와 처리량이 많음
- 약 60%의 하수가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해 처리됨
○ 미처리폐수 혹은 부적절하게 처리된 폐수 방출로 인한 수질 악화
- 몽골의 폐수 방출량은 1억2,640만㎥로 집계됨. 그러나 국가 하수처리장의 설비 효율성은 매우 낮아, 몽골 전체 일일 하수의 39.8%밖에 처리하지 못함
- 하수도 연결 인구 비율은 64.2%이며, 일부 폐수는 기계적,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처리되고 나머지는 미처리된 상태로 강과 토양으로 방출됨
- 현존하는 103개의 폐수처리장 젓 41개(약 39,8%)만이 폐수 수질 처리기준을 충족 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27개(26.2%)는 부적절한 처리 수준을 보였으며, 35개(34%)는 가동이 중지됨
○ 낮은 폐수처리 효율성
- 1980년대 말에는 전체 폐수의 96%가 처리되었으나, 1995년에는 65.6%로 감소 하였고 2000년에는 50% 이하로 감소
- 지방의 폐수처리장은 담당자 및 담당 기관의 부재로 문을 닫은 상태
- 설비가 개선된 처리장은 전체의 26.6%에 불과하며, 그 중 57.7%는 Ulaanbaatar에, 나머지는 기타 Aimag에 위치
출처 : 시장조사 연구(2008,환경부)
□ 상하수도 법령현황
○ Water Law는 1995년 6월 이래로 제정되었고, 2004년에 생태계를 보호하고 수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강 유역 관리 방법을 포함해서 개정되었다. Water Law는 물의 경제적 가치를 확인했고, 수 분야의 능력배양을 필요로 하며, 물 관리의 분권화에 초점을 맞추고, 환경 영향 평가를 필요로 하고, 물 규제 위반에 있어서 새로운 처벌을 설정했다.
○ 1995년, the Law on Water and Mineral Water Use Fees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물과 회사들이나 다른 기관들이 사용하는 물에 대해서 요금을 제정했다. 물과 관련된 다른 법들인 1995년에 제정된 Environmental Protection Law와 1998년에 제정된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aw가 있다.
○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와 the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은 Mongolian parliament에 의해서 1993년과 1997년에 각각 비준되었다.
□ 상하수도 정책현황
○ 21세기의 기후변화를 위한 Mongolian Action Programme, the National Water Programme,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은 1998, 1999, 2000년에 각각 승인 되었다.
○ National Water Programme (2010-2021)은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와 가장 긴밀하게 연관되어 발전했다.
(Source: Brochure of the MNET, not dated, UNDP 2010: 34)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몽골의 요금 정책은 분권화되어있고, 지방자치 당국은 물 요금을 개정하거나 세울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농업에 있어서 물 사용은 무료인 반면, 가정 사용자는 그들의 사용에 대해서 적은 비용이라도 내야한다.
○ Mongolian Law on Fees for Utilization of Water and Mineral Waters, 1995
- 동법은 Law on Water에 근거, 상업적 목적의 수자원 이용 및 생산, 서비스 활동과 관련된 수자원을 수도세 부과 대상 항목으로 규정함
- 요금은 계량기 수치를 기준으로 부과되며, 수도 계량기가 없는 대상자에 한해 설비나 건설 생산성에 근거하여 사용량을 측정
- 가정이나 가축, 채마밭 등에 사용되는 물에 대해서는 요금을 부과하지 않음
- 일반 수자원 이용요금 및 세율은 중앙정부에 의해 결정되며, 식수 이용요금 및 세율은 각 Aimag이나 도시의 시장이 법 조항에 근거하여 결정
○ 물 관세
- 음용수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물 관세를 지불해야한다. 2010년에 이용된 관세는 아파트의 수도계량기에서 250-1,304MNT/㎥, 아파트의 수도계량기 없이 400-3,485 MNT/㎥를 이용할 수 있다. Soum 센터에 Kiosks에 지불 할 요금은 종종 5,000 MNT/㎥까지 오른다. 대체적으로 요금이 비싼 곳은 수자원이 한정되어 있거나, 수자원이 부족한 곳이다.
- Ulaanbaatar의 요금은 아파트에 수도계량기가 있는 경우 318 MNT/㎥, 아파트에 수도계량기가 없는 경우 3,202 MNT/달/인당
- 수익은 물 공급 회사로 들어간다. 요금은 국내의 물, 투자, 운영, 물 공급과 위생 시설 보수에 실질적으로 드는 돈을 모두 충당 할 수 없다.
출처 : I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상하수도 예산현황
○ 2002년에서 2010년까지의 정부의 총 지출 가운데 물 관련 지출은 2.1%를 차지한다.
○ 2003년에서 2011년까지의 정부는 US$ 15 100만을 지출했다.
2003-2011년 정부의 연평균지출(million constant 2010 US$) |
|
○ 물 공급과 위생 시스템은 지출의 80.3%를 차지한다.
○ 수자원 정책과 행정관리는 물 관련 자금의 2번째로 가장 큰 부분을 지원받는다. (정부지출의 9.3%, ODA의 19.1%)
출처 : UN-Water
□ The Environmental Action Plan(EAP), 1999
○ EAP는 수자원 관리 및 수질보호와 관련하여,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 게르 지역의 위생설비 및 폐기물 처리시설 설립, 비 게르 지역의 하수·폐기물 처리설비 개선, 폐수처리시스템의 확장과 개선 등을 우선과제로 선정
□ State policy on Environment, 1998
○ 1998년 승인된 동 정책은 지표수, 지하수 자원을 건강한 생활 및 자연간의 상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주요 요소로 간주함
○ 동 정책의 핵심은 수자원 보호와 보존 및 올바른 이용, 자연 수자원 재생능력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행동을 취하는 데 있음
□ The National Water Policy Program(NWPP), 1999
○ NWPP는 적절한 수자원 이용과 폐수처리시설 개선을 위한 경제적, 법률적 환경 조성을 통해, 단계적인 수자원 공급 및 수질 개선 프로그램의 이행을 최우선 과제로 삼음
○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제고와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수자원 소유권 임명 및 수원 개발이 진행될 예정임
○ NWPP는 2000년, 2005년, 2010년 세 단계로 나누어 이행되며, 1단계에서는 39개의 세부 실행 항목과 책임 지방정부기관을 명시함
○ 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몽골 정부는 프로그램의 조직, 규제, 모니터링을 담당할 ‘국가 수자원 위원회’를 창설
- 내각 사무관장 보좌관은 국가 수자원 위원회 의장이며, 환경·개발·농업·산업·보건복지·재정 사무국의 일원으로 관련 부서의 활동그룹 조직 권한이 있음
- 국가 수자원위원회는 각 Aimag의 하위 위원회와 지역적 협력을 구축
□ National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Target on Water Sanitation, 2004
○ 동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음
- 수자원 관련 사안을 담당할 새로운 정부 조직 혹은 기관의 설립
- 도시 교외 지역에 난방 및 상하수도 설비 제공, 지원, 관련 우수사례 소개
- 게르 지역 내의 상하수도 및 위생설비 건설
- 17개 Aimag 102개 Soum에 수자원 공급을 위한 수질 정화시설 건설
- 지표수 이용 증진
- 우물 1900개 복구
- 800개의 우물 건설
- 수동 펌프식 우물 건설을 위한 공동체의 참여 유도
□ Mongolian Action Program (MAP) for the 21st century, 2004
○ MAP21은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자연자원의 이용, 환경보호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실행 방법을 명시함
○ 제18장은 수자원의 적절한 이용과 보존, 기타 목적의 수자원 이용, 식수와 위생설비 공급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음
출처 : 환경부(2008)
□ 물관련 조직현황
○ 농업과 수자원 발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은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and Light Industry(MOFALI), the Ministry of Environment(MOE)가 있다. MOFALI은 농촌에 물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하고 정책, 규제를 담당하는 부서이다. MOE는 수 보존을 담당한다.
(MOFALI : http://www.mofa.gov.mn/)
(MOE : http://www.mne.mn/)
○ 현재에, 몽골은 강 유역 관리 문제에 통합 제도적 인프라를 개발하지 않았다.
○ 2000년에 the National Water Committee (NWC)는 National Water Programme의 완성을 조직화하고 감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게다가, MOFALI와 MOE 이외 다른 부처들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Ministry of Defense, Ministry of Health, Ministry of Infrastructure는 NWC에 병합했다.
<Main Actors in Mongolia's Water Sector. Status in 2012.> |
|
< Mongolia’s water service provision > |
|
(Source: K.Sigel. Discussion paper. Urban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Mongolia: A description of the poli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UFZ, 2012)
출처 : rrigation in Southern and Eastern Asia in figures - AQUASTAT Survey - 2011
□ 사업
○ 2002년에서 2012년 정부에서 주도하는 물 관련 사업:
- 2007년과 2008년에 정부최고 지출은 음용수 공급과 위생 프로젝트에 크게 사용된다.
- 수자원 정책과 행정관리는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 특히 주의한다.
- 농업용수 이 기간 동안 오직 정부 지출에서만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공적 개발 원조를 통해서는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출처 : UN-Water
□ 해외원조
○ 2003년에서 2011년 기간 동안,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연간 평균 총 지불금은 US$ 12.22 100만이다.
< 2003-2011년 기간, 매년 평균 공적개발원조 총 지출 > (million constant 2010 US$) |
|
○ 물 공급과 위생시스템은 대부분 ODA지불금이 차지한다. (68.2%)
○ 2002년에서 2011년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기본 음용수 제공과 안전 시스템분야에서 2005-2006년 가장 높게 나타났다.
- 강 개발은 ODA만을 통해서 가능
- 수자원 보호분야에서 ODA는 정부의 실제 지출보다 훨씬 많다.
출처 : UN-Water
□ 한국과의 협력
< Overseas development assistance > |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39.15 | 30.50 | 31.79 | 27.67 | 30.76 | 159.87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
○ 물분야 무상원조(KOICA)
- 몽골 식수개발사업 (2005-06/53.07만불)
- 몽골 올란바타르시 지역난방 및 용수공급 시스템 개선사업 (2007-09/ 385.09만불)
- 몽골 바얀누르 지역 조림 및 수자원 개발사업
(2009-11/ 161.54만불)
- 몽골 바룬우르트시 난방 및 온수공급시스템 구축사업
(2009~11/ 485.93만불)
- 몽골 울란바타르시 Yarmag지역 용수공급 및 수자원 이용 효율화 사업(2010-14/2,260만불 약정 중 2,549.44만불 지원)
- 몽골 울란바토르시 지역난방 및 용수공급시스템 개선 2차 사업 (2011-13/ 500만불 약 정 중 525.62만불 지원)
- 물랜드마크 기본조사 (2009/ 15.36만불)
출처 : KO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