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몰디브공화국(Republic of Maldives)
○ 위 치 : 동경 73°, 북위 3°
○ 건국(독립)일 : 1965.7.26.(영국)
○ 면 적 : 298㎢ (서울특별시의 약 1/2 크기의 도서국가)
○ 인 구 : 393,253명 (CIA, 2015)
○ 기 후 : 서남몬순과 동북몬순의 연 2회 몬순
○ 수 도 : 말레(Male), 약 156,000명 (CIA, 2015)
○ 주요도시 : 수도이외에 1,200여개의 소도시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핑크 로즈(Rosa)
○ 국 조 : 흰배뜸부기
□ 정치
○ 정부형태 : 공화제
○ 실 권 자 : 압둘라 야민 (Abdulla Yameen, 2013년 11월 취임)
○ 정부구조 : 대통령중심제
○ 행정구역 : 19개 환초(atolls)와 1개 수도 시로 구성
- 환초 : Alifu, Baa, Dhaalu, Faafu, Gaafu Alifu, Gaafu Dhaalu, Gnaviyani, Haa Alifu, Haa Dhaalu, Kaafu, Laamu, Lhaviyani, Meemu, Noonu, Raa, Seenu, Shaviyani, Thaa, Vaavu
- 수도 : Maale
○ 외 교 : 한국과는 1967년 수교
□ 경제
○ 화폐단위 : 몰디브 루피(Rupee)
○ 외환보유고 : 253백만달러(2014)
○ 교역규모 : 수출 3.3십억달러 / 수입 2.7십억달러(2014)
○ GDP : 30억불(2014)
○ 1인당 GDP
| 2005 | 2006 | 2013 | 2014 |
GNI per capita, PPP($) | 7,986 | 9,288 | 11,455 | 11,954 |
출처 : 세계은행 (2016.6)
○ 경제성장 : 6.5%(2014)
○ 주요산업 : 서비스업 77.2%, 제조업 19.3%, 농업 3.5% (CIA, 2014)
- 관광 위주의 산업구조로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
○ 주요자원
- 작은 도서국으로 자원이 열악, 수산물이 유일함.
- 자연환경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음.
□ 사회·문화
○ 언 어
- 공식어 : 디베히어(Dhivehi)
- 기타언어 : 영어
○ 민 족 : 남인도인(South Indians), 싱할리인(Sinhalese), 아랍인(Arabs)
○ 종 교 : 국교: 이슬람교(수니파)
○ 교 육 : 몰디브 문맹률은 98%로 남아시아(인도) 지역에서 가장 높으며, 영국의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여, 교육 수준 또한 높음
○ 복 지 : 몰디브에는 아직까지 사회복지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으므로, 전통적으로 대가족에 의해 지원
○ 축제 / 명절
- 새해 : 1월 1일
- 독립기념일 : 7월 26일
- 승리의 날 (대스리랑카 전쟁 승리 기념일) : 11월 3일
- 공화국 기념일 : 11월 11일
출처 : KOTRA, The World Bank, 외교부
□ 일반
○ 섬은 열대성 기후로, 5~10월은 남선몬순계, 11~3월은 북동몬순계가 불어옴
- 4~10월에 뇌우 다발
□ 기온
○ 일일 기온은 연중 26.2℃~ 30.6℃로 크게 다르지 않으며, 연간 평균 기온은 28℃이다.
- 적도 부근 지역이라 일반적으로 평온한 날씨
□ 강수량
○ 강수량은 건기 이외는 연중 균일하게 분포하며, 연평균 강우량은 1,972mm에 이른다.
- 건기는 1~3월로, 약 90일 간 지속된다.
□ 자연재해
○ 2004년 12월에 쓰나미의 영향으로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100,000명이 피해를 입음
- 인명 피해는 적으나, 관광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반 시설이 파괴되며, 관광업에 큰 피해 (ADB, 2006)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지표수
○ 섬 내에는 영구하천이 존재하지 않으나, 소교모의 기수성 연못이나 담수호 있음(kulhis)
○ 소규모로 빗물을 수집하여, 식수로 이용한다.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지하수
○ 몰디브의 지하수는 강우에 의해 순화하지만, 일반적으로 유기물과 쓰레기로 오염된 토양에 침투하며 오염된다.
- 국내 지하수는 연간 0.03 km3이며, 몰디브의 유일한 재생가능한 수자원이나, 해수침입과 오염으로 채취가 어렵다.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
강수량 (장기 평균) | - | 1 972 | mm/yr |
| - | 590 | 백만 ㎥/yr |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 (장기 평균) | - | 30 | 백만 ㎥/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 30 | 백만 ㎥/yr |
부양비율 | - | 0 | % |
인구 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9 | 96 | ㎥/yr |
총 댐 용량 | - | - | 백만 ㎥ |
○ 토지이용계획, 지하수 개발 전 평가와 지하수 보호구역 지정 등을 통해 지하수를 관리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지표수
○ 급증하는 도시 인구와 좋지 못한 위생 환경으로 말레의 수질오염이 심각함
○ 1978 콜레라와 1982년 쉬겔라 등, 오염된 물로 유발된 질병으로 많은 사상자를 낳고, 그 결과 1985-1988년 말레 상하수도 프로젝트 실시(Ibrahim et al., 2002).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하수,배출수
○ 하수 오염의 주원인은 가정의 위생환경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오물 정화조와 배수구멍(soakaway)이 있으나,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누수에 취약함(Ibrahim et al., 2002).
○ 하수 수질오염 예방책: 하수처리능력과 폐수토양처리를 향상하기 위해 자갈밭 수경재배(gravel bed hydroponics) 및 인공 습지 이용을 시범 운영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음용수
○ 2008년 총 인구 91%가 질 좋은 음용수에 접근 가능
- 도시는 99%, 시골에서는 86%만 음용수에 접근할 수 있음
○ 2004년 쓰나미로 인해 79개 섬이 안전한 음용수를 얻지 못했고, 전체 물 시스템의 15%가 오염되거나 붕괴됨
○ 관광 리조트에서는 담수화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나, 주로 담수화된 물은 조리 및 입욕 시에만 사용되므로, 손님에게는 병에 든 생수 구입을 권장하고 있다. (Ibrahim et al., 2002).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수자원
○ 몰디브의 첫 번째 빗물 저수조는 1906년에 처음 만들었고, 1909년에 두 번째 것이 만들어졌는데 총 용량은 96,975리터이다. 하루 당 1,485리터의 물은 충분히 주민들에게 공급되어 진다. 빗물 저수조는 철, 페로 시멘트 등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가 존재한다. 다양한 투자 에이전시와 협력하는 The Ministry of Health는 1984년 이래로 10m3 용량을 가진 1,700페로 시멘트 빗물 저수조와 2.5m3 용량을 가진 3,000탱크 이상을 제공해왔다.
출처 : AQUASTAT-FAO
□ 상수도현황
○ 수질 상태가 나쁘거나, 빗물 수집 및 저장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없다면, ‘담수화’가 몰디브에서 안전한 상수도를 공급하는 유일한 대체 방법이다.
- 담수화는 현재 수도 시 말레와 인구 밀집 지역 Kandholhudhoo에서 사용되고 있음
- 말레 시 담수화 공장: 1988년에 첫 담수화 공장 설치 (현재 일일 5,800m3 공급), 전체 이용되는 담수화된 물은 2001년 기준 연간 공급량은 1,206,900m3 이며 인구의 증가에 따라 증가 추세 (Ibrahim et al., 2002)
- Kandholhudhoo 담수화 공장: 1999년에 설치(연간 18,262m3 공급)
- 담수화 공장은 1970년대 후반 이후로 몰디브의 관광지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휴양시설은 각각 지정된 기술자에 의해 관리, 운영되는 담수화 공장을 보유
○ 다국적 기업은 몰디브 남부 지방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42 백만 달러를 투자하여, 총 6곳에 해수 담수화 공장을 건설할 예정
- 일일 3,000m3를 4,500 가구에게 전달할 예정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하수도현황
○ 총 4곳에 하수처리장 건설 예정
- 또한, 가정 오수를 새 하수처리장에 전달하는 새로운 하수수집시스템을 운영할 계획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상하수도 정책현황
○ 몰디브 정부는 모든 주거민이 최소 필요한 물을 확보하도록 정책을 수립
- 말레 이외는 안전한 식수 확보를 위해 빗물수집 시스템에 투자를 실시
○ ‘건강 마스터플랜 1996-2005’: 안전한 식수를 섬 전체 인구에게 일일 10L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지하수를 식수로 이용할 수 없는 지역은 일일 40L 제공
○ 몰디브물위생국 ‘5년 활동 계획’: 2006년 수자원평가 및 모니터링, 상수도 위생 안내, 규정 개발, 물과 오수 수질 준수 모니터링에 대한 계획을 발표 (2006-2011)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수도요금은 가정, 상업 내 사용 여부와 사용량에 따라 다르게 책정
Male의 물 관세 (2002) | ||
소비 그룹 | 고정요금에 대한 임계 값 | ㎥ 당 소비자 가격 |
가정 | 90 리터/일 까지 | MRf 25.32, US$1.99에 해당 (밴드 A) |
| 90-270 리터/일 까지 | MRf 75.95, US$5.96에 해당 (밴드 B) |
| 270 리터/일 과 이상 | MRf 101.26, US$7.94에 해당 (밴드 C) |
기관 | 개량 고정요금 | MRf 75.95, US$5.96에 해당 |
상업 | 개량 고정요금 | MRf 101.26, US$7.94에 해당 |
<말레 수도 요금(Ibrahim et al., 2002)>
○ 말레의 담수는 비싼 편으로, 한 가정 당 평균 40-60달러를 매달 물에 소비함.
- 평균 월수입이 668달러인 것을 감안했을 때, 전체 수입의 6~9%를 수도요금으로 지출하고 있으므로 매우 높은 편(MPND/UNDP, 1998)
○ 하수도요금도 수도요금에 포함되어 부과되는데, 시민이 직접 지하수, 빗물, 담수 중 본인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서 물 절약 인식 재고에 도움이 되고 있음(Ibrahim et al., 2002)
○ 리조트 섬의 담수화 공장 관련 가격은 각 리조트의 수입에서 차감됨
- Kandholhudhoo 담수화 공장의 구입, 배송 및 설치 총 비용은 102,000 달러이며 물은 7.84달러/m3이다.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물관련 조직현황
○ 콜레라, 장티푸스 등 물 관련 질병에 대한 대응책으로 몰디브물위생국(Maldives Water and Sanitation Authority) 1973년 설립.
○ 환경보호기관(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년, 몰디브물위생국을 폐지 후, 환경연구소와 기존 활동이 신설된 환경보호기관으로 이전, 현재 주택교통환경국 산하 규제기관으로서 운영 중(WASH, 2009)
○ 말레물하수기업(Male Water and Sewerage Company): 1995년 설립, 말레 내 물 공급과 하수 서비스 운영 및 관리
(https://www.mwsc.com.mv/)
○ 주택교통환경부(Ministry of Housing, Transport and Environment)
○ 수산농림부(Ministry of Fisheries and Agriculture): 몰디브 전체 국가의 수산, 농업 및 해양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개발
(http://www.fishagri.gov.mv/index.php/en/)
출처 : AQUASTAT Survey-2011
□ 해외원조
< 해외개발원조 > | |||
(단위 : 백만US$) | |||
2012 | 2013 | 2014 | 합계 |
56.5 | 21.2 | 24.8 | 102.5 |
출처: OECD DAC
□ 한국과의 협력
< 해외개발원조 > | |||||
(단위 : 백만US$)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합계 |
0.12 | 0.48 | 0.24 | 0.17 | 0.08 | 1.09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ODA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