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말레이시아(Malaysia)
○ 위 치 : 동남아 적도 북단
○ 건국(독립)일 :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 면 적 : 328,550km² (남한의 3배) (2015)
○ 인 구 : 31,086,000 (2014.3.16기준)
○ 기 후 : 열대 기후
○ 수 도 :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 주요도시 : 조호르바루, 이포, 샤알림, 프탈링자야, 쿠칭, 코타키나바루, 쿠알라트렝가누, 믈라카, 알로르스타르, 미리,
조지타운
○ 국 기
○ 국 화 : 하이비스커스 (Hibiscus Rosa Sinesis)
○ 국 조 : 혼빌 (Rhinoceros Hornbill)
□ 정치
○ 정부형태 : 연방제, 양원제, 입헌군주제 공화국
○ 실 권 자
- 총리 : Najib Razak (2009.4.3 취임)
- 부총리 : Ahmad Zahid Hamidi (2015.7.29. 임명)
○ 정부구조
말레이시아의 정부형태는 의원내각제이다. 내각은 총리실과 24개의 부처 및 장관(각료) 30명으로 구성된다. 말레이시아 총리는 국왕이 임명한다. 하원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은 하원의원 가운데 한 명을 총리로 임명한다. 말레이시아 하원의 임기는 5년이며 정원은 222명이다. 상원은 임기가 3년이며, 정원 70명으로 구성된다.
○ 외교
- 말레이시아는 비동맹, 온건중립, 명분 중시의 외교노선을 견지한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 같은 외교노선을 유지하면서 이슬람 국가와 개발도상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국가로서의 역할 및 이미지 강화를 외교 정책의 기조로 삼고 있다.
-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아세안)의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 등 지역 협력을 주도하면서,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 비동맹국회의(conference of non-aligned nations), 영국연방(Commonwealth of Nations), 이슬람회의기구(OIC,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등의 국제기구에도 가입해 국제무대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Vision 2020’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인 경제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 경제
○ 화폐단위 : 링깃 (MYR)
○ 외환보유고 : 96,986.30 (백만 미국 달러) (Central Bank of Malaysia 2016.04.30.)
○ 교역규모
- 수출 : 779,946.6 mil(RM) (Matrade 2015)
- 수입 : 685,652.1 mil(RM) (Matrade 2015)
○ GDP : 3381 (억 미국 달러) (World Bank 2014)
○ 1인당 GDP : 11307.1$ (World Bank 2015)
○ 경제성장
|
2014
|
2015
|
2016
|
GDP growth (annual %)
|
6.3
|
5.6
|
4.2
|
출처 : Trading Economics
- IMD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충분히 개방적이고 중상의 수입국이다. 요약하자면 말레이시아는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서 세계에서 14위에 위치한 경제 강국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주요산업
- 서비스업56%, 제조업35%, 농업8.9% (CIA 2015)
- 주요산업 : 전자기술(가전제품, 반도체 장치, 전기부품, ICT제품), 석유나 액화천연가스, 목공품(가구, 합판), 야자유, 고무
○ 주요자원 : 말레이시아는 농업, 산림, 광물분야에서 상당히 많은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야자유, 고무, 목재 수출국으로 강국이며 석유, 액화천연가스는 광물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 제공 자원이다.
□ 사회/문화
○ 언 어 : 말레이어, 영어, 중국어, 타밀어 등
○ 민 족 :
- 다민족나라로 대부분은 말레이인 & 원주민 (60.3%) (부미푸트라(Bumiputera)로 불리기도 함)
- 중국 여러 지역에서 이주해 온 중국계 (24.6%)
- 인도인 (7.1%)
○ 종 교 : 이슬람교 (63.3%), 불교(19.8%), 기독교(9.2%), 힌두교(6.3%), 기타 (3.4%) (2010)
○ 교 육 : 말레이시아 정부는 아이들에게 6년의 초등교육을 필수적으로 받으라고 지시하며, 5년의 중등교육은 필수가 아니다. 모든 국민들은 11년의 교육을 받음에 있어서 무상으로 받을 권리가 주어진다.
○ 복 지 :
- The Malaysian Quality of Life Index는 나라의 사회 경제적인 발전 정책과 프로그램을 평가한다. 지표는 교육, 교통, 주거, 문화, 수입, 분배, 공공안전, 건강, 사회보장, 환경, 근무환경, 가정환경을 포함한다.
- 2000년에서 2010년까지 전체적인 증가는 11.9포인트이다. 교육지표의 증가는 가장 높고, 이어서 교통 & 통신, 주거이다.
Source: Malaysian Quality of Life 2011
○ 축제 / 명절
- 이드 울피트르 (Hari Raya Aidilfitri) (날짜가 무슬림의 달력에 따라 해마다 다름)
* 한 달의 금식을 해야 하는 라마단의 종료를 의미함.
- 중국 설날 (Chinese New Year) (음력1월 1일)
- 디파발리(Deepavali) (날짜가 힌두달력에 따라 해마다 다름)
* 인도계 힌두교의 새해 축제
- 가와이 축제(Gawai Festival) (6월 1일)
* 이반(Iban) 족의 추수 감사 축제
- 크리스마스 (12월25일)
출처: KOTRA, Trading Economics, Malaysian Quality of Life, 외교부
□ 일반
○ 적도 기후로써, 사계절은 없고 우기와 건기로 나눠져 있음. 우기와 건기의 시기가 지역에 따라 달려져 있음. 연평균 기온 27℃, 최저와 최고 기온 차는 9-12℃
□ 기온/강수량
○ 말레이시아는 극히 높거나,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습기가 높은 편이다. 우기는 몬순 계절풍에 의해서 서말레이시아의 동쪽 연안에 11월에서 2월까지이고, 서쪽 연안 지역은 8월에 가장 많은 강수량이 기록된다. 동말레이시아는 11월에서 2월까지 비가 가장 많이 내린다. 서말레시아의 평균 강수량은 2500mm이고 말레이시아는 5080mm이다.
출처: MALAYSIAN METEOROLOGICAL DEPARTMENT, AQUASTAT
□ 자연재해
○ 말레이시아 ‘불의 고리’ 지역대 밖에 위치함으로써 화산, 지진 많이 없음.
○ 말레이 반도의 동해안은 10월-2월에 북둥몬순기간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할 수 있음.
○ 2015 사바(Sabah)주 지진
- 6월 5일 키나바루(Kinabalu)산에서 발생하는 6.0급 지진으로 인해 사망자 18명으로 기록되고 말레이시아에서 일어난 지진 중에 제일 강함.
○ 2014-5 말레이시아 홍수
- 몬순으로 인해 동해안에 일어난 홍수, 사망자 21 명, 피해자 20만에 달함
○ 2004 인도양 지진&쑤나미:
- 인도양으로부터 일어난 지진으로 발생하는 쑤나미에 사망자 68명으로 기록됨.
출처 : 한국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 지표수
○ 연간 재생 가능한 총 지표수의 양은 566㎦이다 (2014)
○ 말레이시아 주요 강유역의 카테고리에 의한 분류
분류 | 수 | 넓이 (㎢) |
rivers within state borders | 168 | 248,700.501 |
rivers across state borders | 17 | 56,639.448 |
rivers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 4 | 7,500.720 |
Total | 189 | 312,840.669 |
○ 말레이시아 주요 강유역의 주에 의한 분류
주 | 수 | 넓이 (㎢) |
Kedah | 3 | 3,494.923 |
Penang | 1 | 80.756 |
Perak | 9 | 17,693.018 |
Selangor | 2 | 2,464.588 |
Negeri Sembilan | 1 | 973.383 |
Melaka | 2 | 217.580 |
Johor | 17 | 9,449.992 |
Pahang | 8 | 8,021.753 |
Terengganu | 11 | 12,608.866 |
Kelantan | 2 | 13,328.844 |
Sabah | 73 | 60,054.519 |
Sarawak | 39 | 121,112.279 |
총 | 168 | 248,700.501 |
출처: AQUASTAT, Department of Irrigation & Drainage, Malaysia (JPS)
□ 지하수
○ 연간 재생 가능한 총 지하수의 양은 64㎦이다 (2014)
Source: Malaysia Environmental Quality Report 2014
출처: AQUASTAT, DEPARTMENT OF ENVIRONMENT, MALAYSIA
□ 지표수
○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는 Water Quality Index (WQI)를 이용하여 말레이시아의 강 오염도를 나타낸다. 파라미터는 용존 산소량(DO),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암모니아성 질소(NH3-N), 부유 물질(SS), pH수준 측정을 포함한다.
○ 2014년 강의 수질은 477개의 강을 커버하는 891개의 수동 감시국으로 받은 6,076개의 샘플을 기반으로 평가한다. 또한 수질은 10개의 지속적인 수질 감시국에 의해서 판단된다.
○ BOD에 의해 강의 수질이 저하되는 것은 산업, 가정, 상업 활동을 포함해서 유기적 오염을 계속해서 일으키는 원인이 될 지도 모른다. NH3-N의 주 원인은 가축, 가정 오수이고, SS의 원인은 부적절하게 만든 토루와 개간 활동에 의한 것이다.
부 지표 & | 지표 범위 | ||
수질 지표 | 깨끗함 | 약간 오염 | 오염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 91 - 100 | 80 - 90 | 0 - 79 |
암모니아 질소 (NH₃N) | 92 - 100 | 71 - 91 | 0 - 70 |
부유 물질 (SS) | 76 - 100 | 70 - 75 | 0 - 69 |
수질 지표 (WQI) | 81 - 100 | 60 - 80 | 0 - 59 |
수질지표에 기초한 DOE 수질분류
파라미터 | 단위 | 분류 | ||||
| I | II | III | IV | V | |
암모니아 질소 | mg/l | <0.1 | 0.1-0.3 | 0.3-0.9 | 0.9-2.7 | >2.7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 mg/l | <1 | 1-3 | 3-6 | 6-12 | >12 |
화학적 산소 요구량 | mg/l | <10 | 10-25 | 25-50 | 50-100 | >100 |
용존 산소 | mg/l | >7 | 5-7 | 3-5 | 1-3 | <1 |
pH | - | >7.0 | 6.0-7.0 | 5.0-6.0 | <5.0 | >5.0 |
총 부유 물질 | mg/l | <25 | 25-50 | 50-150 | 150-300 | >300 |
수질 지표 (WQI) | >92.7 | 76.5-92.7 | 51.9-76.5 | 31.0-51.9 | <31.0 |
DOE 수질지표 분류
분류 | 사용 |
클래스 I | 자연 환경의 보존 물 공급 I - 관리가 거의 필요로 하지 않음 어업 I - 매우 민감한 수생 종 |
클래스 IIA | 물 공급 II - 기존의 관리가 필요 어업 II - 민감한 수생 종 |
클래스 IIB | 신체접촉을 통한 레크레이션 사용 |
클래스 III | 물 공급 III - 광범위한 관리 필요 어업 III - 공유지, 경제적 가치와 내성종; 가축 음용수 |
클래스 IV | 관개 |
클래스 V | 해당사항 없음 |
물 클래스 및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