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레바논(Lebanon)
○ 위 치 : 지중해 동부 연안 중동지역
○ 건국(독립)일 : 1943년 11월 22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 면 적 : 10,400㎢(남한의 1/10)
○ 인 구 : 약 5,988,000명
○ 기 후 : 지중해성 기후
○ 수 도 : 베이루트(Beirut)
○ 주요도시 : 베이루트, 바브다, 트리폴리, 자흘레, 나바티예, 시돈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백향목(Cedar)
□ 정치
○ 정부형태 : 대통령중심제
○ 실 권 자
- 대통령 대행 : 탐맘 살람
- 총리 : 탐맘 살람
○ 정부구조 : 레바논의 정치 제도
1) 레바논의 대통령
2) 레바논의 내각
3) 레바논의 국회
4) 레바논의 사법부
5) 레바논의 지방자치조직
○ 행정구역
레바논은 6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1.베이루트 주 - 베이루트
2.레바논 산 주 - 바브다
3.북부 주 - 트리폴리
4.베카 주 - 자흘레
5.나바티예 주 - 나바티예
6.남부 주 - 시돈
○ 외 교
- 레바논에 시리아 군이 주둔했던 1978년~2005년간 레바논의 대외관계는 시리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2005년 이후에는 레바논을 둘러싼 서방 진영과 시리아·이란 등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인 갈등이 레바논 내 정파 간 갈등과 동조되는 경향을 보였다.
- 레바논은 2008년 5월 미셸 술레이만(Michel Sleiman)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레바논-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 등 주요 인근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 프랑스 등 서방과도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관계 : 레바논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었지만 종파에 따라 대한관계의 시각도가 매우 다른 나라이다. 우경성향의 그리스도파는 남한에 호의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좌경성향의 이슬람파는 북조선에 호의적인 관계를 보여서 사실상 등거리 외교노선을 걷고 있다. 1981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과 함께 동시 수교했다
□ 경제
○ 화폐단위 : 레바논파운드(Lebanese Pound, LBP)
○ 외환보유고 : 51,950 (USD, 백만) (2014)
○ 교역규모 :
- 수입 : 1629.95 (USD, 백만) (2016)
- 수출 : 237.11 (USD, 백만) (2016)
○ GDP : 528억$ (2016)
○ 1인당 GDP : 11,484$ (2016)
○ 경제성장
|
2013
|
2014
|
2015
|
GDP growth
(annual %)
|
2.5
|
2
|
1
|
출처 : Trading Economics
○ 주요산업
레바논의 산업 중 건설 및 부동산 개발은 전후 복구를 위한 수요 급증에 따라 호황을 누리고 있다. 금융업도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인근 국가의 발달 수준을 능가하고 있다. 한편, 제조업은 협소한 시장규모, 정부의 미흡한 지원, 주변 국가 중 가장 높은 인건비, 전쟁으로 인한 경기침체 및 구매력 감퇴 등과 맞물려 어려움이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수산업은 노후화 등의 영향으로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보험업은 경쟁이 치열하고 영세하다.
○ 주요자원 : 천연 자원 - 석회석, 소금, 철, 천연가스
□ 사회/문화
○ 언 어 : 아랍어(공용어), 프랑스어, 영어
○ 민 족 : 아랍계(95%), 아르메니안계(4%), 기타(1%)
○ 종 교 : 이슬람교 54%(수니파 27%, 시아파 27%), 기독교 40.5%, 드루즈교 5.5%
○ 교 육
- 레바논은 중세부터 유럽 선진제국과 교류를 갖고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높은 교육 수준을 유지하며 중동지역의 학술,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 초등교육(Primary) 5년, 중등교육(Intermediate)은 4년이다. 초등학교가 6년인 학교도 있으나, 이 경우 중등학교는 3년 과정이 된다. 고등교육(High)은 3년, 대학교 4년이다.
- 레바논의 문맹률은 약 12.6%로 중동에서는 이스라엘과 함께 가장 높은 문자해독률(15세 이상)을 보인다.
○ 복 지
- 레바논은 중동에서 의료시설이 가장 발달되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인접 아랍국가에서는 레바논의 온화한 기후와 함께 수준 높은 의료진에 의한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레바논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 공립 병원은 의료비가 비싸지 않지만 병원 수, 서비스 면에서 사설 병원이 우세하다. 의사 및 의료시설이 베이루트(Beirut)와 트리폴리(Tripoli) 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크다.
- 친(親)이란 헤즈볼라(Hezbollah)가 베이루트와 바알베크(Baalbek), 티레(Tyre), 트리폴리에 메디컬 센터를 운영하면서 염가의 의료 혜택을 제공한다.
○ 축제 / 명절 :
- 1월 1일 : 신년(New Year's Day)
- 1월 6일 : 아르메니안 크리스마스(Armenian Christmas)
- 1월 9일 : 엘 히즈라(El-Hijra)
- 1월 19일 : 아슈라(Ashoura)
- 2월 9일 :성 마론데이(St. Maron Day)
- 3월 20일 : 마울리드 알 나비(Mawlid al-Nabi)
- 3월 21일 : 가톨릭 부활절(Catholic Good Friday and Easter)
- 4월 25일 : 정교회 부활절(Orthodox Good Friday and Easter)
- 5월 1일 : 노동절(Labor Day)
- 8월 15일 : 어섬프션데이(Assumption Day)
- 10월 2일 ~ 3일 : 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 11월 22일 : 독립일(Independence Day)
- 12월 9일 ~ 10일 :이드 알아드하(Eid al-Adha)
- 12월 25일 : 크리스마스(Christmas)
- 12월 29일 : 엘 히즈라(El Hijra)
출처 : KOTRA, 외교부, AQUASTAT, Trading Economics
□ 일반
○ 레바논의 기후는 해안지방은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대체로 겨울은 짧고 한국에 비해 온화하며 여름은 긴 편이다. 전반적으로 맑은 날씨가 많다. 수도인 베이루트(Beirut) 지방의 일조시간은 연평균 3,000시간이다.
출처 : 외교부
□ 기온
○ 해안지역 평균온도는 20℃인데 겨울에는 13℃에서 여름에는 27℃까지 오르내린다. Bekaa 계곡의 연평균 온도는 좀 더 낮은 16℃정도인데 겨울에는 5℃에서 여름에는 26℃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 산악지대 연평균 온도는 10℃정도이며, 겨울에는 0℃ 여름에는 18℃이다.
□ 강수량
○ 연평균 강수량은 823mm로 측정되지만, 연안지역의 경우 700~1000mm정도로 다르게 나타나고 고 산악지대의 경우 1500~2000mm정도이다. 동쪽지역은 강수량이 줄어 400mm정도이고 북쪽지역의 경우 그보다 적은 200mm이다.
○ 건조기일 때 강수량은 평균보다 50%나 적다. 강수량은 1년 중 10월에서 4월 사이 80~90일 정도에 가장 많다. 연간 하천 유량의 75%는 1~5월 5달이고, 16%는 6~7월, 남아있는 9%는 나머지 8월에서 12월이 차지한다.
출처 : AQUASTAT - FAO
□ 자연재해
○ 레바논에서는 3월~5월에 계절적으로 모래폭풍(짙은 황사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 강도 3도∼5도 사이의 지진도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1956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139명이 사망하고, 6천여 가구의 이재민이 발생한 적이 있다. 최근에도 간헐적으로 3도∼5도 사이의 지진 기록이 관측되고 있다.
출처 : 외교부
□ 지표수 및 지하수
수자원 | 용량(㎦/yr) | 년도 |
지하수(renewable, actual) | 3.2 | 2014 |
지표수(renewable, actual) | 3.8 | 2014 |
총 수자원(renewable, actual) | 7.0 | - |
출처 : AQUASTAT Main Database, 2015
○ 레바논은 강우와 물 자원에 관한 한 지금까지와 같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개발을 위한 제약 조건으로 인해 매우 낮은 물 저장 용량, 물 수집 어려움과 건조한 7번의 여름 동안 물의 제한된 가용성으로 인해 바다와 기존 물 전달 시스템 및 네트워크가 단점이다. 가파른 경사를 지니고 있는 서쪽 산맥 방면의 주요한 강줄기가 존재하고, 레바논의 총 강줄기의 길이는 730km이다. 연간 재생 가능한 수자원은 4.8㎦로 측정된다. 연간 지표류는 4.1㎦이고 지하수 함양은 3.2㎦, 강의 기저유량은 2.5㎦로 구성된다.
□ 지표수 및 지하수
○ 수질은 농업, 산업, 가정용 폐수로 인해 조금씩 영향을 받는다. 농업에서 사용된 농약과 비료의 침출로 인해 지하수와 지표수 모두 오염되고 있다. 산업은 다양한 범위의 화학적 오수를 배출하는데 특히, 지표수와 해안가 주변을 오염시킨다. 단순 매립 또한, 지표수 수질에 영향을 준다. 서로 다른 경제적 요소들로 인해 생기는 수공간의 오염 축적정도는 정확하게 추정하기 힘들다. 우리가 버린 가정 하수나 산업용 오수는 물 공급이나 관개를 위해 쓰이는 강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심지어 우리가 먹는 샐러드용 야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A National Emergency Reconstruction Program (NERP)는 1990년대에 시행되었는데, 이들은 폐수 배출 네트워크의 설계와 건설 그리고 거의 모든 레바논의 해안가, 내륙도시에 처리 플랜트 설립을 구상하였다. 1995년, a Damage Assessment Report는 국가 전역의 폐수 부문에 관련하여 정책의 틀을 정형화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출처 : AQUASTAT, Lebanon
□ 배수처리, 폐수
○ 일반적으로 레바논에서는 배수시설이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배수문제로 인한 농업용지의 양은 매우 제한 되어있었고, 남쪽의 Bekaa(5000ha)와 Akkar의 Bequaia Plain(4000ha)정도가 다였다. 2001년에 총 배수지역은 거의 10000ha로 관개를 갖춘 지역의 30%이고, 천수지역은 70%였다. 강의 눈금은 범람을 통한 피해나 침수피해를 막는 역할을 한다. 곡물수확량은 배수 시설의 향상으로 40~60%증가 한 것으로 측정된다.
출처 : AQUASTAT, Lebanon
□ 음용수
○ 레바논의 물 관리 및 기반시설은 몇 년 간 시민들의 갈등과 불화로 인해 방치 및 손실되었다. 레바논의 절반도 안되는 인구가 공공 상수도 네트워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마저도 종종 제 업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로, 거의 레바논 사람들의 3분의 1이 음용수 대체 자원으로 이동식 물 트럭이나 병에 담긴 물을 구매하며, 이마저도 구입할 수 없는 사람들은 그들 가정에서 나오는 좋지 않은 수질의 물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수질은 10년간의 도시화, 적절한 오염 처리 시스템의 결여, 강이나 바다, 계곡에 불규칙적으로 폐기물을 투기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지하수와 지표수 모두 악화되고 있다.
출처 : Water and Sanitation, USAID, 2016
□ 수자원
○ 레바논은 상대적으로 우기동안에는 좋은 위치이며, 수자원도 어느 정도 있는 반면, 7달의 건기 동안에는 매우 낮은 저장능력과 해수 근처 물을 끌어오기 어렵다는 점, 단기적인 물 전달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인해 개발에 있어 제약들이 존재한다. 레바논 강 줄기의 총 길이는 730 km이며, 주로 경사가 가파른 산의 서쪽 지역에 있다. 연간 내부 수자원은 4.8 km³로 추정된다. 연간 지표수 흐름은 4.1 km³, 지하수 충전은 3.2 km³이며, 2.5 km³가 강의 기초적인 흐름이다. 약 1 km³의 강류가 평균 물 발생량 10~15L/s가 되는 2000개 이상의 수원지에서 발생되며, 국가 내 40개의 주요 시내 중에서 17개가 영구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 레바논이 기술적, 경제적으로 평균 연간 강수량 동안 회복하는 것은 감안하여 구한 연간 순수 지표수 및 지하수 추출은 2.080km³로 추정되며, 이 중 1.580km³는 지표수, 0.500km³는 지하수이다.
수자원 | |||
재생 가능한 담수자원 | |||
강수량 (장기 평균) |
| 823 | mm/yr |
|
| 8.559 | 10㎥/yr |
내부 재생 가능한 수자원 (장기 평균) |
| 4.800 | 10㎥/yr |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 4.503 | 10㎥/yr |
부양비 |
| 0.79 | % |
인구 당 총 실제 재생 가능한 수자원 | 2005 | 1 259 | ㎥/yr |
총 댐 용량 | 2005 | 225.65 | 10㎥ |
수자원 관련 인프라 상황
출처 : AQUASTAT, Lebanon
□ 상수도현황
○ 급수구역 인구 : 1,474,968 명 (2008, 79.0%)
○ 관망 연결 수 : 984,917 개 (2008)
○ 상수시설 수용 능력 : 211,992,000 m³/yr (2001)
○ 계량기 보급률 : 4.0% (2009)
○ 누수율 : 48.0% (2010)
○ 정수처리장의 수 : 77 개 (2008)
○ 정수처리장들의 설계상 총 수용능력 : 597,000 m³/d (2008)
○ 정수처리장들의 운영상 총 수용능력 : 534,000 m³/d (2008)
□ 하수도현황
○ 하수도 인구수 : 2,536,560 명 (2010, 60.0%)
○ 하수도 연결수 : 1,694,000 개 (2010)
○ 하수량 : 310,000,000 m³/yr (2012)
○ 하수 수집율 : 55.0% (2012)
○ 하수처리장의 수 : 33 개 (2008)
○ 하수처리장들의 설계상 용량 : 148,250 m³/d (2008)
○ 하수처리장들의 운영상 용량 : 128,767 m³/d (2008)
□ 물관련 법령현황 및 정책현황
○ 2000년, 레바논의 정부는 물 부문에서 더 나운 운영과 유지, 효율성을을 위해서 관개수, 음용수, 폐수를 포함한 물 부문에서의 조직 재편성 계획을 승인하였다. Law No. 241 (29/5/2000)는 현존하는 22개의 물 관련 위원회들을 4개의 Regional Water Authorities으로 재편성하였다 : 레바논의 북쪽을 관리하기 위한 North Lebanon, Beirut and Mount Lebanon를 관리하기 위한 Beirut and Mount Lebanon, 남쪽 레바논과 Nabatiyeh 관리를 위한 South Lebanon, 그리고 Bekaa를 관리하기 위한 Bekaa이다. Ministry of Energy and Water(MEW)의 원조하에서 일하면서, 4개의 당국들은 관개수, 음용수, 폐수의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그들의 책임은 전국 단계의 물 정책 계획, 강의 흐름 측정, 지하수 보충 정도 측정, 물 저장 시설 건설(댐, 저수지, 인공연못 등), 음용수와 처리된 폐수의 수질 감독, 물 가격 책정, 규제로 범위가 늘어났다. 그들은 또한 물 관련 프로젝트들의 연구, 재건, 시행 및 운영도 담당하고 있다. (인증과 배분 네트워크).
○ Law No. 221/2000은 지역 물 당국들에게 가정용수와 농업용수의 수도세의 설정 및 거둬들이기 위해 권력을 부여해주고 있다. 가정용수의 수도세의 경우 물의 가용성과 배분 비용에 따라 다르다 : 중력 배분이 가장 싸고 반면, 펌프 배분은 더 비싼 편이다. 수도세가 높은 Beirut 지역에서는, 물은 장거리로 전달하거나 깊은 수원지로부터 펌프로 끌어온다. 수도세가 낮은 북 레바논의 몇몇 지역은 중력에 의해서 물이 전달된다. 2001년 수도세는 하루 1m³ 기준 연간 $ 43에서 $ 153 사이이며, 이는 하루에 $ 0.12에서 $ 0.42만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정들은 그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사실은, 대부분의 가정들이 1m³ 이상의 수도세를 지불하는데 그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1) 빈번하고 주기적은 물의 감소
2) 보통 비용이 $ 5~ $ 10으로 책정되는 민간 트럭에서 물을 구매할 필요가 있어서
출처 : AQUASTAT, Lebanon
□ 상하수도 요금체계
○ 수도세는 4개의 지역 물 기관들마다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2008년 레바논 내 수도세
2008년 연간 물 관세 | 레바논 베이루트-산 | 북쪽 | 베카 | 남쪽 |
레바논 파운드 | 235,000 | 210,000 | 160,000 | 200,000 |
USD | 159 | 108 | 108 | 135 |
USD / ㎥ 상당 100리터 / 인당 / 일 및 가구 당 4.5 명의 소비를 가정 | 0.97 | 0.86 | 0.66 | 0.82 |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Lebanon
□ 상하수도 예산현황
10년 계획 예산 책정 | |
10년 계획 구성 | 예산 할당 (%) |
추가적으로 개발 가능한 수자원 조달 | 66.7 |
식수 제공 프로젝트 | 15.7 |
관개구조와 폐수계획 | 9.8 |
강 유역 평가 및 오염, 홍수로부터 보호 | 5.1 |
전기 인프라시설 | 2.7 |
총 예산 인구 당 해당하는 총 예산 (4 백만 인구를 가정) | US$ 850 백만 212.5 |
출처 : 10-Year Plan, MoEW, 2002
□ 물관련 조직현황
○ The Ministry of Energy and Water (MEW)은 두 개의 부서로 구성된다. 수력학과 전지 자원 관련 부서와 운영 부서이다. MEW는 물 정책을 시행하고 연장하며, 수력 및 발전 프로젝트를 감독한다. 공공 수자원의 보호와 이용과 관련하여 법을 적용하고 물과 폐수 관련 기관들의 후견인 위치에 있다. 수력학과 발전 부문의 컨세션을 조절하고 광업법을 적용한다.
(http://energyandwater.gov.lb/)
○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는 수질은 감시하고 통제한다. Ministry of Public Works의 시 항공에서 시행하는 기상 서비스는 강수량 데이터를 수집한다. 지역 정부와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Municipalities는 폐수 회수를 담당하고 있다.
(http://www.moph.gov.lb/en/), (http://www.interior.gov.lb/Default.aspx)
○ The Green Plan (GP)은 the Ministry of Agriculture의 조력 하에서 일하고 있으며 인공 연못이나 작은 저수지의 건설을 담당하고 있다.
(http://www.greenplan.gov.lb/)
○ The Litani River Authority (LRA)는 그들의 운영 지역을 넘는 특별한 임무와 기능을 가진 물 관련 기관이다. (원래 담당지역은 Litani 유역) 이들은 관개수의 개발과 운영, 남쪽의 Bekaa와 남 레바논과의 연합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레바논의 국경에 있는 지표수의 측정도 담당한다.
(http://www.litani.gov.lb/en/)
출처 : AQUASTAT, Lebanon
□ 병물 사업
○ Lebanon Water Supply Augmentation Project : 레바논의 The Water Supply Augmentation Project는 Greater Beirut와 레바논 산간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물의 규모를 늘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4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자금일 것이다. 두 번째는 Bisri 댐과 연관 진입도로의 건설 및 감독 기관 설립이다. 세 번째는 Joun 저수지와 그 연관 진입 도로를 향하는 이송 파이프라인의 건설과 담당 감독 기관의 설립이다. 네 번째는 0.2MW와 12MW만큼 발전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소의 건설이다.
출처 : Project : Lebanon-Water Supply Augmentation Project, The World Bank, 2014
□ 해외원조 및 외국인 투자
○ 많은 외부적 파트너들이 지원을 하였고 레바논의 물과 위생시설에 재무적, 기술적인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은 the Arab Fund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European Investment Bank (EIB), France, Germany, Italy, Japan, Kuwait, Saudi Arabia, the United States , the World Bank이다. 물과 위생시설 부문에 지원하는 기부자들은 각각 특정 지역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The Arab Fun는 남쪽과 Beirut를, The EIB는 레바논의 산과 북쪽을, 프랑스는 북쪽과 남쪽은, 독일은 Beirut와 레바논 산을, 일본은 레바논 산과 남쪽, 그리고 미국은 남쪽이다. World Bank는 Bekaa에서 활발하게 지원하는 소수의 기부자들 중 하나이며 추가적으로 Beirut에도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외부 자금 지원은 대출의 형태이며, 반면 기술적 지원은 보조금의 형태이다. 2006년 이스라엘과 바레인의 전쟁 여파로, 바레인은 World Bank와 같이 레바논의 기반시설 개발을 위해 대출만을 제공하는 기관들이나 독일과 같이 보조금을 제공받는 등 상당한 추가 재무 지원을 받았다. 대부분의 외부 지원은 미국을 제외하고는 정부에게 지원되는데, 미국은 정부나 NGO들과 협력하고 있는 컨설팅 기업들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UN은 또한 레바논의 물 부문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특히 UNICEF와 UN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하고 있다.
출처 : Wikipedia - Water supply and Sanitation in Leba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