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가명 : 라오 인민민주공화국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Lao PDR)
○ 위 치
- 인도차이나 반도 중앙 내륙(북위 13°54‘~22°30’, 동경 100°05‘~107°38’)
- 접경국 : 미얀마(Burma) 235km, 캄보디아(Cambodia) 541km, 중국(China) 423km, 태국(Thailand) 1,754km, 베트남(Vietnam) 2,130km
○ 건국(독립)일 : 1975년 12월 2일
○ 면 적 : 236,800㎢(대한민국 국토면적의 약 2.4배)
○ 인 구 : 6,803,699 명 (2015년 7월 예상치/CIA)
- 인구밀도 : 1㎢당 27(2012년)명
- 인구 증가율은 연 2.2%
- 인구층 : 20세 이하 50%, 20-39세 29%, 40세 이상 20%
○ 기 후
- 일반 : 열대성 몬순 기후
- 기온 : 연평균 22℃~ 31℃(최고(4월) 40도, 최저(12월) 15도)
- 강수량 : 연평균 1,660mm
- 특이사항 : 우기 : 3월 ~ 11월, 우기 :12월 ~ 4월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최저기온(℃)
|
16.4
|
18.5
|
21.5
|
23.8
|
24.6
|
24.9
|
24.7
|
24.6
|
24.1
|
22.9
|
19.3
|
16.7
|
최고기온(℃)
|
28.4
|
30.3
|
33
|
34.3
|
33
|
31.9
|
31.3
|
30.8
|
30.9
|
30.8
|
29.8
|
28.1
|
강수량(mm)
|
7.5
|
13
|
33.7
|
84.9
|
245.8
|
279.8
|
272.3
|
334.6
|
297.3
|
78
|
11.1
|
2.5
|
강수일
|
1
|
2
|
4
|
8
|
15
|
18
|
20
|
21
|
17
|
9
|
2
|
1
|
출처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비엔티안(Vientiane)기준
○ 수 도 : 비엔티안(Vientiane)
- 면적 : 3,920㎢ /인구: 약 100만명 (CIA, 2015년 기준)
- 주요산업 : 제조업, 서비스업
- 특징 : 행정수도일 뿐만 아니라 정체,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의 중심역할을 수행. 태국 농카이 지역과 접경하고 있으며 미따팜(우정)다리를 건너 태국과 왕래가 가능
○ 주요도시
|
싸완나켓 (Savannakhet)
|
짬빠삭 (Champasak)
|
루앙파방 (Luang Phrabang)
|
면적
|
21,774㎢
|
15,415㎢
|
16,875㎢
|
인구
|
약 97만명
|
약 69만명
|
약 43만명
|
주요산업
|
제조업, 농업, 임업
|
상업, 농업, 관광업
|
관광산업, 서비스업
|
○ 국 기
- 청색은 라오스 국토의 광대함과 번영을, 적색은 라오스인이 국토를 지키기 위해 흘린 피와 용기를, 중앙의 흰 원은 라오스인의 순수한 마음과 건강을 상징
○ 국가문장
- 중앙 하단의 붉은 띠에는‘라오인민공화국’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양 옆에는 반원형의 볏단을 두르고 이를 감싼 리본에는‘평화, 독립, 민주주의, 단결, 번영’을 표기
- 가운데에는 라오스 불교의 상징인 탓 루앙 불탑과 라오스의 발전과 번영을 상징하는 수력발전소, 도로, 삼림과 논, 그리고 톱니바퀴를 배치
○ 국 화 : frangipani ( 떡잎식물 용담목 협죽도과 플루메리아속), 라오스어로 독참파(Dok Champa)라는 꽃
□ 정치
○ 정부형태
- 사회주의공화제
- 대통령 : 대통령중심제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회 의결(출석의원 2/3 이상)에 의해 선출되며, 임기는 5년
·현 대통령, 분냥 보라칫(Bounnhang Vorachith, 2016년4월20일 선출)
- 국회: 단원제, 일당체제
·총리는 국회의 승인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며, 행정부를 지휘·감독
- 주요 정당 : 라오인민혁명당(LPRP, Lao People's Revolutionary Party, 유일 정당)
○ 실 권 자
- 2016.4.20. 라오스 제8대 국회 개원식에서 대통령, 부통령, 국회의장, 총리 등 주요 인사 선출
·대통령 : 분냥 보라칫 (前 부통령, 서열 1위)
·총리 : 통룬 시술릿 (前 부총리 겸 외교장관, 서열 2위)
·국회의장 : 파니 야토투 (재임, 서열 3위)
·부총리 겸 감사위원장 : 분통 칫마니 (前 감사위원장, 서열 4위)
·부통령 : 판캄 비파완 (前 부총리 겸 교육체육부장관, 서열 5위
○ 행정조직
부 처 명
| |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
내무부 (Ministry of Interior)
|
교육ㆍ체육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ports)
|
법무부 (Ministry of Justice)
|
에너지ㆍ광산부 (Ministry of Energy and Mining)
|
노동ㆍ사회복지부 (Ministry of Labor Social Welfare)
|
외교부 (Ministry Foreign Affairs)
|
국방부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재무부 (Ministry of Finance)
|
천연자연ㆍ환경부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
정보ㆍ문화ㆍ관광부 (Ministry of Information, Culture and Tourism)
|
공안부 (Ministry of Public Security)
|
산업통상부 (Ministry of Industry and Commerce)
|
공공사업ㆍ교통부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Transport)
|
우정통신부 (Ministry of Post and Telecommunication)
|
기획투자부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
과학기술부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보건부 (Ministry of Public Health)
|
- 1개 특별시(Vientiane Municipality)와 16개 주(province)구성 : Attapu, Bokeo, Bolikhamxai, Champasak, Houaphan, Khammouan, Louangnamtha, Louangphabang, Oudomxai, Phongsali, Salavan, Savannakhet, Viangchan, Xaignabouli, Xekong, Xiangkhouang
- 각 주별로 하부 행정기관으로서 군(무앙), 촌(반)이 있으며, 주지사와 비엔티안 시장은 총리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
○ 외 교 : 수교 135개국(2014년 11월 기준)
□ 경제
○ 화폐단위 : 킵(Kip) (2015년 10월 기준, 라오스 중앙은행 1$ = 8,100 Kip)
○ 외환보유고 : USD 815 M$ (EIU/OECD, 2015년 잠정치 기준)
○ 교역규모 :
- 수출 : 4,498 M$(IMF, 2015년 잠정치 기준)
- 수입 : 7,756 M$(IMF, 2015년 잠정치 기준)
- GDP : USD 12.97 B$(WB, 2014년 기준, 시장가격)
- 1인당 GDP : USD 1,793 $(WB, 2014년 기준)
- 경제성장 : 실질경제성장률 7.8%(BOL, /13-14년)
·실업률 (CIA, 2013년 기준)
·물가상승률 4.13%(라오스 통계청, 2014년기준)
- 주요산업 :
·산업구조 : 서비스업(43.5%). 제조업(33.4%), 농업(23.1%)(CIA, 2015년 기준)
·주석, 금, 수력자원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쌀을 중심으로 농업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농업국가
·농업 : 영세농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
·주요작물 : 쌀, 고구마, 옥수수, 커피 등
·대외 수출품목은 목제품, 커피, 주석, 구리, 금 등이 있으며, 기계류, 자동차, 연료 등과 대부분의 공산품을 수입함.
·주요 수출 및 수입국: 태국, 중국, 베트남 등
·수력자원, 산림자원, 석회석, 구리, 금, 보석률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며, 전체 매장량의 30%정도만이 파악된 것으로 추정
- 주요자원
라오스 주요 1차 에너지 자원과 잠재력
| ||
에너지원
|
현황
|
전력 생산 잠재력
|
석탄 (갈탄)
|
주요지역은 북서부에 위치한 홍사(Hongsa)로 매장량은 약 8억 톤으로 확인되며 이 중 약 5억 3,000톤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
약 2,000MW (설비용량)
|
석탄 (무연탄)
|
라오스 전역에서 발견되며 지속적으로 발굴 작업 진행, 매장량은 약 1억톤 정도로 평가
|
현재 연간 생산량은 13만 톤이며 지역공장과 수출용으로 사용, 채굴 작업에 따라 장기적으로 500MW(설비용량) 기대
|
수력
|
연 강수량 2,000mm로 이론적으로 26,000MW 잠재력
|
잠재량 23,000MW
|
태양광
|
약 5kWh/㎡의 일사량 남부유럽(이탈리아,스페인)과 유사
|
100W와 같은 소규모 발전용량의 태양광 모듈은 산간 오지지역에서 이미 사용중
|
바이오매스
|
전 국토에서 풍푸
|
연료용 땔감이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88% 차지, 나무 연소를 통해 열과 전력생산을 혼합한 방식이 경제적
|
출처 : Vongsay(2013) KIET(2014), CLMV 국가의 에너지 보급을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연구
□ 사회·문화
○ 언 어 : 라오스어 (성조가 있는 말로, 태국어와 유사)
- 라오스어는 6성, 태국어는 5성
○ 민 족 : 공식적으로는 49개의 종족이 있으며(2008.12 라오스 국회 채택), 크게 라오룸(50%), 라오퉁(30%), 라오숭(10%) 등으로 구분
- 라오룸 : ‘저지대 라오족’이라는 뜻으로, 전 인구의 약 50%를 차지하며, 주로 메콩강 유역에서 수전농에 종사
- 라오퉁 : ‘구릉지라오족’으로, 약30%를 차지하며, 주로화전농에 종사
- 라오숭 :‘ 산악지 라오족’으로,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며, 라오스 내전 당시 비엔티안 정부 측과 혁명군 측으로 나뉘어져 많은 수가 희생되었음. 라오숭 중 가장 수가 많은 몽족은 인도 차이나 전쟁 당시 미국에 협조적이었던 관계로 전후 상당수 해외로 망명
○ 종 교 : 인구의 약 90%가 불교도이고, 나머지는 정령신앙을 믿음
- 몽족 가운데 기독교 신자가 일부 있음
- 라오스 정부는 혁명 전부터 활동하던 기존의 교회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으나, 포교는 허용하지 않고 있음
○ 교 육
- 학제 : 초등교육 5년, 중등교육 7년(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과정에 해당)
- 헌법에 초등교육은 의무교육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취학률은 전국 평균 83.7%(여자 81.2%, 남자 86.1%)
·중등과정 취학률 : 전기 3년 과정 - 62.7%, 후기 3년 과정 - 36.8%
·대학 취학률 : 2% 이하(여자 1%, 남자 3%)
- 2014년 기준 총 대학(원)생 수는 126,734명
·성인 문자 해독율 : 전국 평균 78.51% (여자 65.05%)
○ 복 지
라오스 주요 사회 지표
| |||
지표
|
수치 (기준연도)
|
지표
|
수치 (기준연도)
|
기대수명
|
66.1세(14)
|
5세미만 유아사망율 (1,000명 당)
|
66.7명(15)
|
출산율 (여성1인당)
|
2.9명(14)
|
청소년 출산율 (1,000명 딩)
|
65.4명(14)
|
초등교육 등록율(net)
|
95.1%(14)
|
초등및중등, 성평등지수(GPI)
|
93.5%(14)
|
홍역예방비율 (12~23개월 영유아)
|
87%(14)
|
HIV 유병률 (15~49세)
|
0.3%(14)
|
이동통신 가입자 (100명 당)
|
66.9명(14)
|
인터넷사용자 (100명 당)
|
14.3명(14)
|
출처: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2016)
○ 축제/명절
2016년 라오스 정부지정 공휴일
| ||
연번
|
일자
|
휴일명
|
1
|
1월 1일(금)
|
신정
|
2
|
3월 8일(화)
|
여성의 날
|
3
|
4월 13(수)~15일(금)
|
라오스 새해
|
4
|
5월 1일(일)
|
노동자의 날
|
5
|
7월 20일(수)
|
여성동맹 창립일
|
6
|
12월 2일(금)
|
라오스 국경일
|
주 : 라오스는 공휴일이 주말인 경우 대체휴무제를 실시
|
출처 : KOTRA 국가정보(www.globalwindow.org), 2016년 2월 외교부, 2015, 라오스개황 KOICA,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 www.odakorea.go.kr KIET, 2014, CLMV 국가의 에너지 보급을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연구 라오스대사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라오스보고서(2016년 6월)
□ 일반
○ 강수량: 연평균 1,660mm
- 특이사항: 우기 : 3월 ~ 11월, 우기 :12월 ~ 4월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최저기온(℃)
|
16.4
|
18.5
|
21.5
|
23.8
|
24.6
|
24.9
|
24.7
|
24.6
|
24.1
|
22.9
|
19.3
|
16.7
|
최고기온(℃)
|
28.4
|
30.3
|
33
|
34.3
|
33
|
31.9
|
31.3
|
30.8
|
30.9
|
30.8
|
29.8
|
28.1
|
강수량(mm)
|
7.5
|
13
|
33.7
|
84.9
|
245.8
|
279.8
|
272.3
|
334.6
|
297.3
|
78
|
11.1
|
2.5
|
강수일
|
1
|
2
|
4
|
8
|
15
|
18
|
20
|
21
|
17
|
9
|
2
|
1
|
자료: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비엔티안(Vientiane)기준
□ 기온
○ 일반 : 열대성 몬순 기후
- 기온 : 연평균 22℃~ 31℃(최고(4월) 40도, 최저(12월) 15도)
□ 강수량
○ 라오스의 국토 대부분이 산악 지대여서 지역 간 강우량 편차가 큰 편이다. 수도인 비엔티안의 경우 연간 강우량은 평균 1648.7mm이고 강우량이 0.1mm 이하인 날은 평균 111일 정도이다. 12월에 가장 비가 적게 내려 월 평균 강수는 2.8mm에 불과하지만,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8월의 월 평균 강수량은 322.5mm에 달한다.
○ 연 강수량
- 메콩지역 : 1,500~2,000mm
- 중앙-남부 산악지대 : 2,000~3,000mm
- 비엔티엔 평야지대 : 2,500~3,000mm
- 볼로반 고원지대 : 2,500~3,000mm
- 북부 산악지대 : 1,300~2,500mm
- 북부 저지대 : 1,500~2,000mm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s://ko.wikipedia.org/wiki/라오스 KEI, 2013, 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 자연재해
○ 중국,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내륙국이고 국토 대부분이 고생대에 생성된 지형으로 자연재해가 적은 편이다. 우기에는 라오스 긴 국토를 따라 이어진 메콩강이 범람하기도 하며 2008년 8월의 경우 비엔티안, 보리캄사이주, 루앙프라방주의 주거지 및 농경지 침수피해가 있었음
○ 2009년 10월에는 이례적으로 라오스 남부지역을 강타한 태풍으로 막대한 재산피해와 수만명의 이재민이 발생
○ 우기에는 배수시설이 취약하여 도로가 범람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특히, 열대성 집중호우(스콜)는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 편
□ 지표수
○ 라오스는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 총 이용 가능한 지표수 자원은(Mekong강의 유량과 지류를 포함한) 연간 1인당 55,000㎥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다. 그러나 소수의 국가 상수도는 개발되었는데, 총 용량은 연 지표유출의 3%보다 못하다.
- 라오스의 수자원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메콩강은 그 총길이 1,860 km로서 라오스를 거쳐 인도차이나를 관통하며, 크고 작은 지류들이 많고 유역의 특성상 탁도가 매우 높다. 라오스 메콩강 유역에 있는 Louang phrabang은 유역 중 큰 도시들 중 하나이며, 매콩강과 남칸강이 합류하는 위치에 자리 잡은 도시이다. 도시 주변 수량이 풍부하고 연중 강수량은 약 1,250 mm이다. 기후는 열대습식 및 건식기후로서 건기와 우기를 갖는 계절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변 산과 수림이 많은 고원지대에 위치하였는데 도시주변에서는 전통적으로 농업과 산림업을 행하고 있다.
평균 강우량 및 탁도
| ||
|
메콩강
|
남칸강
|
우기 평균 강우량(mm)
|
239
|
194.2
|
건기 평균 강우량(mm)
|
40
|
37
|
우기 평균 유입탁도(NTU)
|
253
|
649
|
건기 평균 유입탁도(NTU)
|
61
|
67
|
○ Louang Phrabang의 수위 및 일조량 변화
- Louang phrabang의 지난 10년간의 기온변화에 따른 증발량 및 메콩강의 최저, 최고 수위를 관찰하였다. Louang phrabang과 더불어 라오스는 전 지구적 기후 변화로 인하여 온도상승에 따른 일조량 증가 메콩강 수위 저하 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기 우기시의 영향을 미추고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정수장내에서 처리 공정 전반에 걸쳐서 건기와 우기시 처리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 남칸강의 연 평균 처리용량은 약 7,400 m3이며, 계절별 유입유량의 차이는 최대 4,900 m3까지 발생하며, 메콩강의 용량은 평균 830 m3이며, 계절별 유입유량의 차이는 최대 873 m3로 남칸강의 6배의 용량을 처리하고 있다. 위의 표를 보면 메콩강 유역은 우기시 강우량이 건기시에 비하여 약 5.9배 증가하였고, 남칸강은 약 5.2배로 평균 5.5배의 차이를 보인다.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탁도 변화는 메콩강이 우기시 253 NTU에서 건기시 61 NTU로 4.2배 증가하였고, 이는 남칸강의 9.7배 보다 적게 나타났다. 메콩강은 정수처리시 요구되는 잔류염소가 0.2∼0.4 mg/L, 남칸강은 0.35∼0.6 mg/L까지의 범위를 나타냈다
Major River Basin (tributaries of Mekong river) in Lao PDR
| |||
(Source: WEPA, 2010)
| |||
Name of River basin
|
Basin area(㎢)
|
Annual discharge (million ㎥)
|
Length of main stream(km)
|
Ou
|
19700
|
12277
|
390
|
Suang
|
5800
|
3654
|
150
|
Khan
|
6100
|
29455
|
250
|
Ngum
|
16500
|
23021
|
1403
|
Nhiep
|
4270
|
5885
|
156
|
San
|
2230
|
4271
|
120
|
Theun/Cading
|
3370
|
7027
|
138
|
Bangfay
|
8560
|
13624
|
190
|
Banghieng
|
19400
|
15673
|
370
|
Done
|
6170
|
5065
|
1574
|
Kong
|
10500
|
16146
|
170
|
Water: sources and use
출처 : WEPA, 2008,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in Lao PDR, 정인규 외 3인, 2012, 라오스지역내 건기 및 우기 계절변화가 정수처리에 미치는 영향연구 FAO aquastat survey, 2011
□ 지표수
○ 농림부의 수질 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5년간의 모니터링으로 볼 때, Lao PDR의 수질은 대체적으로 좋지만 인간 활동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MRC에 의한 Mekong강의 진단적 연구에 따르면, Mekong강 유역은 대체로 수질이 좋지만, 지역마다 예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빠른 인구증가의 압박과 함께, 경제성장, 도시화로 수질이 악화는 심화될 것이다.
출처 : WEPA, 2008,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in LaoPDR
□ 음용수
○ 식수로 부적합한 라오스의 수돗물·지하수
- 도시 지역의 라오스 인들은 씻는 물을 제외하고는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음. 이는 깨끗하지 못한 수돗물과 지하수에 노출돼 장티푸스, 설사, 콜레라, 피부병, 간염, 기생충 등 여러 질병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임.
- WHO에 의하면 설사로 매년 약 2300명의 라오스인이 사망하고 있으며, 2007년 라오스 남부지역 Xekong 주에서는 10개가 넘는 마을에 콜레라가 퍼져 감염자수가 2만1363명에 달하는 등 식수 관련 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음.
- 일반적인 수돗물, 지하수가 아닌 끓인 수돗물, 지하수라고 할지라도 라오스 물은 지역적 특성상 철분, 석회질 성분을 많이 함유돼 있어 장기간 마실 경우 체내에 축적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 하지만 도시를 제외한 농촌지역에서는 아직도 우물·저수지에서 물을 길어 식수로 사용하거나, 빗물을 모아두었다가 식수로 사용하는 등 깨끗한 식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식수 관련 사고가 도시에 비해 월등히 많이 발생함. 이에 정부는 외국기업, 국제원조기구의 지원을 받아 농촌지역의 수질개선과 함께 깨끗한 식수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지역주민 교육 등 노력을 계속하고 있음.
- 수돗물·지하수에 대한 불신으로 도시지역의 가정, 회사, 식당 등 대부분의 곳에서는 생수를 편의점, 마트에서 구매하거나 식수공장에서 대량으로 물을 주문해 식수로 이용함.
- 높아지는 생수 수요 탓에 매년 식수공장은 늘어가고 있지만 공장의 시설과 위생, 생수 품질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 접수가 많아지자 2012년 비엔티안시는 식수공장 안전관리 점검을 시행, 140개 공장의 문을 일시적으로 닫게 함. 그러나 그중 대부분은 공장을 다시 열고 생수 생산을 계속하고 있음.
- 2012년 Vientiane times에 따르면 비엔티안에는 90~150개 식수공장이 있는데, 그중 40~50개 식수공장만이 하루에 안전한 1800ℓ 생수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함. 이러한 생산량은 비엔티안시 생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수치임.
식수공장에서는 생수 수요를 맞추기 위해 수돗물로 모자란 생산량을 채우거나 병뚜껑만을 생산해 재포장하는 일도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음.
- 비엔티안시 식수공장을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아직도 많은 식수공장에서는 물병을 수거해 수작업으로 물병을 씻고 헹궈 건조과정 없이 바로 물을 담아 병뚜껑 포장만을 다시 해 재판매하고 있었음.
- 생수 생산시설 승인을 받고 생수를 생산·판매하기 위해서는 산업통상부의 승인을 받고 식약청 승인 또한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지만 승인을 받기 위한 안전기준을 맞추기 위해서는 부수적인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승인 없이 불법으로 공장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 이러한 생수 위생과 공장관리 문제 때문에 라오스 소비자들은 생수를 구매할 때 품질 인증을 받았는지 공장 설비, 품질에 대한 관리가 꾸준히 이뤄질 수 있는 큰 기업인지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며 가격보다 품질에 초점을 둠.
출처 : KOTRA GlobalWindow(www.globalwindow.org)
□ 물시장 현황
○ 라오스 대표 생수 브랜드
- 라오스 생수 시장점유율 부동의 1위는 Lao Brewery Co., Ltd.의 Tigherhead로, 점유율 80~90%를 차지함. Tigerhead는 1997년 생산을 시작한 이후 2003년, 2006년, 2010년에 유럽 등지에서 생수 관련 수질검사를 모두 통과해 금메달을 수여받음. 2009년 25회 동남아시아 게임(25th SEA GAMES)에서 공식 생수로 선정되는 등 철저한 수질검사와 신뢰를 바탕으로 수돗물·지하수·생수에까지 불신을 가진 라오스 소비자들에게 라오스 대표 생수로 사랑받고 있음.
- Tigerhead 다음으로 인기 있는 브랜드는 라오스 Kammouane주에 투자 진출해 자체공장을 가진 태국 브랜드 NAMTHIP임. 2012년 제조공정과 포장방식을 개선하면서 100% 재활용 가능하고 이전 생수병과 비해 가벼운 병을 개발해 환경을 생각한다는 기업 이미지로 승승장구하고 있음. 또한, 매주 꾸준한 수질검사를 통해 품질과 공장오염도를 관리하고 있음.
출처 : KOTRA GlobalWindow(www.globalwindow.org)
□ 수자원
- 내부적으로 생산하는 지표수 (10^9 m3/year) | 190.4 | 2014 |
- 내부적으로 생산하는 지하수 (10^9 m3/year) | 37.9 | 2014 |
- 지표수와 지하수가 겹치는 부분 (10^9 m3/year) | 37.9 | 2014 |
- 총 내부 재생가능 한 수자원 (IRWR) (10^9 m3/year) | 190.4 | 2014 |
- 인당 총 내부 재생가능 한 수자원 (m3/inhab/year) | 27992 | 2014 |
- 지표수: 국가유입 (총) (10^9 m3/year) | 143.1 | 2014 |
- 총 재생가능 한 지표수 (10^9 m3/year) | 333.5 | 2014 |
- 총 재생가능 한 지하수 (10^9 m3/year) | 37.9 | 2014 |
- 겹치는 부분: 지표수와 지하수 사이 (10^9 m3/year) | 37.9 | 2014 |
- 총 재생가능 한 수자원 (10^9 m3/year) | 333.5 | 2014 |
- 부양 비 (%) | 42.91 | 2014 |
- 인당 총 재생가능 한 수자원 (m3/inhab/year) | 49030 | 2014 |
- 지방 폐수 생산 (10^9 m3/year) |
|
|
- 관개 잠재성 (1000 ha) | 600 | 2013 |
- 홍수 발생 (WRI) (-) | 3.9 | 2013 |
- 총 인구의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접근성 (JMP) (%) | 75.7 | 2015 |
- 농촌 인구의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접근성 (JMP) (%) | 69.4 | 2015 |
- 도시 인구의 안전한 음용수에 대한 접근성 (JMP) (%) | 85.6 | 2015 |
출처 : FAO aquastat
□ 상하수도 법령현황
○ 물과 수자원 법(1996)
- 물과 수자원의 지속가능한 사용과 보전, 개발, 관리 등 규제
출처 : KIET, 2014, CLMV 국가의 에너지 보급을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연구
□ 상하수도 정책현황
○ 2020 국가환경전략과 2006-2010 환경액션플랜(National Environment Wtrategy and Action Plan, NES-AP)
목표 : 적절한 환경관리 및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빈곤퇴치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달성
- 천연자원(토지,물,산림,광물자원,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
- 환경 및 사회영향평가와 개발프로젝트에서의 환경관리 강화
- 환경 모니터링에 대한 제도적 개선 및 역량 강화
- 민영회사의 환경보존 독려
- 환경보호 및 환경관리에 대한 투자 촉진
- 지역적, 국제적 협력 강화
- 청정기술 및 청정제품 사용 등에 우선순위를 둔 프로그램을 시행
○ 기후변화전략(Climate Change Strategy, CCS)
- 농업과 식량안보
- 임업과 토지사용변화
- 수자원
- 에너지와교통
- 산업
- 도시개발
- 보건 분야에 중점을 두고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전략 추진
○ 국가적응프로그램(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of Action, NAPA)
농업, 임업, 수자원, 보건 분야에서 기후변화적응 이행을 위한 우선수위 프로그램을 제안
NAPA-수자원 분야 | |
분야 | 우선순위 프로젝트 |
수자원 (Water and water resources) | [우선순위 1] ① 수자원 및 수자원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② 홍수 취약지역 지도 제작 ③ 홍수 취약지역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및 기상수문 네트워크 확대, 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④ 수자원 관리 관련 제도 및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 ⑤ 가뭄 취약지역의 지하수원 조사 ⑥ 가뭄 취약지역의 다용도 저수지 설계, 구축
[우선순위 2] ⑦ 주요 유역(watersheds) 보존 및 개발 ⑧ 기족 관개시스템 보호를 위해 홍수제방 구축 ⑨ Improve and protect navigation channels and navigation signs ⑩ 홍수 피해를 입은 농촌지역의 시설 및 인프라 개량 및 보수 |
자료 : Ministrt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Vientiane, National “Rio+20 Report for Lao PDR”, June 2012, pp.17-20
출처 : KEI, 2013, 글로벌 녹색경제 확산 및 협력체계 구축
□ 상하수도 요금체계
○ 비엔티안 시청은 수도요금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3~5% 씩 점진적으로 인상시킬 것임을 밝힘(2014년 요금 기준), 이는 수도 비엔티안을 중심으로 한 투자 및 비즈니스 활성화에 따른 국민 소득 증가를 반영한 조치로 볼 수 있음
< 소비자군 별 수도요금 인상 계획 > | ||||||
(단위 : 낍/T) |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 3% | 3% | 4% | 5% | ||
가정 | 월 1∼10T 사용 | 1,300 | 1,339 | 1,379 | 1,434 | 1,560 |
월 11∼30T 사용 | 1,800 | 1,854 | 1,910 | 1,986 | 2,085 | |
월 31∼50T 사용 | 2,300 | 2,369 | 2,240 | 2,538 | 2,665 | |
월 51T 이상 사용 | 2,800 | 2,884 | 2,970 | 3,089 | 3,224 | |
정부 및 대사관 등 국가기관 | 2,300 | 2,369 | 2,240 | 2,538 | 2,665 | |
호텔, 공장 등 일반 상업시설 | 2,800 | 2,884 | 2,971 | 3,089 | 3,244 | |
자료 : Vientiane Administration Office | ||||||
주 : 가정용 수도요금은 누진제 적용 |
○ 이번 수도요금 인상은 라오스 정부가 해외투자자로부터 선호하는 투자BOT(Build-Operate-Transfer)를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으로 예상됨
○ 비엔티안시 수도국 Nam Papa Nakhone Luang(NPNL)에 따르면 2015년까지 80~85%, 2020년까지 90~95%의 가정에 수도를 공급할 수 있게끔 인프라를 개선시킬 계획이라고 함. 따라서 수도요금 상승에 따른 추가적 수입을 수자원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설비 신설 및 보수에 투자할 예정임
출처 : 라오스,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 줄줄이 인상(www.globalwindow.org 기사), 2015년 1월12일
□ 상하수도 예산현황
○ 2004년에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은 NPSE에 현재 지원을 받지 않는 작은 도시를 포함한 도시 상수도 제공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US$1.2 100만이 개인 투자자들과 가정, 외국 비정부 부문에 의해서 자금이 동원되었다. 지속가능한 민간부문 참여는 미래의 민간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지속이 가능한 재정 자율성을 만드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개선이 될 때까지 제한됩니다. 또한, 더 강한 관세 정책들, 예측가능 한 법들, 신용에 대한 접근,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보조를 필요로 할 것이다.
○ 2000~2009년 농촌 물 공급과 위생 투자 양은 230,000 100만 kip(US$ 27.5 100만)이거나 연 평균 US$ 2.7 100만이다. 물 공급 점유율은 80%이고 위생 점유율은 20%이다. 개발 파트너에 의한 자금은 약 65%, 가정에 의한 자금은 25%, 중앙, 지방 정부에 의한 자금은 10%이다.
○ 도시 폐수
- 2009년에서 2020년까지의 도시 폐수 전략과 투자 계획에 기초한 도안인 총 도시 폐수 투자는 제도적 지원과 능력 형성(0.5%), Vientiane도시 시설(54%), 주변 도시(17%), 도청 소재지(8%), 중심국(20%), 신 소도시(0.3%)를 포함해 약 US$140 100백만이 필요하다.
- 확인된 투자 가능한 곳은 정부예산 할당, 국내외 개인부문 투자나 기증자 정부, 펀딩 에이전시, 국제적이거나 국가적인 NGO와 같은 발전 파트너이다.
- 어려운 사람을 지원하려면 회전자금을 설립해야하는데, 그 비용은 약 US$8.4 100만이 필요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출처 : World Bank, 2010,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Review
□ 물관리 로드맵
< The Road Map of IWRM: 2011-2015 >
출처 : UNWATER, 2011, Water planning in LAO PDR
□ 물관련 조직현황
출처 : [Annex2]World Bank, 2010,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Review
□ 해외원조
○ 1999년에서 2014년 기간 동안 총 자금 제공 책무의 양은 약 US$125 100만으로 연 평균 약 US$8 100만이다. 이 양의 97%는 개발 파트너에 의해서 투자되고, 3%는 연방 정부에 의해서 투자된다. 다시 말하면, 전국에 걸친 분배는 40%이상이 Vientiane지방에 프로젝트 이익으로 분배되고, 그 외에는 2차 도시, 마을에 분배된다.
출처 : World Bank, 2010,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Review
□ 한국과의 협력
○ 라오스 수자원학교(Lao Water Resources School)
- K-water/라오스 에너지광업부, 2014년 7월 실시
- 라오스는 메콩강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이 주 성장동력이나, 체계적인 수자원 관리방안 부재
- 수자원 관리 노하우 전수를 통한 국내기업 진출기반 마련
출처 : kotra, 2015년라오스 진출전략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