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 국 가 명
- 정식명칭 : 에스타도 에스파뇰(Estado Espanol)
- 영어명 : 스페인왕국(Kingdom of Spain)
○ 위 치 : 서부유럽 이베리아 반도(지중해 발레아레스 제도, 아프리카 서북쪽 까나리아 제도, 북아프리카의 쎄우따, 멜리야 지역 포함)
○ 건국(독립)일 : 1480년10월12일
○ 면 적 : 505,963㎢
○ 인 구 : 4,600만명(2017)
○ 기 후
- 지중해안-지중해성 기후 / 내륙-대륙성 기후
- 여름-내륙은 고온건조, 북부해안지방은 높은 강우량
겨울-낮은 일조량, 우기
○ 수 도 : 마드리드(Madrid)
○ 주요도시
- 마드리드(Madrid, 645만명)
- 카탈로니아(Cataluna, 751만명)
- 발렌시아(Valencia, 500만명)
- 안달루시아(Andalucia, 840만명)
- 빠이스 바스코(Pais Vasco, 219만명)
○ 국 기
○ 국가문장
○ 국 화 : 오렌지꽃
○ 국 조 : 흰죽지수리
□ 정치
○ 정부형태 : 입헌군주제 하의 의원내각제
○ 실 권 자
- 국왕 : 펠리페 6세(2014년6월19일 즉위)
- 정부 의장(총리) : 마리아노 라호이 브레이
○ 정부구조
- 입법부 : 상원 266석, 하원350석)
- 정당 : 국민당(PP) 및 사회노동당(PSOE)이 정국 주도, 이외 포데모스(Podemos), 시우다다노스(ciudadanos), 좌익연합(IU) 등
○ 행정구역
- 스페인은 17개의 자치 지방으로 나뉘어있으며, 이 자치 지방이 다시 3~4개 정도로 나뉘어 총 50개의 주를 이룸
- 일본의 현과 비슷하게 주로 같은 이름의 시를 중심지로 두고있음
- 이외의 자치 지방에 포함되지 않는 자치 도시로 ‘세우타’와 ‘멜리야’가 있음
- 둘 다 모로코와의 접경지대에 존재함
○ 외 교
- 스페인은 1970년대 중반 민주화 도입 이후, 그동안 편향돼 있던 외교정책을 재정비하는데 주력함
- 1955년 UN 가입 이후 줄곧 국제사회로서의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연합(EU)에 각각 1982년, 1986년 가입함으로써 서방 세계와의 외교 기반을 다짐
- 스페인은 그간 EU 차원의 개발지원금에 힘입어 본격적인 경제 성장을 이룩해, EU 내 정책사항 마련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친 EU 성격이 강함
- 중남미와는 오랜 식민 통치 경험으로 중남미 모국이라고 스스로 평하며 언어, 문화 유사성을 갖고 정치, 경제적으로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경제
○ 화폐단위
- 연도별 환율 변화추이(평균)(2011년~2015년) (단위 : USD/유로)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환율 | 0.76 | 0.75 | 0.82 | 0.79 | 0.92 |
(자료 : KOTRA)
○ 외환보유고
- 최근 외환보유고 실적(2011-2015) (단위 : 백만달러)
2011 | 47,099 |
2012 | 50,589 |
2013 | 46,308 |
2014 | 50,351 |
2015 | 53,970 |
(자료 : KOSIS)
○ 교역규모
- 스페인 대외 교역현황(2011-2015) (단위 : 억유로)
구분 | 수출 | 수입 | 무역수지 |
2011년 | 2,152 | 2,631 | -479 |
2012년 | 2,261 | 2,579 | -318 |
2013년 | 2,358 | 2,523 | -165 |
2014년 | 2,405 | 2,655 | -249 |
2015년 | 2,502 | 2,744 | -241 |
(자료 : KOTRA)
○ 교역품
- 수출 : 자동차부품, 승용차, 합성섬유, 석유화학합성원료, 무선전화기 등
- 수입 : 승용차, 나프타, 가축육류, 기타 금속광물, 천연가스 등
○ GDP
- 최근 GDP 실적 및 분야별 현황(2011-2016) (단위 : 조$)
연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GDP | 1.4879 | 1.3399 | 1.3693 | 1.3813 | 1.1991 |
증가율 | -1.6 | -1.2 | 1.4 | 3.2 | 3.2 |
(자료 : 세계은행, KOTRA)
- 스페인 재정부에 따르면, 2015년 GDP 대비 정부 재정적자 비율은 5.16%로 EU 집행위가 제시했던 4.2%를 충족하지는 못함
- 스페인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일 전망임
- 스페인 정부에 따르면, 2015년에 스페인 중앙정부와 각 도시의 시청들은 목표했던 만큼의 재정적자 감축에 성공함
- 하지만 사회보장지출이 예상보다 많았으며, 각 주정부에서 목표했던 것보다 더 많은 재정적자를 기록하면서 결국 EU집행위원회가 제시한 목표치를 달성하는 데에는 실패함
○ 1인당 GDP
- 1인당 GDP (단위 : 달러)
2011 | 28,670 |
2012 | 29,907 |
2013 | 30,278 |
2014 | 26,326 |
2015 | 34,343 |
(자료 : KOTRA)
○ 경제성장
- 연도별 경제성장률(2011년~2015년) (단위 : %)
2011 | -1.6 |
2012 | -1.2 |
2013 | 1.4 |
2014 | 3.2 |
2015 | 3.2 |
(자료 : KOTRA)
○ 주요산업
- 농축수산업(2.5%) / 제조업(13.2%) / 건설(5.6%) / 숙박·운송·도소매업(24.1%) / 공공행정·보건·교육(18.6%) / 금융·보험(3.9%) / 정보통신(4.0%) 등
○ 주요자원
- 천연자원 : 구리, 수은, 철광석
- 주 농산물 : 올리브, 포도, 밀 등
□ 사회 / 문화
○ 언 어
- 주 언어 : 스페인어(카스티야어)
- 지역어 : 카탈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 민 족
- 이베로 족
○ 종 교
- 가톨릭(68%) / 무종교(27%) / 타 기독교 종파 및 기타종교(2%)
○ 교 육
- 6~14세는 의무교육이고, 대부분의 학교가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음
- 대학 진학률은 매우 낮으며, 고등교육은 아직까지 국한된 계층만이 받고 있음
- 학교교육은 가톨릭 및 ‘팔랑헤 국민운동’을 정신적 바탕으로 하여 실시되며, 종교적·도덕적 이유에서 대학 이외의 학교에서는 남녀공학을 하지 않음
○ 복 지
- 스페인의 복지제도 개요
· 성별, 신분, 직업에 관계없이 스페인에 거주하는 스페인국민 또는 합법적 거주 외국인에 대한 지원 원칙
- 복지제도의 종류
· 사회연금, 실업수당, 퇴직연금 지원
· 출산, 일반질병, 직업병 또는 사고에 의한 의료혜택 및 경제적 지원과 이후 직업복귀 지원
· 자녀 양육 보조
· 노년층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교육 및 재활보조
- 사회복지 전달체계에서 정부간 역할분담
· 연방정부 : 전 스페인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연금, 실업수당, 퇴직연금 중심의 복지제도 운영
· 주정부 : 광역시설 운영, 아동보조 지원
· 지방정부 : 접수 및 조사, 지역사회서비스 제공
○ 축제 / 명절
- 2017 스페인 공휴일
공 휴 일 | 명 칭 |
1.1 | 새해 |
1.6 | 동방박사의 날 |
3.19 | 성요셉의 날 |
4.13 / 4.14 | 부활절 목요일, 금요일 |
5.1 | 근로자의 날 |
5.2 | Fiesta de la comunidad de Madrid |
5.15 | 성이시드로의 날 |
8.15 | 성모승천일 |
10.12 | Fiesta nacional de Espa?a |
11.1 | 모든 성인 대축일 |
11.9 | 알무데나의 날 |
12.6 | 제헌절 |
12.8 | Inmaculada concepci?n |
12.25 | 성탄절 |
(자료 : KOTRA)
- 3월19일인 ‘성요셉의 날’은 3월20일에 대신 쉼
□ 일반
○ 일부 스페인 기후 자료에서는 내륙에서 겨울의 경우 기온이 더 낮기 때문에 이를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로 구분하기도 함
- 이는 1월 기준으로 보통 6도 정도에 머무르는 내륙 지방의 기후가 더 낮음
○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높새바람을 스페인에서는 ‘레베세 바람’으로 부르며 뜨겁고 건조하며 동쪽이나 남쪽으로 붐
- 이는 북아프리카를 넘어오기 때문, 바람이 몰아치면서 대개 사하라 사막의 고운 모래를 봄에 몰고 들어옴
- 급작스러운 게릴라성 형태를 많이 띠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기온을 상승시킴
- 좀 더 시원한 동쪽 바람인 ‘레반테’는 ‘페니베티코 산맥’과 ‘아틀라스 산맥’을 거쳐 들어옴
- 동쪽 바람이 지중해성 기후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온난습윤함
출처 : 위키백과
□ 기온
○ 스페인의 기온과 강우량은 상이함
- 북쪽의 해안지방은 연중 서늘한 기후(연평균 기온 13.9℃)이고 중앙 고원지대는 계절별 기온의 차이가 뚜렷함
○ 마드리드의 경우 평균 기온은 겨울 5.9℃, 여름 30℃ 정도
○ 지중해와 접해 있는 남부 및 동부의 여름철은 때때로 40℃를 넘기도 하지만 대체로 온화한 편
출처 : 외교부
□ 강수량
○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가 국토 대부분에서 나타나는 스페인은 지중해 연안 국가와 마찬가지로 연간 강수량이 300~700mm에 달함
○ Csa의 분포가 대다수이며 메세타고원의 대부분은 500mm 정도의 강수량이 있음
○ 북부지역인 에브로 분지와 중앙 산맥 지대는 우기가 두 번 있음
- 보통은 4~6월, 10~11월이 이에 해당하며 봄 막바지가 가장 습함
○ 남부 산악 지대는 우기에도 비가 항상 내리는 것은 아니며 강수량이 불규칙적이어서 반대로 여름에는 구름이 없고 온난함
출처 : 외교부
□ 자연재해
○ 11월 이후 겨울철에는 갈리시아, 북부 및 안달루시아, 남부지역에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도심이 잠기거나 주요 도로가 차단되는 등 수해가 발생하고 있음
○ 세비야 등 스페인 남부지방은 7~8월에 50℃가 넘는 폭염으로 대낮에 관광을 하는 경우에 주의를 요하고 지역별로 산불이 발생하고 있음
○ 갈리시아 등 스페인 북부지방은 겨울철 우기로 비가 이 오고 한파로 인해 고지대를 중심으로 폭설이 내리기도 하며 겨울철 갑작스러운 기상 악화로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함
출처 : travelinfo
□ 지표수
○ 지표수 자원의 개요
수자원(재생가능한 수자원 포함) | Volume(㎢/yr) | Year |
지표수 | 109.8 | 2014 |
지하수 | 29.9 | 2014 |
총수자원량 | 139.7 |
|
자료: GWI 2017
○ 스페인의 지표수는 국가에서 음용수와 재 창조될 물의 주요자원임
○ 지표수의 대부분은 저수지에 저장됨
○ 스페인의 취수량(2015)
구분 | Volume(㎢/yr) |
농업 | 24.78 |
산업 | 6.59 |
지방자치 | 5.22 |
총량 | 36.59 |
자료 : GWI
출처 : GWI 2017, UMWELTBUNDESAMT
□ 지하수
○ 지하수 자원의 개요
수자원(재생가능한 수자원 포함) | Volume(㎢/yr) | Year |
지표수 | 109.8 | 2014 |
지하수 | 29.9 | 2014 |
총수자원량 | 139.7 |
|
자료: GWI 2017
- 지하수는 18%가 음용수로 공급
- 70%이상의 지하수가 개관으로 추출
- 스페인에서 지하수관리의 노력은 주로 수자원수질에 대해 집중하고 있음
출처 : GWI 2017
□ 지표수
○ 호수는 풍부하지 않고, 강은 대부분 비가 거의 없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결석이 있는 여름철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막혀있음
○ 고온과 일부 높은 부영양화와 함께 저수지에 물을 저장하면 남세균(Cyanobacteira)의 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전국적으로 1,000개 이상의 저수지가 있으며 식수 부족은 스페인의 일부 지역에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경우에만 산발적으로 발생함
○ 스페인은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사막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 이로 인해 스페인은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음
- 엘 파리(El Paris)의 플라네타 푸투로(Planeta Futuro) 보고서에 따르면, 1995년 대비 2015년 용수량을 조사한 결과 용수량이 20% 줄어듬
-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시 2021년에는 이 수치가 2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출처 : UMWELTBUNDESAMT
□ 수처리, 폐수
○ 폐수처리는 현재 스페인에게 새로운 인프라가 필요한 유일한 시장 부문임
○ 스페인의 폐수처리장
도시 | 공장이름 | 시설규모(㎥/d) | 과학기술 |
Barcelona | Besos | 525,000 | 사용안함 |
Madrid | Butarque | 432,000 | 사용안함 |
Oviedo | Villaperez | 421,200 723,000PE | 질소&인제거 |
Madrid | La China | 300,000 | 사용안함 |
Valladolid | Valladolid | 260,000 | 사용안함 |
Malaga | Guadalhorce | 210,000 | 사용안함 |
Valencia | PinedoⅡ | 200,000 | - |
Madrid | La Gavia | 172,800 | 소독 |
Santander | San Roman de La Llanilla | 160,000 | 사용안함 |
Oviedo | San Claudio | 110,800 | 사용안함 |
Alicante | Rincon de Leon | 50,000 | 한외여과 |
Gijon | Este de Gijon | 45,000 | 한외여과와 소독 |
Huelva | Marismas del Odiel | 28,400 | 사용안함 |
Tenerife | Buenos Aires | 25,000 | 사용안함 |
- 많은 폐수 처리는 농업 및 재창조 용도로 재사용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됨
출처 : GWI 2017
□ 지하수
○ 지하수 수질에 대한 2가지 우려
1) 질산염오염 : 지하수에서 과도한 양의 질소 생산은 농업생산오염의 원인이 됨
2) 지하수 자원의 과도한 착취 : 많은 대수층의 증가는 과도한 국가의 착취이며, 이것은 지중해 연안 남동쪽에 위치한 대수층의 해수 침입 증가의 원인이 됨
○ 물스트레스 지수
(출처 : GWI 2017)
출처 : GWI 2017
□ 음용수
○ 스페인 음용수의 수질관리는 세 가지 다른 수준을 수립
1) 회사관리
- 물 회사의 책임은 수질과 관련된 모든 화학적 및 물리적 분석을 포함함
- 최소 표본추출 빈도는 제공된 인구 집단 측면에서 유통망의 규모에 달려있음
2) 위생감시
- 정기검사, 샘플링 및 분석을 조직하는 위생당국이 책임을 지고 있음
- 샘플링 빈도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회사 분석을 보완하기 위한 것임
3) 탭제어
- 특정 오염원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간단한 분석을 조직하는 지방 자치제에 책임이 있음
- 오염원도 분석해야함
- 약 4백만 명의 대도시 최소 샘플링 빈도는 연간 약 200개 샘플
○ 위생 당국은 감독의 책임이 있으며, 식수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여 인구의 건강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 할 수는 있지만, 음용수 품질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수도 공급 업체 및 지자체에 있음
○ 위생 당국의 책임은 주기적으로 사람이 소비할 수 있는 물의 자료를 제출하도록 요청 된 물 회사와 지자체에 전달됨
○ 또한 상수도 회사와 지방 자치단체는 배급하는 물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공개해야하며 보고서도 공개해야함
출처 : UMWELTBUNDESAMT
□ 물시장현황
○ 산업구조
- 물 산업시설은 공기업에 의해 오랜 기간 지배되고 있음
- 지역권한은 54%, 시장점유 및 사유기업(베올리아 환경, Suez, Gruop Agbar, Canal de IsabelⅡ, Aqualia)은 33%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고, 반면에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13%를 차지함
- 2009년~2015년 동안 지역권한은 스페인의 총 물과 폐수를 80% 다룸
○ 사회기반시설
- 비록 수자원은 국가차원 하에 있지만, 지역적으로 큰 격차가 있음
- 물 부족이 완화되기 위해 스페인은 대량의 댐을 지었고, 사실 이건 세계에서 한 사람당 가장 많은 수의 댐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음
○ 스페인 정수시설 공장 현황
도시명 | 공장이름 | 시설규모(㎥/d) |
Colmenar Viejo | ColmenarViejo(Madrid) | 1,382,400 |
Carambolo | Sevilla | 864,000 |
Murcia | Sierra de Espada | 183,600 |
Malaga | Pilones | 172,800 |
Albacete | LosLlanos | 86,400 |
Valencia | Camp de Morvedre | 35,000 |
○ 스페인 담수화시설 현황
도시 | 공장이름 | 시설규모(㎥/d) | 과학기술 |
Torrevieja | Torrevieja | 240,000 | 역삼투 |
Sant Joan Despi | Sant Joan Despi | 206,064 | 역삼투 |
El Prat de Llobregat | El Prat de Llobregat | 200,000 | 역삼투 |
Barcelona | Abrera | 200,000 | 전기투석 반전 |
Aguilas | Aguilas-Guadalentin | 180,000 | 역삼투 |
Malaga | El Atabal | 165,000 | 역삼투 |
Cartagena | Valdelentisco | 140,000 | 역삼투 |
Madrid | Almoguera-Algodor | 124,000 | 역삼투 |
Carboneras | Carboneras | 120,000 | 역삼투 |
Almeria | Campo de Dalias | 97,000 | 역삼투 |
출처 : GWI 2017,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2014)
□ 수자원
○ 담수화
- 담수화 전략은 현재 국가수준이나 지역 차원에서 시행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용량이 완전히 사용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조만간 새로운 담수화를 조달할 계획이 없음
- 그러나 과거에 중앙정부는 유럽지역 발전자금과 같은 EU자금으로부터 큰 분배와 함께 새로운 담수화 시설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프로그램의 주요 규칙들을 발전시킴
- 현재 스페인은 거의 6백만㎥/d 의 담수화시설과 계약했고, 75% 이상이 그것들을 음용수 보호에 사용하고 있고, 그 중 15%는 농업개관에 사용됨
- 농업 관계자들은 설치된 시설의 높은 퍼센테이지의 사용을 예상하지만, 담수된 물의 비용을 지불할 의지가 전혀 없음
- 가장 최근 정부의 노력으로 8백만 유로의 승인을 받았고, 중앙정부는 Murcia 지역의 5천만㎥의 담수화시설을 얻기 위하여 개관을 가능하게 함
○ 물재사용
- 스페인은 EU에서 폐수 재사용을 위한 큰 시장이 있고, 미개발 잠재력이 가장 높음
- 폐수처리시설의 총10%는 현재 개관 재사용을 위해 3번째로 처리되고 있음
- 물 재사용은 오랫동안 여러 강 유역의 오랜 전통임 (강 유역 : Jucar, Segura, C.I Catalonia, Balearic Islands, Canary Islands)
- 비록 폐수 재사용이 더 이용될 수 있는 잠재력은 여전히 크지만,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는 국가차원의 별다른 전략은 없음
- 2010년, MAGRAMA(스페인 농업식품환경부)는 2015년까지 3억4천4백만 유로(3억7천7백만 달러)의 비용으로 2억4천9백만㎥/yr의 추가적인 물재사용 수용시설계획인 ‘National Water Reuse Plan(PNRA)’의 예비버전을 발행함
- 이 계획은 국가 및 지역수준의 인프라 예산이 2009년에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자금부족으로 인해 결코 실현되지 않았음
- 가까운 미래에 PNRA에 필적하는 수준의 자금으로 국가 수자원 재이용 계획이 승인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함
- 물 재사용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부족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장벽에 의해 물 재사용 응용프로그램이 보다 광범위하게 방해받고 있음
1) 스페인은 물소비의 80%를 차지하는 농업이 큰 가능성임에도 불구하고, 농업 생산자를 위한 폐수 재사용 시장의 개발은 전체적으로 성공적이지 않음
- 농업 사용자들은 전통적으로 우물을 양도하고 불법시추 시스템을 통해 자유로운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음
- 하지만 효과적인 물 가격 책정에 대해 오랫동안 불법적인 지하수의 추출에 맞서 옹호해 왔지만, 정부는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었음
2) 스페인의 수자원 재이용 법은 배설물 대장균과 총 용존 고형물에 허용되는 최대 농도가 매우 엄격하고, 막 기술을 기반으로 한 3차 처리 공정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산업용 폐수 재사용의 원동력이 아님
○ 저수지
- 스페인은 장기간 수자원관리를 위한 더 큰 용수가용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저수지 수용시설이 증가하고 있음
- 스페인은 EU국가 중 가장 대규모의 저수지 보유국임 (대략 1,200개)
- 저수지의 대다수는 지난 세기에 지어졌음 (대략 1950년~1990년 사이)
○ 수요관리
- 스페인은 1990~1995년 가뭄시기 이후 수요관리가 더 중요해질 시기인, 1990년대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었음
- 스페인 공익산업들 사이 중 가장 널리 퍼진 발의안은 ‘물 절약 캠페인’ 과 ‘미터범위 확대’ 이며, 그것들은 현재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스페인의 일인당 소비수는 지난 10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농업의 물 사용은 좀 더 효율적인 개관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더 효과적이게 증가하고 있음
- 이것은 부분적으로 남동쪽 스페인의 몇몇 지역(Murcia, Almeria, Alicante)에서 시연되고 있음(경제가 관개된 원예생산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지역)
○ 물 이동
- 스페인은 유럽 전역에서 최악의 가뭄으로 영향을 받는 국가 중 하나이며, 지역별 수자원 이용률이 높은 편임
- 대규모 물 이동은 종종 정치적 토론부분에 나오는데, 그것은 2004년 전력 전에 부분적으로 나온 경우지만, 물 이동과 담수화는 논쟁의 여지가 있고, 급진적파의 토론 중심으로 보수당에 의해 물 이동의 주된 사용이 옹호되었음
- 반면에 사회당은 담수화에 훨씬 더 중점을 둔 수자원전략을 옹호함
- 가장 큰 물 이동은 Tagus-Segura 급수 시스템으로, 동남부에 위치한 스페인의 집중적인 원예 산업에 물을 확보하고 수십 년 동안 운영되어 왔음
- Entrepenas와 Buendia의 저수지에서 Segura강 유역의 Talave저수지로 60억㎥/yr의 물이 운반될 수 있음 (Mucia, Alicante, Almeria의 지방으로 분배됨)
- 이 대규모 물 이동은 논쟁의 여지가 많아 여러 논쟁의 중심이었고, 어떤 경우에는 지역간의 “물 전쟁”에 가까움
- 추가적인 대규모 물 이동은 가까운 미래에는 계획이 없음
출처 : GWI 2017
□ 상수도현황
○ 상수도 현황 개요
지표 | 가치 |
상수도에 연결된 인구 (명) | 43,729,559 |
상수도에 연결된 인구 비율 (%) | 93.0 |
물과 연결된 수처리 갯수 | 18,252,887 |
물 공급량 (m3/yr) | 4,485,264,000 |
수도관의 길이 (km) | 300,000 |
측정기 설치 비율 (%) | - |
비영리성 물 공급 (%) | 24.6 |
수처리 시설의 수 | - |
시설의 예상 처리량 (m3/d) | - |
시설의 가동 처리량 (m3/d) | - |
출처 : GWI 2017
□ 상수도현황
○ 하수도현황
지표 | 가치 |
하수도에 연결된 인구 (명) | 37,616,825 |
하수도에 연결된 인구 비율 (%) | 80.0 |
하수도에 연결된 수처리 갯수 | 21,562,594 |
하수 발생량 (m3/yr) | 4,519,397,972 |
수집되는 하수 비율 (%) | 71.0 |
2차 처리를 마친 하수 비율 (%) | 87.0 |
3차 처리를 마친 하수 비율 (%) | 10.0 |
하수도의 길이 (km) | 95,000 |
하수처리시설 수 | 2,950 |
하수처리시설의 예상 처리량 (m3/d) | 37,374,242 |
하수처리시설의 가동 처리량 (m3/d) | 24,976,289 |
출처 : GWI 2017
□ 물관련법령현황
○ 물 분야 규제
문서 | 설명 | 정책분야 | 산업목표 |
-RD817/2015 -감독과 지표수와 환경수질 규제 | 우선사항 물질에 관한 WFD의 규약변형 전위 | -수질환경 | - |
-Ley 5/2013 -오염방지와 통제 통합규제 | 물,땅,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포함해 잠재되어있는 높은 오염물질들에 대한 산업, 농업활동의 IPPC 지령을 전위 | -수질환경 | -공익사업 -상류오일과가스 -정제및석유화학 -발전 -채광 -음식&음료산업 -펄프및종이 -직물 |
-RD60/2011 -수질규제(RD817로 대체(2015)) | WFD의 전위 | -수질환경 | - |
-RD1341/2007 -목욕물 수질규제 | 2006/7/EC 지령 전위 | -수질환경 | - |
-RD1620/2007 -폐수 재사용 규제 | 각기 다른 사용에 따라 물 재사용 수질의 규제 | -물재사용 | -음식&음료산업 |
-RD140/2003 -사람이 소비하는 수질 규제 | 인간건강에 유해물질의 한계를 설정(98/83/EC지령전위) | -음용수질 -물재사용 | -공익산업 -음식&음료산업 |
-RD509/1996 -도시폐수처리규제시행 규제 | 도시폐수치료지령전위(지령91/271/EEC) | -폐수배출 -슬러지처리 | -공익산업 |
-RD-L11/1995 -도시폐수처리 규제 | 도시폐수치료지령전위(지령91/271/EEC) | -폐수배출 | -공익산업 |
-RD1310/1990 -농업 하수 슬러지 사용 | 농업을 목적으로 하는 쓰레기 슬러지 사용의 규제 | -슬러지처리 | -음식&음료산업 |
출처 : GWI 2017
□ 물관련정책현황
○ 규제
- 몇몇 내각은 정책 및 규정설정을 포함하여 물 공급의 권한을 공유
- 스페인은 역사적으로 물 공급을 유지하는데 집중해 왔으나 앞으로 물 방침은 온라인 계획과 환경보호에 집중 될 것
- EU국가로서, 스페인은 도시 폐수 법령과 같은 EU 물 공급 규제를 위한 고착이 필요함
- 이것은 관세규정의 설정 및 승인의 증가와 같은 문제를 다루고 있음 ; 서비스품질 및 환경보호를 위한 기준마련 ; 벤치마킹 성능
○ 정부정책
- 스페인의 정부는 최근 재구성되었고, 지방당국에 상당한 수준의 통제권을 부여
- 그들은 법률과 규정을 작성하고 물 분야를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음
- 또한 물 분지가 관할권 내에 있을 경우, 법률의 통제를 받음
- 환경부 내각은 오래전부터 스페인의 수자원부분에 대해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있고, 이것은 몇몇 주요한 물 공급 인프라 시설에, 물 기준 통제 협조와 전략계획에 대한 책임이 있음
- 그러나 이 책임은 새로운 구조 하에 지방당국에게 넘겨질 가능성이 있음
○ 재정정책
- 스페인의 평균 물 값은 £1.5(㎥)
- 사회기반 시설 수리작업을 위한 공공자금부분은 공급이 부족함
- 정부의 자금 지원은 어렵지만, 토양 복원 및 배수 인프라의 특정 요소는 정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음
○ 물 부족에 따른 정부정책
- 스페인은 물 부족 현상에 대응해 물 사용제한 법안 수립, 개인 수영장 운영 금지법을 제정
- 물 절약 운동 실시
출처 : GWI 2017,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2014)
□ 상하수도요금체계
○ 스페인 주요도시 상하수도 이용내역
도시 | 고정요금 ($/m³) | 상수도 변동요금 ($/m³) | 하수도 변동요금 ($/m³) | 세금 ($/m³) | 총 요금 ($/m³) |
Barcelona | 0.20 | 2.08 | 0.19 | 0.25 | 2.71 |
Las Palmas | 0.04 | 2.05 | 0.31 | 0.24 | 2.64 |
Seville | 0.52 | 0.88 | 0.69 | 0.21 | 2.31 |
Madrid | 0.58 | 0.56 | 0.48 | 0.16 | 1.78 |
Bilbao | 0.34 | 0.63 | 0.63 | 0.16 | 1.76 |
Malaga | 0.23 | 0.59 | 0.49 | 0.13 | 1.43 |
(자료: GWI 2017)
출처 : GWI 2017
□ 상하수도예산현황
○ 연간 상수도 자본지출
상수도 자본지출 ($m) | 2013 | 2014 | 2015 | 2016 |
물 네트워크 | 177.2 | 179.2 | 157.5 | 166.0 |
정수처리장 | 221.7 | 169.1 | 80.9 | 72.0 |
담수화 | 179.7 | 175.1 | 139.4 | 132.4 |
해수와 소금끼 있는 물의 담수화 | 28.8 | 25.3 | 29.9 | 38.1 |
607.4 | 548.7 | 407.7 | 408.5 | |
총 지출 비용 |
(자료: GWI 2017)
○ 연간 하수도 자본지출
하수도 자본지출 ($m) | 2013 | 2014 | 2015 | 2016 |
폐수 네트워크 | 356.9 | 354.3 | 296.9 | 298.3 |
폐수처리장 | 145.5 | 206.7 | 261.0 | 334.6 |
슬러지 처리 | 35.3 | 50.0 | 71.8 | 98.0 |
총 지출 비용 | 537.6 | 611.1 | 629.7 | 731.0 |
(자료: GWI 2017)
○ 상하수도 운영비용
운영비 ($m) | 2013 | 2014 | 2015 | 2016 |
상수도 | 3,985.4 | 4,106.8 | 4,355.3 | 4,733.0 |
하수도 | 2,593.6 | 2,640.2 | 2,766.0 | 2,969.2 |
총 운영비용 | 7,824.5 | 8,014.3 | 8,418.9 | 9,034.6 |
(자료: GWI 2017)
출처 : GWI 2017
□ 물관리로드맵
○ 스페인의 도전
1) 기후변화 과제
- 기후변화는 스페인의 장기간 지속가능한 물 서비스에 가장 큰 위협요소
- 스페인의 모든 지역에 가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연간 강수량이 600mm를 초과하지 않는 영토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임
- 이처럼 스페인의 기후변화의 문제는 심각함
- 더 자주 발생하는 가뭄, 더 강렬해진 강우와 홍수는 물 서비스의 모든 양상을 위한 투자계획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됨
2) 기타 과제
- 공급되는 물의 기준을 향상시킬 필요성
- 프로세스에 기술을 통합하여 수자원 네트워크를 개혁하고 개선하는 것
○ 사회기반시설의 필요
- 스페인의 새로운 물과 폐수에 대한 사회기반시설의 필요
- 주민이 10,000명 이하인 작은 지방에 현재 폐수처리장 부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사회기반시설의 설립에 대한 시장기회는 제한되어있음
- 이 시장은 거의 독점적으로 기존 공장의 현대화 및 업그레이드에 중점을 둘 예정
○ 수자원 네트워크
- 물과 폐수의 네트워크 재생에 대한 요구가 이미 우선 순위로 확인되었고, 향후 몇 년 내에 더욱 긴급한 필요가 될 전망
○ 자금
- 물과 폐수의 수입은 일반적으로 운영비용만 커버하고, 스페인은 적자를 만들기 위해 공공기금에 의존하고 있음
- 사실 스페인의 경제가 장기간의 위기 후에 성장하기 시작하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자금의 부족은 계속해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2014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GWI 2017
□ 물관련조직현황
○ 물 관련 조직
기관명 | 수준 | 설명 | 역할 |
Directorate-General for Water(DGA) | 연방/국가 | DGA는 농업식품환경부 (국가차원의 수자원 분배와 전략 계획에 대한 책임이 있는)안에있는 대리점. DGA는 10개의 물분지 지역을 감독 | 방침계획, 환경규제, 재정, 수자원개발, 폐수수집, 폐수처리 |
National Water Council(CNA) | 연방/국가 | 자문위원회는 환경부 대표 의장. 이곳은 국가물계획과 물분지계획에 조언을 해줌. | 연구와정보 |
Autonomous Regional Governments(CCAA) | 지역 | 음용수질,어업,물사용과농업개관에 권한부여 | 방침계획, 음용수질, 환경규제, 수자원개발 |
River Basin Management Authorities | 지역 | 지역내 강분지 수자원의 배당과 관리에 대한 책임 | 방침계획, 환경규제, 물분지관리, 물배분 |
Municipal Governments | 지방 자치단체 | 물과 폐수 서비스에 대한 규정의 책임 | 방침계획, 음용수질, 환경규제, 경제규정, 물분배, 폐수수집, 폐수처리, 배수 |
Direccion General del Agua-MAGRAMA | - | 물-분야에대한 전체적인 책임권한 (중앙정부에서 오는 자금포함) | 수자원개발, 정수처리, 폐수처리, 담수화 |
River Basin Management Authorities | - | -강분지지역의 수자원관리와 위치에 대한 책임 (전체적으로CCAA내부에서) -예산보유 | 수자원개발, 정수처리, 폐수처리 |
○ 물 분야 자금 기구
기관명 | 설명 | 재정유형 | 자금제공분야 |
Direccion General del Agua-MAGRAMA | 물분야에서 전체적인 책임을 지고있는 중앙권한(중앙정부로부터 오는 자금포함) | 교부금 | 수자원개발, 정수처리, 폐수처리, 담수화 |
River Basin Management Authorities | CCAA지역에 위치한 전체적인 강분지지역의 수자원 관리와 배당에 대한 책임(소유자금) | 교부금 | 수자원개발, 정수처리, 폐수처리 |
출처 : GWI 2017
□ 사업
○ 스페인은 유럽의 수도시설사업의 4.7%를 차지함
○ 스페인 물산업의 가치는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성장한 반면에, 물 소비량은 감소함
○ 공익산업
1) 물 서비스 확장
- 급수네트워크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인구의 95% 이상이 배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
- 오래된 배수 및 폐수처리 네트워크에 대한 경향이 있음
- 2012년, 가장 최근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배수 네트워크의 35%가 15년 이하이고, 27%는 15~30년 사이, 38%는 30년도 더 됐다는 것을 보여줌
- 이것은 특히 38%를 차지한 30년 이상인 네트워크에서 배수 네트워크의 갱신 율이 훨씬 낮은 비율로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줌
2) 자산관리
- 이 분야는 국가차원에서 전략이나 발의안이 없음
- 좀 더 효과적인 자산관리와, 운영비 절감을 위한 노력은 항상 사유운영 중 문화관리 부분에 있고, 이것은 스페인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와줌
- 성능 및 효율 기준이 사업 시행자 협의회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시정부가 모든 운영상의 위험을 사업 시행자에게 이전하기 때문에 사업 시행자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이익
- 공익사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주요한 지역 중 하나는 에너지소비, 특히 에너지 가격이 높은 남동부 스페인의 담수화 인프라와 같은 에너지 비용이 전체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임
3) 무수수량(NRW;non-revenue water)
- NRW 수준은 1990년~2010년 사이에 누수탐지캠페인과 미지급청구서 문제 해결을 시행한 리뉴얼된 네트워크 투자 때문에 감소추세를 보임
- 오래된 스페인의 물 네트워크는 지난 6년간 지속적인 투자적자 때문에 수자원 감소량이 증가됨을 경험함
- 스페인 물 공급과 위생시설서비스의 물 협회인 ‘AEAS’와 스페인 서비스제공 협회인 ‘AGA’는 네트워크의 악화를 해결하기 위한 광범위한 발의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에 대해 반복적으로 경고함
4) 스마트워터
- 스마트워터 기술의 사용은 스페인에서 매우 드문 현상임
- 아날로그 계량기를 전자 계량기로 대체하는 데 많은 초점이 있었지만, 필요한 자본 투자가 많아 스마트 계량기가 사용되지 않음
- 스마트 계량기와 스마트 누수관리시스템의 지출은 스페인의 큰 도시( ex) 마드리드,바르셀로나,발렌시아,빌바오,세빌리아 등 ) 수용시설 저장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
- 일반적으로 스마트워터시스템의 사용은 최종 사용자 시점에서 스마트 계량기 설치보다는 분배 시스템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음
5) 폐수네트워크
- 배수 네트워크와 같이, 폐수 네트워크 또한 오래됨
- 10만명 이상이 거주하는 지방에서는 폐수 분배 네트워크의 32%가 15년 이하인 반면, 4%는 15~30년, 34%는 30년 이상된 것들임
- 지금까지 리뉴얼된 네트워크는 아주 드물게 시행되고 있음
6) 폐수처리
- 스페인은 주로 소규모 지방에서 폐수 처리 부족에 대한 몇 가지 침해 절차 및 최종 판결을 받은 후, EU의 도시폐수처리 법령(91/271/CEE)을 새로운 폐수처리의 사회기반시설이 준수하기 위한 투자를 필요로 함
- 새로운 WWTPs의 750개 이상은 폐수네트워크를 위해 남아있는 인구 15%의 접촉의 필요를 요함
- 추가적인 폐수처리 시설의 대다수는 지방의 10,000개의 서식지보다 덜 필요로 될것임
- AEAS에 따르면, 새로운 WWTPs의 설립과 기존의 WWTPs의 복원을 위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총 투자는 2,500만 유로(2십억7천4백만 달러)가 될 것
- 이러한 WWTP중 200개 미만이 침해 절차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스페인 정부가 우선순위를 정해야함
- 2015년에 450만유로(490만달러)가 새로운 WWTPs의 설립과 WWTPs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수리하는데에 투자되었음
- 이것의 절반 이상이 중앙정부의 성장 및 경쟁과 효율성의 계획(CRECE)를 통해 재정되었고, 정부가 2015년에 발표한 투자의 80%를 차지함
○ 공익산업 시장구조
분류 | 개체수 | 개체수 (인구 10만명 이상) | 직원수 | 물공급/처리 양(㎥/yr) | 소유권유형 |
대량물사업 | 12 | - | - | 217,000,000 | 카탈로니아 내에 있는 2개의 수처리공장의 구성,개량,관리,운영의 일반적인 공공권한 |
물공급사업 | 19 | 9 | 10,700,929 | - | 공사와 사유기업의 양도계약 하에 혼합된 시정부 소유에 이르기까지의 권한 |
폐수사업 | 4 | 3 | 4,752,530 | 261,534,286 | |
물과 폐수 연결사업 | 100 | 64 | W:31,493,187 WW:29,621,577 | - |
○ 바르셀로나의 ‘스마트워터 그리드’사업
1) 배경
- 스톡홀름 물 관리 기관의 ‘스테파니 브랜커’는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함
- 이를 위해서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스마트시티’ 과제 추진현황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2) 정의
- 스마트워터그리드는 스마트시티를 구성하는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원천기술을 기존 수자원 관리 인프라에 적용한 것임
3) 운용방식
- 용수현황을 측정하는 스마트미터,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활용해 물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 수집한 정보는 중앙센터의 클라우드 센터로 모임
- 이후 빅데이터로 분석한 후 관련자에게 모바일, 테블릿 PC로 분석결과를 화면으로 제공하고 시스템 스스로 자동관리를 함
4) 결과
- 이는 물 자원관리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비용 및 물 낭비를 절약할 수 있음
- 연구에 따르면 바르셀로나는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전체 공원에 68%에 적용했고, 용수 보존율이 25% 올랐다고 발표함
- 이로 인해 연간 약 6억원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발생함
○ 스페인의 최대 수처리 기업 ‘아그바르’
1) 수자원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
- 아그바르는 수자원 관련 기자재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상당한 성과를 거둠
-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꼽히는 제품은 물 관리 통합 시스템인 ‘AquaCIS’임
- 이 시스템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수처리 기업이 직접 만든 고객관리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음
- 하나의 시스템 안에 물 공급과 관련된 모든 관리 체계가 통합되어 있음
2) 상하수도망 관리 시스템인 ‘GISAgua’
- 이 시스템은 포털 웹 형식으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수도가 공급되는 도심 지역의 지도를 통해 상하수도 네트워크 현황을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음
- 수도 공급이 중단되거나 유출되는 지점을 빠르게 포착할 수 있음
출처 : GWI 2017, The Science Times, 글로벌물산업정보센터, KOTRA
□ 해외진출
○ ‘아그바르(Agbar)’의 해외진출
- 스페인 아그바르는 128개 지사와 1만500명의 종업원을 거느린 스페인의 대표적인 수처리 기업임
- 현재 물 확보에서부터 상하수도 관리, 수처리 등 수자원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 현재 아그바르는 스페인 식수공급의 50%와 수처리의 30%를 담당하는 최대 기업으로 성장
- 아그바르가 세계 여러 국가에 진출할 수 있었던 원동력 중 하나는 물 관련 각종 연구 프로젝트를 통한 고도의 기술력 확보에 있음
- 아그바르는 여러 수처리 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아그바르’포함 유럽계 물 메이저 기업의 해외진출 전략은 수출 대상국의 물 관련 기업과의 제휴 및 M&A를 통한 사업전개, 그리고 물산업 밸류체인 전체의 통합적 운영 및 솔루션 제공을 특징으로 함
- 소재·부품조달, 건설, 운영 및 보수 뿐만 아니라 수출 대상국의 물 인프라 구축 방안에 대한 컨설턴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물 사업권에 대한 주계약자(Prime Contractor)의 지위를 확보하는 방식
출처 : 글로벌물산업정보센터, KOTRA, kiet
□ 해외투자
○ ‘아그바르’사는 수처리 시설만 해도 현재 스페인을 포함해 전 세계 755개(음용수처리 설비 300개, 폐수처리 설비 475개)를 보유하고 있음
- 이는 그간 자체적인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정부, 연구기관, 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높여 왔음
-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을 적극 인수함
○ 아그바르의 해외투자
- 아그바르는 스페인 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영국, 알제리, 멕시코 등 세계에 진출해 총 2천 600만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식수를 공급하고 있음
- 특히 지난 2007년에는 중국시장에도 진출해 ‘장쑤성’, ‘타이저우시’의 식수 공급과 하수도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이와 같은 세계적 명성에 힘입어 지난 2009년에는 컨설팅 회사인 PWC(Pricewaterhouse Coopers)와 SAM(Sustainable Asset Management)이 선정한 전 세계 친환경 기업 중, 수자원 관련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뽑히며 세계 최고의 물 기업임을 인정받음
출처 : 글로벌물산업정보센터, KOTRA
□ 한국과의 협력 및 관계
○ 한국과 스페인은 1950년 3월17일에 국교를 수립함
○ 한-스페인 교역동향
- 우리나라의 대스페인 교역은 2008년 경제위기 이후 스페인 경기침체로 수출이 감소해 활성화되지 못함
- 그러나 2013년 3분기 스페인 경제는 9분기 동안 지속됐던 마이너스성장의 고리를 끊고 2015년 1분기까지 연속적으로 플러스 성장을 이루며 경기를 회복해 나가고 있어 우리 기업의 수출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음
- 2015년에는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로 인해 무역수지 적자가 전년보다 감소함
○ 한-스페인, 과학기술 협력 강화 MOU체결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10월20일 스페인 경제경쟁력부와 과학기술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
- 현재 스페인은 신재생에너지 등 분야의 우수한 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연구개발 및 혁신 분야에 지속적인 지원과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국가임
- 그간 한국과 스페인이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개별적 협력 위주로 진행돼 왔음
- 이 MOU 체결을 통해 정부 차원의 과학기술 협력이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될 전망
- 향후 정기적인 한·스페인 과학기술공동위를 통해 공동연구, 인력교류 및 기술사업화 등 협력 사업을 발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을 강화할 계획임
○ 제10차 한-스페인 포럼 개최
- 2015년 10월 27~28일 이틀간 스페인 말라가 대학교에서 공공외교 전문 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스페인 말라가대학-카사아시아(스페인-아시아 교류재단)가 공동으로 제10차 한-스페인 포럼을 개최함
- 양국을 잇는 대화채널인 한-스페인 포럼은 양국 정부, 의회, 학계, 재계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해 정치, 경제, 외교, 학술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논의함
- 이 포럼의 의제로는 난민 문제, 테러 대응 등 글로벌 현안과 각국 내 한국학/스페인학 육성, 제3국 공동진출 등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함
출처 : KOTRA
● 참고자료 및 출처
- 외교부 홈페이지 : http://www.mofa.go.kr/main/index.jsp
- 코트라 : www.kotra.or.kr(국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