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Water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물과 생활
물백과사전
물과 여행
학습
지식동영상
생활속의 물
샘터·샘물
현황 & 통계
실시간 현황
쉬운 물통계
국내 물통계
GIS 정보
전문정보
이슈리포트
기술동향
물재해
일반현황
가뭄 예·경보
홍수재해
조류/녹조
커뮤니티
공지사항
갤러리
Q&A
음성입력
search
물 100년사
Menu
근대 이전
제1기 일제강점기
제2기 건국 초기
제3기 경제개발기
제4기 경제성장기
제5기 선진국 진입기
수자원 관련영상
수자원 비하인드스토리
낙동강 하굿둑
낙동강하굿둑은 원거리에 있는 용수공급원 문제 및 염수 침입 문제 등을 해소함으로써 부산직할시와 임해 공업벨트지역에 대한 생·공용수의 지속적 공급과 김해곡창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보장하는 등 사회경제의 안정 성장을 위한 기본여건 조성을 목적으로 1983~1989년 건설되었다. 이 하굿둑은 을숙도지역에 위치하며 안동다목적댐 하류 약 355㎞ 지점에 있다.
낙동강 하굿둑 준설공사 광경(Cyclone 준설)
낙동강하굿둑 접근수로의 방대한 준설토는 매우 세립질이어서 대부분 해상사토장으로 운반 투기할 계획이었으나, 미세입자의 함유율이 높은 준설토를 Cyclone을 이용해 시방된 입도범위의 양질의 매립재료로 선별하고 이를 매립토로 유용하였다.
낙동강 하굿둑 수리모형실험
낙동강하굿둑 수문부 물받이(Apron)의 규모 및 형식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결정하였으며,하굿둑 완공 후 현재까지 전혀 파손 없이 제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낙동강하굿둑 시공
낙동강하굿둑 주요 공종은 가물막이, 준설 및 매립, 수문 구조물 및 Box girder 교량, 갑문 및 우안 배수문, 기타 부대시설물 등이다. 1983년 11월 수문 구조물공사를 위한 가물막이 제방 축조공사에 착수해 1987년 11월 주요 시설물과 하단-명지간 도로 등을 준공·개통하였다. 기타 매립지 내 도시기반시설과 부대시설물 공사는 1989년 6월까지 시행하였다.
낙동강하굿둑 철새 도래지
낙동강하구 일원은 동북아시아권역의 국제보호조류를 비롯해 방대한 후조군(候鳥群)이 집중 도래(渡來)해 월동 서식하는 세계적인 야생조류보호지역(천연기념물 제179호)이다.
※ 출처 : K-water
더보기
1
/ 10
MyWater - 홈 > 물 100년사 > 제4기 경제성장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