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yak으로 표기하며, 이를 즐기는 행위를 카약킹(Kayaking)이라고 한다.
북극해 연안의 그 린랜드와 알래스카, 알루샨열도지역에 거주하던 에스키모들이 사용하던 보트를 개량한 것인 데, 양쪽 끝에 날이 달린 양날 노(Double-blade Paddle)를 사용한다.
(※ 카누와 카약의 차이점 카약과 카누의 차이는 특별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카약은 양날 노(패들 양쪽에 노가 있음)를 사용하고 카누는 외날 노가 달려있는 패들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국내에는 물놀이 하면 위험한 운동으로 바라보는 시각 때문에 카약 인구의 저변확대에 어려움이 있으나 유럽 및 선진국에서는 학교 교과과정으로 채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 체육으로 자리매김하여 자전거 수보다 많은 카약을 개인들이 소유하고 있다.)
카약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두가지인데, 이뉴잇 에스키모(알라스카 거주)가 카약을 '크아자크'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알류트 에스키모(알라스카와 러시아 극동지역 거주)가 '르크약스'라고 불른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에스키모는 육지의 호수와 강, 북극해, 베링해와 북태평양의 근해에서 사냥을 하는데 카약을 사용했다. 에스키모의 카약은 프레임으로는 나무 또는 고래뼈를 이용하였고, 스킨으로는 물개나 다른 동물의 가죽을 실로 꿰메서 만들어졌다. 서쪽 이뉴익족은 프레임으로 나무를 사용하였고, 동쪽 이뉴익족은 고래뼈를 이용했는데 이는 동쪽지역에는 카약을 만드는데 필요한 나무 품종이 없는 환경 때문이다. 카약은 약 4,000여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카약은 독일 뭰헨에 있는 인종학 주립박물관의 북미관에 전시되어 있다.
공기를 불어 넣어 부풀려 카약형태를 이루는 카약입니다.
저렴한 튜브형 모델일 경우 직진성이 부족하여 속도가 느리며 공기를 투입했다 빼야하는 번거우움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말그대로 고체로 되어 있는 카약입니다. 공기를 넎지 안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카약입니다. 재질의 종류에 따라 가격의 차이는 크며 직진석이 좋고, 속력이 빠르며 일반적으로 4~50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집니다. 단점으로는 길이가 길가보니 보관의 어려움이 있으며 차량의 루프랙이용 도 불편함이 따릅니다.
카약의 갑판위에 올라 타는 방식의 카약입니다.
싯인타입은 카약안에 하체가 들어가는 방식의 카약입니다.
급류타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카약입니다.
파도타기용으로 제작된 카약입니다.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카약입니다.
선수용 카약으로 카약 중 가장 빠른 카약이며 길이가 가장길고 폭이 가장 좁아 일반인이 타기에는 뒤집히는 사고로 위험하여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하며 소재 또한 캐블라 등 고가의 카약입니다.
지역 | 협회/업체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
경남 | 남해군 | 남해카약 | 010) 6595-0619 | http://www.kayak.kr/ |
미조해양레저체험마을 | 055) 867-8130 | http://www.mijotown.anyfree.co.kr/ | ||
통영시 | 클럽요티 통영점 | 055) 649-7071 | http://www.clubyachtie.anyfree.co.kr/ | |
제주 | 제주시 | 스카이워커 카약체험 | 070) 7539-2641 | |
경기 | 김포시 | 아라마리나 | 031) 999-7897 | http://waterway.or.kr/ |
강원 | 홍천군 | 홍천강 카약아카데미 | 033) 434-3400 |
※ 위 정보는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협회(업체)에 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대한카약카누연합회 (http://www.kayakcanoe.anyfree.co.kr), 대한카약협회(http://koreakayak.or.kr), 체육학 사전(2012.5, 스포츠북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