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누(canoe)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작고 좁은 보트이며, 조그마한 기계/가스식 전동기나 돛단배의 힘에 의지하는 종류도 있다. 영국식 영어에서는 캐나디언 카누(Canadian canoe)라고 부른다.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종류의 카누는 일반적으로 두 사람이 노를 이용하여 앞으로 나아간다. 노를 잡는 사람은 추진 방향과 마주하며, 선체 안의 지지하는 부분에 앉거나 선체 위에 직접 무릎을 꿇는다.
그 유래는 원시인이 강이나 바다에서 교통수단 또는 수렵을 위한 도구로서 조그만 배를 고안하여 사용한데서 찾을 수 있으며 역사와 발상지는 인류와 기원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사용한 배는 초창기에는 통나무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점차 안정감과 활동공간이 넓은 뗏목으로 이어졌으며, 그후 점차 통나무의 가운데를 파내어 근래 카누의 형태를 갖춘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 선조들도 이와 유사한 카누를 사용하였다는 것은 국립 경주박물관에 보관중인 통나무로 만든 카누에서 알 수 있다.
카누는 사용자의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모습으로 발전하였는데 북미 인디언들은 자작나무로 배를 만들어 사용하였고, 그린랜드 일원의 에스키모인들은 동물의 뼈에 바다표범의 가죽을 씌워 만든 조그만 배를 수렵이나 수송수단으로 사용하면서부터 카누와 카약이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잔잔한 물에서 실시하는 경기로써 각자 코스에서 속도를 겨룬다. 1인승, 2인승, 4인승 경기가 있다.
유속 2M/sec 이상의 급류 또는 역류에서 바위, 제방등 자연 또는 인공 장애물이 있는 250M ~ 400이내의 코스에 18-25개의 기문을 만들어 통과하는 경기로서, 채점은 통과시간과 기술에 벌점을 부과, 이를 합산하여 등위를 가린다. (올림픽 금메달 4개)
3km 이상의 급류코스에서 실시하며 출발부터 목표지점까지 소요시간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이 경기는 다른 출전선수와의 경쟁이라기보다는 모험과 급류장애물과의 경기라고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선수가 위기에 처해 있을 때는 즉시 도와줄 수 있는 인간미가 요구되는 경기이다.
카누마라톤경기는 남자의 경우 최소한 20km, 주니어 및 여자의 경우 15km 이상의 거리에서 실시하며,
지정된 거리를 통과한 시간으로 순위를 가리는 경기이다.
카누폴로는 기본원리가 수구와 비슷하나 카약을 타고 경기를 실시한다는 차이가 있다.
지역 | 협회/업체 | 전화번호 | 홈페이지 | |
---|---|---|---|---|
인천 | 서구 | 청라 커넬웨이 | 032) 560-5933 | http://cafe.daum.net/canoeing |
대전 | 서구 | 갑천수상스포츠체험교실 | 042) 472-3047 | http://www.watersports.or.kr/ |
강원 | 화천군 | 에어링화천 | 033) 441-7571 | |
홍천군 | 캐나디언 카누클럽 | 010) 3969-9000 | http://ohcanoe.com/ | |
인제군 | 송강카누학교 | 033) 461-1659 | http://www.paddler.co.kr/ | |
충남 | 부여군 | 카누체험교실 | 041) 830-2252 | http://tour.buyeo.go.kr/ |
경남 | 합천군 | 2015 황강카누체험교실 | - | http://cafe.naver.com/hwangkangcanoe |
※ 위 정보는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협회(업체)에 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대한카누연맹 (www.canoe.or.kr), 전라남도 카누연맹(www.jncanoe.or.kr), 체육학 사전(2012.5, 스포츠북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