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발자국(Water footprint) 및 가상수(Virtual water)는 국가별 실제의 물소비량을 가늠하고 장래 물부족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최근 도입된 지표로, 물 발자국은 그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추적하여 계산한 값이다.
2004년에 발표된 UNESCO-IHE 연구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평가대상 100개 국가 중 15번째로 물 수입률(62%)이 높은 나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부가가치 상품의 수출이 많은 반면, 농산물·원유 등 저부가가치 상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므로, 식량의 무기화 및 보호무역등에 매우 취약함을 의미하며, 만일의 상황에서의 국내 자급을 위해서는 현 수준 사용량의 1.4배의 물이 더 필요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기상, 품종, 영농방식, 수자원 여건 등에 따라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나 출처에서 제시된 평균을 재산정하여 제시한 것임
(단위 : 억m3/년)
지표명 | 일반적 물 사용량 (A) |
Internal water footprint(B) |
External water footprint(C) |
water footprint (B+C=D) |
물 자급률 ( B/D,%) |
물 수입률 ( C/D,%) |
국내 자급기준 물 증가량 (D-A) |
---|---|---|---|---|---|---|---|
쿠웨이트 | 3 | 3 | 19 | 22 | 13 | 87 | 19 |
일본 | 544 | 519 | 942 | 1,461 | 36 | 64 | 917 |
한국 | 231 | 210 | 342 | 552 | 38 | 62 | 321 |
프랑스 | 1,165 | 691 | 411 | 1,102 | 63 | 37 | -63 |
미국 | 7,495 | 5,658 | 1,302 | 6,960 | 81 | 19 | -535 |
중국 | 8,932 | 8,259 | 574 | 8,834 | 93 | 7 | -98 |
인도 | 10,127 | 9,714 | 160 | 9,874 | 98 | 2 | -2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