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2020년 조류(녹조)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
녹조현상과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 정부의 녹조 예방과 대응정책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환경부
구분:기타등록일: 2022-06-27
-
수질항목 백과사전(3rd Edition)
K-water가 알려주는 수질항목 백과사전(2019) 납과 같은 유해영향무기물질 등 61개에 이르는 '먹는 물' 수질기준 항목을 비롯해 클로로에탄 등 31개 환경부의 감시항목,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등 한국수자원공사의 334개 자체 수질 검사 항목 등 총 426개의 수질 항목에 대한 물리화학정 특성, 배출원, 인체 위해성, 위험 기준, 처리 방법 등의 상세한 정보를 다룬다.
구분:기타등록일: 2019-03-25
-
수돗물수질항목자료집(2nd Edition)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자료집 (2nd Edition)수돗물 수질항목 자료집은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60항목), 먹는물 수질감시(25항목)외에 미네랄, 농약류, 의약물질,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의 자체감시항목(276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water가 알려주는 건강한 수돗물 수질항목 자료집」 2nd Edition은 물질특성, 배출원, 관리현황, 인체 위해성 등을 누구나 알기 쉽게 정리하여 그동안 정보가 많지 않아 접근하기 어려웠던 내용들을 쉽게 접하도록 하였습니다. 조회수 : 718등록일 : 2017-09-08
구분:기타등록일: 2019-02-19
-
녹조발생시 국민행동요령(환경부)
환경부에서 발표한 자료로녹조현상의 원인, 녹조현상시 행동요령, 녹조정보 확인방법, 녹조제거 방법 등 녹조 관련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분:기타등록일: 2017-08-29
-
조류(녹조)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2016년) (환경부)
녹조현상과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 정부의 녹조 예방과 대응정책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환경부
구분:기타등록일: 2017-07-21
-
조류경보제 운영매뉴얼(2017) (환경부)
환경부에서 매년 수립하고 있는 조류경보제 운영계획에 따라 작성 조류발생시 필요한 각 기관별 대응절차 등을 규정하여 취정수장 및 수질분석기관 등 관련기관에서 활용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구분:기타등록일: 2017-07-21
-
2017년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환경부)
환경부의 2017년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입니다. 물환경측정망에는 수질측정망, 총량측정망, 자동측정망, 퇴적물측정망, 방사성물질측정망, 생물측정망 등으로 구성됩니다. 출처 : 환경부
구분:기타등록일: 2017-07-21
-
담수어류의 폐사 사례와 원인 분석 (국립환경과학원, 2014)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어류폐사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는데지침이 될 "담수어류의 폐사, 사례와 원인 분석"을 발간했습니다.기존 어류폐사 사고 발생 시 언로에 보도되었던 사례를 중심으로어류 전문가들이 보도 내용을 정밀 분석했고,이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위협 요인을 도출하였습니다.출처 : 국립환경과학원
구분:기타등록일: 2017-04-05
-
[소책자] 녹조현상은 무엇인가? (환경부, 2016)
녹조 현상과 원인 및 대응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자료입니다.이 발행물은 환경부에서 국민들에게 환경정책을 알리고 정책의 발전을 함께 고민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발행한 홍보물입니다.출처 : 환경부
구분:기타등록일: 2017-04-05
-
2016년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2016)
환경부의 2016년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입니다.물환경측정망에는 수질측정망, 총량측정망, 자동측정망, 퇴적물측정망, 방사성물질측정망, 생물측정망 등으로 구성됩니다.출처 : 환경부
구분:기타등록일: 2017-04-05
MyWater - 홈 > 전문정보 > 자료실 > 수질/조류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