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량 기록은 한 지점에서 계측된 점우량이므로, 유역의 면적우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면적우량의 산정은 다양한 산정기법 중 유역의 강우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고 적용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기법을 선정하여 적용한다. 면적우량의 산정기법에는 산술평균법, 티센망법(Thiessen polygon method), 삼각형 가중평균법(Triangular area weighted mean), 등우선법, Kriging방법, 이중 프리어 급수법(DFS) 등 다양한 기법이 있으며, 이중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티센망법, 삼각형 가중평균법, 등우선법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각 관측소를 연결한 선의 수직이등분선이 이루는 다각형을 해당 관측소의 지배면적으로 보고, 각 관측소별 면적비를 가중치로 하여 해당지역의 면적평균강수량을 산정하는 방법
주로 평탄지에 적합한 방법이며 계산절차는 다음과 같다.
비교적 관측소 밀도가 조밀할 경우에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높은 정도의 결과를 얻으려면 등우선간의 면적뿐만 아니라 등우선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등우선 A와 B에서 B가 낮은 값일 때, 등우선 길이가 각각 와 이고, 등우선 간격이 라면, 이 구간의 평균강수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